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한 글자 문서을(를) 추가함)
16번째 줄: 16번째 줄:


===유채색과 무채색===
===유채색과 무채색===
색의 3요소 중 색상값을 가지는 경우를 유채색이라 하며, 색상값이 0이며, 명도와 채도만 가지는 경우를 무채색이라 한다. 그냥 간단히 설명하면 유채색은 일반적인 천연색이며, 무채색은 흑백으로 구성된 색상. 즉, 검정과 흰색, 그리고 그 사이의 회색빛 계열을 의미한다 할 수 있다.


==참조==
==참조==

2016년 5월 5일 (목) 16:00 판

정의

시각으로 느끼는 빛의 주파수로 주파수 영역은 가시광선 영역[1] 내에서 파장에 따라 다르게 인지되는 빛의 파장의 영역을 의미한다.

삼원색

3가지 색을 혼합하여서 모든 종류의 색을 만들 수 있는 기본적인 색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광학적 삼원색과 염료(색)의 삼원색으로 구분한다. 참고로 광학적 삼원색과 염료의 삼원색은 서로 보색 관계에 있다.

  • 광학적 삼원색 : 흔히 RGB색상이라 하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Red, Green, Blue의 약자로 이것을 적절히 조합하여 모니터나 화면에 나타내는 색을 나타내는 방식이다. 이 원색을 모두 섞으면 백색이 나오기 때문에 명도가 높아지는 방향으로 가기 때문에 가산혼합이라고도 한다.
  • 염료(색)의 삼원색 : Cyan, Magenta, Yellow의 3가지 색을 의미한다. 프린터나 물감 등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이 색을 모두 섞으면 검정색이 나오며, 명도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가기 때문에 감산혼합이라고도 한다.

색의 3요소

색의 3요소는 다음과 같다.

  • 색상 : 기본적으로 우리가 색, 혹은 색깔이라고 하는 것이 이것이다.
  • 명도 :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
  • 채도 : 색의 맑고 탁한 정도

유채색과 무채색

색의 3요소 중 색상값을 가지는 경우를 유채색이라 하며, 색상값이 0이며, 명도와 채도만 가지는 경우를 무채색이라 한다. 그냥 간단히 설명하면 유채색은 일반적인 천연색이며, 무채색은 흑백으로 구성된 색상. 즉, 검정과 흰색, 그리고 그 사이의 회색빛 계열을 의미한다 할 수 있다.

참조

각주

  1. 대략 400nm~750nm 사이의 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