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뉴스: 두 판 사이의 차이

(본인 기여분)
 
3번째 줄: 3번째 줄:
== TV 뉴스 ==
== TV 뉴스 ==
=== 개요 ===
=== 개요 ===
[[한국교육방송공사]]의 유일한 보도프로그램으로, 1993년 방송된 [[https://ko.wikipedia.org/wiki/EBS_%EB%89%B4%EC%8A%A4|EBS 교육문화뉴스]]가 그 시초이다.
[[한국교육방송공사]]의 유일한 보도프로그램으로, 1993년 방송된 [[https://ko.wikipedia.org/wiki/EBS_%EB%89%B4%EC%8A%A4 EBS 교육문화뉴스]]가 그 시초이다.
초창기에는 [[KBS 뉴스9|지상파]] [[MBC 뉴스데스크|3사]] [[SBS 8 뉴스|처럼]] 보도논평기능과 매체비평기능도 가지고 있었으나 [[방송통신위원회]] (당시 방송위원회)가 기존 지상파 3사와의 기능 중첩과 EBS의 중립성을 이유로 방송중단을 권유하였고, 2008년 역시 [[방송통신위원회]]에서 [[한국교육방송공사]]의 요청으로 [[재난방송]]과 교육/문화 보도에 한하여 보도권을 다시 복권시켜주었다.
초창기에는 [[KBS 뉴스9|지상파]] [[MBC 뉴스데스크|3사]] [[SBS 8 뉴스|처럼]] 보도논평기능과 매체비평기능도 가지고 있었으나 [[방송통신위원회]] (당시 방송위원회)가 기존 지상파 3사와의 기능 중첩과 EBS의 중립성을 이유로 방송중단을 권유하였고, 2008년 역시 [[방송통신위원회]]에서 [[한국교육방송공사]]의 요청으로 [[재난방송]]과 교육/문화 보도에 한하여 보도권을 다시 복권시켜주었다.



2016년 4월 10일 (일) 08:36 판

[[1]]

TV 뉴스

개요

한국교육방송공사의 유일한 보도프로그램으로, 1993년 방송된 [EBS 교육문화뉴스]가 그 시초이다. 초창기에는 지상파 3사 처럼 보도논평기능과 매체비평기능도 가지고 있었으나 방송통신위원회 (당시 방송위원회)가 기존 지상파 3사와의 기능 중첩과 EBS의 중립성을 이유로 방송중단을 권유하였고, 2008년 역시 방송통신위원회에서 한국교육방송공사의 요청으로 재난방송과 교육/문화 보도에 한하여 보도권을 다시 복권시켜주었다.

오프닝

방송 재개시 직후 ~ 2013년

2013년 ~ 2014년 추석 이전

2014년 추석 이후부터는 SBS NEWS와 비슷한 플랫 디자인을 따라가고 있다.

라디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