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바미노헤모글로빈: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토막글}}" 문자열을 "" 문자열로)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생물학]]
'''카바미노헤모글로빈'''(카르바미노헤모글로빈, Hb·CO<sub>2</sub>, carbaminoh(a)emoglobin, carbh(a)emoglobin, carboh(a)emoglobin)은 [[헤모글로빈]]과 [[이산화탄소]]의 화합물이다. 이는 [[혈액]], 그 중에서도 [[적혈구]] 안에서 만들어지며, 이로써 전체 이산화탄소의 10%~23%를 운반한다.<ref>이 비율이 다르게 나와 있는 책들도 있다.</ref>
{{학술}}
 
 
 
'''카바미노헤모글로빈'''(카르바미노헤모글로빈, Hb·CO<sub>2</sub>, carbaminoh(a)emoglobin, carbh(a)emoglobin, carboh(a)emoglobin)은 [[헤모글로빈]]과 [[이산화탄소]]의 화합물이다. 이는 혈액, 그 중에서도 적혈구 안에서 만들어지며, 이로써 전체 이산화탄소의 10%~23%를 운반한다<ref>이 비율이 다르게 나와 있는 책들도 있다.</ref>.


== 형성 ==
== 형성 ==
Hb·CO<sub>2</sub>는 헤모글로빈의 네 사슬(α-사슬 둘과 β-사슬 둘, α<sub>2</sub>β<sub>2</sub>)에 각각 이산화탄소가 붙어 형성된다. 헤모글로빈과 [[옥시헤모글로빈]]이 붉은 색을 띠는 데에 반해, 카바미노헤모글로빈은 검붉은 색을 띤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8046</ref> 헤모글로빈이 카바미노헤모글로빈이 되면 구조가 바뀌어 산소와 결합하려는 성질을 잃게 된다. (보어 효과)
Hb·CO<sub>2</sub>는 헤모글로빈의 네 사슬(α-사슬 둘과 β-사슬 둘, α<sub>2</sub>β<sub>2</sub>)에 각각 이산화탄소가 붙어 형성된다. 헤모글로빈과 [[옥시헤모글로빈]]이 붉은 색을 띠는 데에 반해, 카바미노헤모글로빈은 검붉은 색을 띤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8046</ref> 헤모글로빈이 카바미노헤모글로빈이 되면 구조가 바뀌어 산소와 결합하려는 성질을 잃게 된다. (보어 효과)


16번째 줄: 10번째 줄:
* [[옥시헤모글로빈]]
* [[옥시헤모글로빈]]
* [[외호흡]], [[내호흡]]
* [[외호흡]], [[내호흡]]
[[분류:생물학]]
[[분류:유기 화합물]]

2016년 11월 30일 (수) 17:37 판

카바미노헤모글로빈(카르바미노헤모글로빈, Hb·CO2, carbaminoh(a)emoglobin, carbh(a)emoglobin, carboh(a)emoglobin)은 헤모글로빈이산화탄소의 화합물이다. 이는 혈액, 그 중에서도 적혈구 안에서 만들어지며, 이로써 전체 이산화탄소의 10%~23%를 운반한다.[1]

형성

Hb·CO2는 헤모글로빈의 네 사슬(α-사슬 둘과 β-사슬 둘, α2β2)에 각각 이산화탄소가 붙어 형성된다. 헤모글로빈과 옥시헤모글로빈이 붉은 색을 띠는 데에 반해, 카바미노헤모글로빈은 검붉은 색을 띤다.[2] 헤모글로빈이 카바미노헤모글로빈이 되면 구조가 바뀌어 산소와 결합하려는 성질을 잃게 된다. (보어 효과)

카바미노헤모글로빈이 이산화탄소의 기체 분압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폐포의 모세혈관에서는 이산화탄소와 해리되고 산소를 얻어 옥시헤모글로빈이 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