보건용마스크: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공적마스크.jpg|thumb]]
== 개요 ==
== 개요 ==
황사·미세먼지 등 입자성 유해물질 또는 감염원으로부터 호흡기 보호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마스크<ref>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제2019-86호 <의약외품 범위 지정> 제1호 나목</ref>로 약사법 제2조제7호 가목에 따라 의약외품으로 지정되어 있다. 크게 황사용(KF80)과 방역용(KF94, KF99)으로 구분한다. 법률상 보건용마스크는 입자차단 성능이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기존 보건마스크 중 입자차단 성능이 없는 마스크(방한대)는 공산품으로, 수술 등 의료용으로 사용하는 마스크는 수술용마스크로 재분류 되었다.  
황사·미세먼지 등 입자성 유해물질 또는 감염원으로부터 호흡기 보호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마스크<ref>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제2019-86호 <의약외품 범위 지정> 제1호 나목</ref>로 약사법 제2조제7호 가목에 따라 의약외품으로 지정되어 있다. 크게 황사용(KF80)과 방역용(KF94, KF99)으로 구분한다. 법률상 보건용마스크는 입자차단 성능이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기존 보건마스크 중 입자차단 성능이 없는 마스크(방한대)는 공산품으로, 수술 등 의료용으로 사용하는 마스크는 수술용마스크로 재분류 되었다.  

2020년 3월 21일 (토) 11:07 판

공적마스크.jpg

개요

황사·미세먼지 등 입자성 유해물질 또는 감염원으로부터 호흡기 보호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마스크[1]로 약사법 제2조제7호 가목에 따라 의약외품으로 지정되어 있다. 크게 황사용(KF80)과 방역용(KF94, KF99)으로 구분한다. 법률상 보건용마스크는 입자차단 성능이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기존 보건마스크 중 입자차단 성능이 없는 마스크(방한대)는 공산품으로, 수술 등 의료용으로 사용하는 마스크는 수술용마스크로 재분류 되었다.

규격

산업용 방진마스크 규격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만큼 산업용과 유사한 규격을 갖고 있다.

각주

  1. 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제2019-86호 <의약외품 범위 지정> 제1호 나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