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한글: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여담~)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자모==
==자모==
* : ꥹ는 현재는 쓰이지 않는다. '''쌍티읕'''으로 불린다.
ꥹ는 현재는 쓰이지 않는다. '''쌍티읕'''으로 불린다.
* : ꥫ 는 '''리을가벼운비읍'''으로, 리을과 [[가벼운비읍]]의 합자이다.
 
* : ᅌ 는 꼭지이응이다. 현재는 쓰이지 않으나, ㄴ과 발음이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 : ᅀ(반시옷) 는 알파벳 [z]를 나타낸다. [[얼룩말]]을 뜻하는 영어단어 zebra는 지브라가 아니라 ᅀㅣ브라라는 뜻.
* : ᅙ(여린히읗)는 성문 파열음을 나타낸다. 흔히  ᅇ으을 이 소리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ꥫ 는 '''리을가벼운비읍'''으로, 리을과 [[가벼운비읍]]의 합자이다.
* : ᆞ 는 아래 아! 다. ㅏ와 ㅓ의 중간 발음이다. [[한컴오피스 한글]]의 로고에도 사용되어 있다.(ㅎᆞㄴ글.) 근데 /ㅓ/로 읽는게 바르다.
 
* : ᆡ는 아래애이다. 아래아의 소리를 내고 바로 ㅣ의 소리를 낼 때 사용된다.
 
* : ᆝ 는 !와는 전혀 다른 이아래아 또는 아래야다.  
 
ᅌ 는 꼭지이응이다. 현재는 쓰이지 않으나, ㄴ과 발음이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ᅀ(반시옷) 는 알파벳 [z]를 나타낸다. [[얼룩말]]을 뜻하는 영어단어 zebra는 지브라가 아니라 ᅀㅣ브라라는 뜻.
 
 
 
 
ᅙ(여린히읗)는 성문 파열음을 나타낸다. 흔히  ᅇ으을 이 소리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ᆞ 는 아래 아! 다. ㅏ와 ㅓ의 중간 발음이다. [[한컴오피스 한글]]의 로고에도 사용되어 있다.(ㅎᆞㄴ글.) 근데 /ㅓ/로 읽는게 바르다.
 
 
 
ᆡ는 아래애이다. 아래아의 소리를 내고 바로 ㅣ의 소리를 낼 때 사용된다.
 
 
 
ᆝ 는 !와는 전혀 다른 이아래아 또는 아래야다.  
 
 


==여담==
==여담==

2019년 11월 3일 (일) 16:33 판

옛한글은 현재는 쓰이지 않는 한글 낱자이다.

자모

  • ꥹ: ꥹ는 현재는 쓰이지 않는다. 쌍티읕으로 불린다.
  • ꥫ: ꥫ 는 리을가벼운비읍으로, 리을과 가벼운비읍의 합자이다.
  • ᅌ: ᅌ 는 꼭지이응이다. 현재는 쓰이지 않으나, ㄴ과 발음이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 ᅀ: ᅀ(반시옷) 는 알파벳 [z]를 나타낸다. 얼룩말을 뜻하는 영어단어 zebra는 지브라가 아니라 ᅀㅣ브라라는 뜻.
  • ᅙ: ᅙ(여린히읗)는 성문 파열음을 나타낸다. 흔히 ᅇ으을 이 소리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 ᆞ: ᆞ 는 아래 아! 다. ㅏ와 ㅓ의 중간 발음이다. 한컴오피스 한글의 로고에도 사용되어 있다.(ㅎᆞㄴ글.) 근데 /ㅓ/로 읽는게 바르다.
  • ᆡ: ᆡ는 아래애이다. 아래아의 소리를 내고 바로 ㅣ의 소리를 낼 때 사용된다.
  • ᆝ: ᆝ 는 !와는 전혀 다른 이아래아 또는 아래야다.

여담

여담으로 옛한글 까지 포함해 획수가 가장 많은 글자는 바로 ꥪᆒퟤ이다. ꥪᆒퟤ은 ㄹ+ㅃ+ㅠ+ㅖ+ㅂ+ㄹ+ㅍ인데 모두 결합해 29획이기 때문에 가장 많은 글이라고 볼 수 있다.


백괴사전에 ꥪᆒퟤ과 ꥸᅦퟗ는 별개[1] 문서가 있기 때문에 거기서 알 수 있다.

  1. 촌스러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