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탈슬러그 디펜스/프토레마이크군 유닛: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개요 == 메탈슬러그 디펜스의 프토레마이크군 유닛들의 일람이다. 프토레마이크군의 대부분 유닛들은 다른 유닛과는 다르게 특이한...)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잔글편집 요약 없음
19번째 줄: 19번째 줄:
저렴한 가격의 원거리 딜러. 사실 설격의 시초격으로 볼수 있는 유닛으로 특수기를 씀으로써 잠복/해제가 가능하다. 잠복 시에는 기갑 판정이 되는지라 임시 막이로도 쓸만하고 무엇보다 사거리가 상승되어 후방에서 이름 그대로 유닛을 저격하는 역할. 하지만 딜이 의외로 심심하고 컨트롤이 어려운 데다가 인지도도 많이 없어서 잘 쓰이지 않는다. 기본적으로는 프토레 소총병이라고 봐도 무방한 수준.
저렴한 가격의 원거리 딜러. 사실 설격의 시초격으로 볼수 있는 유닛으로 특수기를 씀으로써 잠복/해제가 가능하다. 잠복 시에는 기갑 판정이 되는지라 임시 막이로도 쓸만하고 무엇보다 사거리가 상승되어 후방에서 이름 그대로 유닛을 저격하는 역할. 하지만 딜이 의외로 심심하고 컨트롤이 어려운 데다가 인지도도 많이 없어서 잘 쓰이지 않는다. 기본적으로는 프토레 소총병이라고 봐도 무방한 수준.
* 사령관
* 사령관
화력 지원 컨셉의 딜러. 원거리 공격으로 호버 유닛을 3기 호출하는데, 이 때문에 한두기가 쌓이면 상당히 많은 양의 호버 유닛이 필드를 매우는 것을 볼 수 있다. 자신의 AP보다 비싼 호버 유닛을 마구 뽑아내는 점에선 매력적이고 호버 유닛의 딜도 나쁘지 않지만, 문제점도 상당히 많은데 전선에서 멀어질수록 아무리빠른 호버 유닛이라 해도 전선 충원 속도가 느려지며 호출 자체의 딜레이도 길고(특수기로 어느정도 커버가 된다.) 무엇보다 파괴가 가능해 딜로스+Ap를 마구 퍼부어주는 문제점이 있어서 현재는 안쓰는 유닛을 넘어 민폐 유닛으로까지 불리우고 있는 중. 상대 AP에 신경 안써도 되는 출격 모드나 협력 모드에서 그나마 쓰이고는 있다.
* 가면 병사
* 가면 병사
사령관이 딜을 담당하는 소환 유닛이라면 이쪽은 탱킹을 담당하는 소환 유닛. 특수기를 사용시 아머 유닛이 나온다. 아머 유닛은 초반에 방패로 굴려먹기에는 나쁘지 않고 가면병사 한두기가 모이면 쌓이고 있는 아머 유닛들을 볼 수 있는데다 가면 병사는 호버힐 판정의 유닛이라 일부 최하단 공격을 회피하고, 파괴되어도 보병 판정의 병사가 나오기에 그야말로 전선 버티기에 최적화된 유닛. 하지만 AP를 퍼붓는 문제는 사령관만큼은 아니지만 여전하고 가면 병사만으로 전선을 뚫기엔 애매한데다 전선이 밀리면 특수기를 쓸 세 없이 밀리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잠재 능력은 매우 높지만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덱 자체를 뜯어고쳐야 하기 떄문에 잘 안쓰이는 유닛.
* 월 드론
* 월 드론
* 프토레마이크 슬러그
* 프토레마이크 슬러그

2016년 8월 16일 (화) 20:30 판

개요

메탈슬러그 디펜스의 프토레마이크군 유닛들의 일람이다. 프토레마이크군의 대부분 유닛들은 다른 유닛과는 다르게 특이한 스펙을 지니고 있고, 개개인의 유닛들이 전부 효과를 발위하기 용이하게 되어 있지만, 낮은 hp와 애매한 ap값을 지니고 있어 컨트롤이 매우 힘든 편이며 후반 유닛이 매우 부족하다. 보스가 없어서 그렇게까지 지출이 심하진 않지만 팩도, 기본 제공 유닛도 없고 메달 구매 유닛 외에는 이벤트 유닛 몇몇만이 있는 실정. 그래도 대부분의 유닛이 써보면 의외로 재미있기도 하고, 신선한 컨셉의 유닛도 많은 편이며, 대공력은 소속 중 최강에 속한다.

기본 제공 유닛

현재로써는 없다.

포로 구출 유닛

현재로써는 없다.

메달 구매 유닛

  • 게릴라병

다른 모덴군 보병과는 다르게 원거리 공격이 돌진+나이프 어택이고 특수기는 강화 핸드건(이라지만 크기를 보면 돌격소총이라 볼수밖에 없는 총)을 발사한다. 때문에 무작정 근접해서 칼질을 하는 모덴군 보병이나 병사보다는 확실히 나은 편이며, 강화 핸드건은 미라의 특수기와 비슷하게 보병 유닛이라고는 보기 어려운 딜을 자랑하지만, 특수기의 딜레이가 딜도 대공은 되지 않기에 오히려 평범함만 부각되어 잘 쓰이지 않는다.

  • 게릴라병(박격포)

박격포 시리즈 중 가장 높은 hp와, 가장 높은 공격 고도를 지녔다. 공격 횟수는 1발이지만 그 범위가 매우 넓기에 초반 대공용으로 좋은 편이다. 하지만 설격포가 너프를 먹을 떄 덩달아 너프를 먹어버려 생존성이 많이 줄어들었다.

  • 게릴라병(방패)

다른 방패병들과는 달리 원거리 공격이 부여되었다. 이를 통해 방패병 단품으로만 쓰일 경우의 딜이 늘었지만, 반대급부로 다른 보병과의 활용성은 떨어지게 되었다. 방패병 시리즈가 전부 사장된 지금으로썬 그나마 쓸모있는 방패병.

  • 엘리트병

보병 치고는 비싼 ap를 지니고 있다. 원거리 공격이 최하단 공격이라 일부 유닛들을 회피해 후방의 적에도 타격을 줄 수있고, 특수기인 지뢰는 임시 방패 역할을 해주거나 근접 유닛을 제압할 수 있다. 하지만 전면 힘싸움에선 별 활약이 안되서 상황을 많이 타는 상급자용 유닛.

  • 거너 유닛

레벨 아머의 생김세에 다라링의 스펙을 넣은듯한 유닛. 펀치의 넉백력이 대단해서 왠만한 근접형 KOF는 곧잘 펀치로 제압하고 생존성도 저렴한 ap치고는 널널한데다 특수기는 공중 및 거대 유닛에게 치명타로 작용한다. 방어에 치중을 준 근접 유닛이라 빠르게 라인을 제압해야 하는 현대의 상황에 맞지 않아 버려진 유닛이다. 참고로 예전에는 이름이 저격수였다.

  • 스나이퍼

저렴한 가격의 원거리 딜러. 사실 설격의 시초격으로 볼수 있는 유닛으로 특수기를 씀으로써 잠복/해제가 가능하다. 잠복 시에는 기갑 판정이 되는지라 임시 막이로도 쓸만하고 무엇보다 사거리가 상승되어 후방에서 이름 그대로 유닛을 저격하는 역할. 하지만 딜이 의외로 심심하고 컨트롤이 어려운 데다가 인지도도 많이 없어서 잘 쓰이지 않는다. 기본적으로는 프토레 소총병이라고 봐도 무방한 수준.

  • 사령관

화력 지원 컨셉의 딜러. 원거리 공격으로 호버 유닛을 3기 호출하는데, 이 때문에 한두기가 쌓이면 상당히 많은 양의 호버 유닛이 필드를 매우는 것을 볼 수 있다. 자신의 AP보다 비싼 호버 유닛을 마구 뽑아내는 점에선 매력적이고 호버 유닛의 딜도 나쁘지 않지만, 문제점도 상당히 많은데 전선에서 멀어질수록 아무리빠른 호버 유닛이라 해도 전선 충원 속도가 느려지며 호출 자체의 딜레이도 길고(특수기로 어느정도 커버가 된다.) 무엇보다 파괴가 가능해 딜로스+Ap를 마구 퍼부어주는 문제점이 있어서 현재는 안쓰는 유닛을 넘어 민폐 유닛으로까지 불리우고 있는 중. 상대 AP에 신경 안써도 되는 출격 모드나 협력 모드에서 그나마 쓰이고는 있다.

  • 가면 병사

사령관이 딜을 담당하는 소환 유닛이라면 이쪽은 탱킹을 담당하는 소환 유닛. 특수기를 사용시 아머 유닛이 나온다. 아머 유닛은 초반에 방패로 굴려먹기에는 나쁘지 않고 가면병사 한두기가 모이면 쌓이고 있는 아머 유닛들을 볼 수 있는데다 가면 병사는 호버힐 판정의 유닛이라 일부 최하단 공격을 회피하고, 파괴되어도 보병 판정의 병사가 나오기에 그야말로 전선 버티기에 최적화된 유닛. 하지만 AP를 퍼붓는 문제는 사령관만큼은 아니지만 여전하고 가면 병사만으로 전선을 뚫기엔 애매한데다 전선이 밀리면 특수기를 쓸 세 없이 밀리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잠재 능력은 매우 높지만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덱 자체를 뜯어고쳐야 하기 떄문에 잘 안쓰이는 유닛.

  • 월 드론
  • 프토레마이크 슬러그
  • 메탈 리얼
  • 호버 비히클

이벤트 유닛

  • 샌드마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