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끈이론: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상대론적 끈과 비상대론적 끈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런데 우주끈의 증거가 정말로 발견되었나요? 처음 듣는 소식이라 혹시나 해서(...) 물어봅니다.--[[사용자:장난감 가루|장난감 가루]] ([[사용자토론:장난감 가루|토론]]) 2015년 4월 27일 (월) 04:55:11 (KST)
상대론적 끈과 비상대론적 끈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런데 우주끈의 증거가 정말로 발견되었나요? 처음 듣는 소식이라 혹시나 해서(...) 물어봅니다.--[[사용자:장난감 가루|장난감 가루]] ([[사용자토론:장난감 가루|토론]]) 2015년 4월 27일 (월) 04:55:11 (KST)
: : 저 역시 처음 들어보는 이야기입니다. http://www.dongascience.com/news/view/5833/opinion 이 기사에 따르자면, 초끈 이론의 근거는 전혀 발견된 적이 없는 걸로 아는데요.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002333100005&ctcd=C02 여기서는 아직 중력파가 검출되지 않았다. '만약 검출되었다면 그 사람은 노벨상을 수상할 것이다'라고 하고 있습니다. 힉스 입자 때는 엄청 소란이 일어나고 신문에도 대문짝만하게 실렸는데, 저는 이 이야기는 처음 들어봅니다. 제가 과학자도 아니고 과학을 전공한 사람도 아니기에 강하게 주장할 생각은 없지만, 사실 많이 의아합니다. --[[사용자:Twitter|Twitter]] ([[사용자토론:Twitter|토론]]) 2015년 4월 27일 (월) 11:31:48 (KST)
: : 저 역시 처음 들어보는 이야기입니다. http://www.dongascience.com/news/view/5833/opinion 이 기사에 따르자면, 초끈 이론의 근거는 전혀 발견된 적이 없는 걸로 아는데요.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002333100005&ctcd=C02 여기서는 '만일 이 중력파를 찾아낸다면 노벨상 수상은 100%다. 따라서 중력파를 찾고자 하는 노력은 전 세계 과학계의 염원이다.'라고 하고 있습니다. 힉스 입자 때는 엄청 소란이 일어나고 신문에도 대문짝만하게 실렸는데, 저는 이 이야기는 처음 들어봅니다. 제가 과학자도 아니고 과학을 전공한 사람도 아니기에 강하게 주장할 생각은 없지만, 사실 많이 의아합니다. --[[사용자:Twitter|Twitter]] ([[사용자토론:Twitter|토론]]) 2015년 4월 27일 (월) 11:31:48 (KST)

2015년 4월 27일 (월) 13:21 판

상대론적 끈과 비상대론적 끈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런데 우주끈의 증거가 정말로 발견되었나요? 처음 듣는 소식이라 혹시나 해서(...) 물어봅니다.--장난감 가루 (토론) 2015년 4월 27일 (월) 04:55:11 (KST)

: 저 역시 처음 들어보는 이야기입니다. http://www.dongascience.com/news/view/5833/opinion 이 기사에 따르자면, 초끈 이론의 근거는 전혀 발견된 적이 없는 걸로 아는데요.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002333100005&ctcd=C02 여기서는 '만일 이 중력파를 찾아낸다면 노벨상 수상은 100%다. 따라서 중력파를 찾고자 하는 노력은 전 세계 과학계의 염원이다.'라고 하고 있습니다. 힉스 입자 때는 엄청 소란이 일어나고 신문에도 대문짝만하게 실렸는데, 저는 이 이야기는 처음 들어봅니다. 제가 과학자도 아니고 과학을 전공한 사람도 아니기에 강하게 주장할 생각은 없지만, 사실 많이 의아합니다. --Twitter (토론) 2015년 4월 27일 (월) 11:31:48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