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단일팀: 두 판 사이의 차이

17번째 줄: 17번째 줄:
*: 처음으로 남북 단일팀이 결성된 대회이다. 여자단체전에서 8연패에 빛나는 중국 선수단을 꺾고 금메달을 성취해 본격적인 스포츠 교류의 물꼬를 텄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4300020920200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91-04-30&officeId=00020&pageNo=2&printNo=21459&publishType=00020 코리아탁구,세계를 제패하다], 동아일보, 1991.04.30.</ref> 재일동포연합인 민주 계열의 민단과 공산 계열의 조총련도 이 때만큼은 사상에 상관없이 한 목소리로 응원했다.  
*: 처음으로 남북 단일팀이 결성된 대회이다. 여자단체전에서 8연패에 빛나는 중국 선수단을 꺾고 금메달을 성취해 본격적인 스포츠 교류의 물꼬를 텄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4300020920200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91-04-30&officeId=00020&pageNo=2&printNo=21459&publishType=00020 코리아탁구,세계를 제패하다], 동아일보, 1991.04.30.</ref> 재일동포연합인 민주 계열의 민단과 공산 계열의 조총련도 이 때만큼은 사상에 상관없이 한 목소리로 응원했다.  
* 제6회 세계청소년축구선수권대회 (1991년, 포르투갈)
* 제6회 세계청소년축구선수권대회 (1991년, 포르투갈)
*: 선수 엔트리는 남북한에 각각 9명씩 배정됐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22700289101006&editNo=4&printCount=1&publishDate=1991-02-27&officeId=00028&pageNo=1&printNo=860&publishType=00010 남북청소년축구 단일팀 평가전 5월4일 서울 8일 평양서], 한겨레, 1999.02.27.</ref>
*: 탁구대회와 동시기에 논의된 대회로, 선수 엔트리는 남북한에 각각 9명씩 배정됐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22700289101006&editNo=4&printCount=1&publishDate=1991-02-27&officeId=00028&pageNo=1&printNo=860&publishType=00010 남북청소년축구 단일팀 평가전 5월4일 서울 8일 평양서], 한겨레, 1999.02.27.</ref> 주변의 우려와 달리 16강에서 아르헨티나를 꺾고 8강에 진출하는 이변을 보여줬으나 8강에서 브라질에게 4강 진출을 저지당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6240020921900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91-06-24&officeId=00020&pageNo=19&printNo=21512&publishType=00020 코리아 1대5쓴잔 4강 좌절], 동아일보, 1991.06.24.</ref>
{{각주}}
{{각주}}
[[분류:국가대표팀]]
[[분류:국가대표팀]]

2018년 1월 22일 (월) 07:56 판

남북 단일팀은 남한(대한민국)과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합쳐 만든 국가대표팀이다. 남북 단일팀은 독일의 동·서 대표팀을 벤치마킹 한 것이며, 1964년 도쿄 올림픽 이래로[1] 국제 스포츠 대회의 평화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행사로써 꾸준히 시도되고 있다.

스포츠 대회에서 두 국가를 하나로 취급하는 것 자체가 상당히 이례적인 케이스이다. 단일팀을 꾸리고자 하는 종목의 국제 연맹으로부터 인정을 받아야 하며[2], 엔트리 우대 문제로 경쟁국들의 볼멘 소리도 쉽게 나온다. 내부적으로도 선수들 간의 알력이나 연습 시간 부족 등의 문제가 불거진다. 물론 단일팀을 꾸리려면 북한을 달래는 게 가장 큰 문제지만.

남북 단일팀 성립시 국기는 하늘색 한반도기를 사용하며, 국명은 “코리아(KOREA)”, 국가(國歌)는 《아리랑》을 사용한다. 이는 1991년 실무회의에서 정해진 방침이다.[3]

역대 올림픽

2018년 동계 올림픽

2018년 동계 올림픽에서 선수단 개막식 동시 입장,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이 결정되었다. 이는 올림픽 흥행을 위한 IOC의 제안으로

역대 아시안 게임

기타 국제 대회

  • 제41회 세계탁구선수권대회 (1991년, 일본)
    처음으로 남북 단일팀이 결성된 대회이다. 여자단체전에서 8연패에 빛나는 중국 선수단을 꺾고 금메달을 성취해 본격적인 스포츠 교류의 물꼬를 텄다.[4] 재일동포연합인 민주 계열의 민단과 공산 계열의 조총련도 이 때만큼은 사상에 상관없이 한 목소리로 응원했다.
  • 제6회 세계청소년축구선수권대회 (1991년, 포르투갈)
    탁구대회와 동시기에 논의된 대회로, 선수 엔트리는 남북한에 각각 9명씩 배정됐다.[5] 주변의 우려와 달리 16강에서 아르헨티나를 꺾고 8강에 진출하는 이변을 보여줬으나 8강에서 브라질에게 4강 진출을 저지당했다.[6]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