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속 (프로그래밍 언어): 두 판 사이의 차이

(한글 프로그래밍 언어 '약속' 에 대한 내용 추가)
 
(새 문서: 하재승, Puzzlet Chung 이 만든 쉬운 한글 프로그래밍 언어. 한글<ref name="한글과_한국어">정확히는 한국어. 한국어 어순을 따라가려 노력...)
1번째 줄: 1번째 줄:
== 사전적 의미 ==
다른 사람과 앞으로의 일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미리 정하여 둠.
== [[THE IDOLM@STER]] 수록곡 약속(約束) ==
{{유튜브|https://youtu.be/yZBDrSMeXyk}}
* [https://www.youtube.com/watch?v=yZBDrSMeXyk 애니메이션 THE IDOLM@STER 20화 후반부]
[[키사라기 치하야]]의 대표곡중 하나로 키사라기 치하야하면 [[파랑새]]와 이곡이 떠오르기를 만큼 유명한 곡이다. [[THE IDOLM@STER (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의 설정상으론 [[765 프로덕션]]의 동료들이 치하야를 생각하며 전하고 싶은 말을 적어 작곡한 것으로 되어 있다.
===작중에서===
{{스포일러|}}
[[파일:Kedaser.jpg]]
<del>가창력의 신이시다..</del>
애니메이션 20화에서는 과거의 사건<ref>자신의 동생인 [[키사라기 유우]]가 자신 때문에 죽었다고 생각하고 이 때문에 [[키사라기 치하야|치하야]]는 계속 노래를 부른다</ref>이 [[961 프로덕션]] 사장 [[쿠로이 타카오]]에 의해 파헤쳐져서 그 악몽을 다시 기억하게 되는 동시에 충격으로 목소리가 안 나오게 되고, 설상가상으로 우울증이 겹쳐 활동을 중단하게 된다.
하지만 [[765 프로덕션]]의 동료들의 도움에 의해 다시 무대 위에 서고 처음에 목소리가 안 나와 다시 좌절했지만 동료들이 같이 나와 불러주고 마침내 목소리가 나온다.<ref>이때 [[프로듀서]]가 됐다(やった)라고 하는데 이게 [[니코동]]에서 유행어가 된다.</ref> <del>흑흑 잘됐어 정말 잘됐어</del> 콘서트를 성공적으로 마치면서 과거에 대해 극복하게 된다. 20화 이후 오프닝 영상에서 치하야가 나오는 장면의 어두운 부분이 밝아진다.
===라이브에서===
{{youtube|DWRRFIIrbI0}}
[[2014년]]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라이브 영상.
이후로 라이브에서 꾸준히 불리고 있다. 7주년 라이브에서는 동료들의 모습이 무대 뒤에 그림자로 비치는 연출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9주년 라이브 투어 도쿄 공연 이틀째에서 이 곡은 전설이 되었다. 애니의 연출이 재현되어 동료들이 모두 무대에 서 있었는데, 그만 담당 성우 [[이마이 아사미]]가 울음을 못 참고 노래 부를 타이밍을 놓친 것. 하지만 동료들과 프로듀서들이 노래를 이어 불러주었고, 무사히 나머지 파트를 불렀다.
=== 가사 ===
[http://egloos.zum.com/shunei/v/5617144 출처]
{|width="100%"
|ねえ今 見つめているよ
|네에 이마 미츠메테이루요
|지금 바라보고 있어
|-
|離れていても
|하나레테이테모
|떨어져 있어도
|-
|Love for you 心はずっと
|Love for you 코코로와 즛토
|Love for you 마음은 계속
|-
|傍にいるよ
|소바니 이루요
|곁에 있어
|-
|もう涙を拭って{{ruby-ja|微笑|わら}}って
|모오 나미다오 누굿테 와랏테
|그만 눈물을 닦고 웃어봐
|-
|一人じゃない どんな時だって
|히토리쟈나이 돈나토키닷테
|혼자가 아니야 어떤 때라도
|-
|夢見ることは生きること
|유메미루코토와 이키루코토
|꿈꾸는 것은 살아 있다는 것
|-
|悲しみを越える力
|카나시미오 코에루 치카라
|슬픔을 뛰어넘는 힘
|-
| 
|-
|歩こう 果てしない道
|아루코오 하테나이미치
|걸어가자 끝없는 길을
|-
|歌おう {{ruby-ja|天|そら}}を越えて
|우타오오 소라오 코에테
|노래하자 하늘을 넘어서
|-
|想いが届くように
|오모이가 토도쿠요오니
|마음이 전해지도록
|-
|約束しよう 前を向くこと
|야쿠소쿠시요오 마에오무쿠코토
|앞을 바라보겠다고 약속하자
|-
|Thank you for smile
|Thank you for smile
|Thank you for smile
|-
| 
|-
|ねえ目を閉じれば見える
|네에 메오 토지레바 미에루
|눈을 감으면 보여
|-
|君の笑顔
|키미노 에가오
|너의 웃는 얼굴
|-
|Love for me そっと私を
|Love for me 솟토 와타시오
|Love for me 조용히 나를
|-
|照らす光
|테라스 히카리
|비추는 빛
|-
| 
|-
|聽こえてるよ君のその声が
|키코에테루요 키미노 소노 코에가
|들려와 너의 목소리가
|-
|笑顔見せて 輝いていてと
|에가오미세테 카가야이테 이테토
|미소를 보여달라고 빛나며 있으라고
|-
|痛みをいつか勇気へと
|이타미오 이츠카 유우키에토
|아픔을 언젠가 용기로
|-
|想い出を愛に変えて
|오모이데오 아이니 카에테
|추억을 사랑으로 바꿔서
|-
| 
|-
|歩こう 戻れぬ道
|아루코오 모도레누 미치
|걸어가자 돌아올 수 없는 길
|-
|歌おう 仲間と今
|우타오오 나카마토 이마
|노래하자 동료들과 지금
|-
|祈りを響かすように
|이노리오 히비카스 요오니
|이 기도가 울려퍼지도록
|-
|約束するよ 夢を叶える
|야쿠소쿠스루요 유메오카나에루
|꿈을 이루겠다고 약속할게
|-
|Thank you for love
|Thank you for love
|Thank you for love
|-
| 
|-
|あどけないあの日のように
|아도케나이 아노히노요오니
|천진난만했던 그 시절처럼
|-
|両手を空に広げ
|료오테오 소라니히로게
|두 손을 하늘을 향해 펼치고
|-
|夢を追いかけてゆく
|유메오 오이카케테유쿠
|꿈을 쫓아가
|-
|まだ知らぬ未来へ
|마다 시라누 미라이에
|아직 알 수 없는 미래로
|-
| 
|-
|Ah...
|Ah...
|Ah...
|-
| 
|-
|歩こう 果てしない道
|아루코오 하테나이미치
|걸어가자 끝없는 길을
|-
|歌おう {{ruby-ja|天|そら}}を越えて
|우타오오 소라오코에테
|노래하자 하늘을 넘어서
|-
|想いが届くように
|오모이가 토도쿠요오니
|마음이 전해지도록
|-
|約束しよう 前を向くこと
|야쿠소쿠시요오 마에오무쿠코토
|앞을 바라보겠다고 약속하자
|-
|涙拭いて
|나미다후이테
|눈물을 닦고서
|-
| 
|-
|歩いて行こう 決めた道
|아루이테유코오 키메타미치
|걸어가자 결심한 길을
|-
|歌って行こう
|우탓테유코오
|노래하며 가자
|-
|祈りを響かすように
|이노리오 히비카스 요오니
|이 기도가 울려퍼지도록
|-
|そっと誓うよ 夢を叶える
|솟토 치카우요 유메오 카나에루
|가만히 맹세해 꿈을 이루겠다고
|-
|君と仲間に
|키미토 나카마니
|너와 동료들에게
|-
|約束
|야쿠소쿠
|약속할게
|-
|La....
|La....
|La....
|}
== 프로그래밍 언어 ==
[[하재승]], [[Puzzlet Chung]] 이 만든 쉬운 한글 프로그래밍 언어. 한글<ref name="한글과_한국어">정확히는 한국어. 한국어 어순을 따라가려 노력했다.</ref>을 사용자 누구나 쉽게 프로그래밍을 배울 수 있게 하기 위해 만들어진 언어이다. 처음 프로그래밍을 접하는 사람들이 실수하기 쉬운 표현들을 최소화하고 누구나 알아보기 쉬운 코드를 만들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하재승]], [[Puzzlet Chung]] 이 만든 쉬운 한글 프로그래밍 언어. 한글<ref name="한글과_한국어">정확히는 한국어. 한국어 어순을 따라가려 노력했다.</ref>을 사용자 누구나 쉽게 프로그래밍을 배울 수 있게 하기 위해 만들어진 언어이다. 처음 프로그래밍을 접하는 사람들이 실수하기 쉬운 표현들을 최소화하고 누구나 알아보기 쉬운 코드를 만들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2015년 만우절에 발표되었다.
2015년 만우절에 발표되었다. [http://yaksok.org/ 홈페이지]
 
[http://yaksok.org/ 홈페이지]


=== 문법 ===
=== 문법 ===
230번째 줄: 8번째 줄:
추가예정
추가예정


{{각주}}
{{각주}}[[분류:프로그래밍 언어]]
 
[[분류:키사라기 치하야]]
[[분류:아이돌 마스터의 수록곡]]

2015년 9월 25일 (금) 10:43 판

하재승, Puzzlet Chung 이 만든 쉬운 한글 프로그래밍 언어. 한글[1]을 사용자 누구나 쉽게 프로그래밍을 배울 수 있게 하기 위해 만들어진 언어이다. 처음 프로그래밍을 접하는 사람들이 실수하기 쉬운 표현들을 최소화하고 누구나 알아보기 쉬운 코드를 만들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2015년 만우절에 발표되었다. 홈페이지

문법

Python 처럼 들여쓰기를 중심으로 한 단락 구분을 사용한다.

추가예정

각주

  1. 정확히는 한국어. 한국어 어순을 따라가려 노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