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만 곡률 텐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분류:미분기하학]]
[[분류:미분기하학]]


리만 곡률 텐서는 [[레비-시비타 접속]] [math]\nabla[/math] 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R은 Riemann의 R이다.  
리만 곡률 텐서는 [[레비-시비타 접속]] <math>\nabla</math> 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R은 Riemann의 R이다.  
 
[math]R(u,v)w=\nabla_u\nabla_v w - \nabla_v \nabla_u w - \nabla_{[u,v]}w [/math]


<math>R(u,v)w=\nabla_u\nabla_v w - \nabla_v \nabla_u w - \nabla_{[u,v]}w</math>
여기서 [''u'',''v''] 는 [[벡터장의 리 브라켓]]이다.  각 [[접선벡터]] ''u'', ''v'' 쌍에 대해서,  ''R''(''u'',''v'')는 [[접촉공간]]에서 manifold의 선형 변환이다.  
여기서 [''u'',''v''] 는 [[벡터장의 리 브라켓]]이다.  각 [[접선벡터]] ''u'', ''v'' 쌍에 대해서,  ''R''(''u'',''v'')는 [[접촉공간]]에서 manifold의 선형 변환이다.  


23번째 줄: 22번째 줄:
=== 성질의 증명 ===
=== 성질의 증명 ===


제 2 비앙키 항등성은 [[3차 공변도함수]]를 이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






== [[리치 곡률 텐서]] ==
== [[리치 곡률 텐서]] ==

2017년 2월 22일 (수) 22:16 판

미분기하학에서 리만 곡률 텐서 혹은 리만-크리스토펠 텐서는 리만 다양체의 곡률을 표현하는 가장 일반적 방법이다. 보통 학부 과정에서 이것을 다루기는 어려우나 할 수는 있다. 바로 이것이 일반 상대성 이론의 가장 기본적인 도구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리만 곡률 텐서는 레비-시비타 접속 [math]\displaystyle{ \nabla }[/math] 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R은 Riemann의 R이다.

[math]\displaystyle{ R(u,v)w=\nabla_u\nabla_v w - \nabla_v \nabla_u w - \nabla_{[u,v]}w }[/math] 여기서 [u,v] 는 벡터장의 리 브라켓이다. 각 접선벡터 u, v 쌍에 대해서, R(u,v)는 접촉공간에서 manifold의 선형 변환이다.

기하학적 의미

성질

리만 곡률 텐서는 다음의 세가지 혹은 네가지 성질을 갖고 있다.

반대칭성

지표 교환 대칭성

제 1 비앙키 항등성

제 2 비앙키 항등성

성질의 증명

제 2 비앙키 항등성은 3차 공변도함수를 이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


리치 곡률 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