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독:다나이데스: 두 판 사이의 차이

(그리스 신화 위키 - wikidok>sajan226 | 다나이데스(http://ko.greekmyth.wikidok.net/wp-d/61eff8cb78c030d75abdbf19/View))
 
 
696번째 줄: 696번째 줄:
아이깁토스의 아들들은 다나오스를 찾아와 적대감을 풀라고 요구하며, 다나이데스에게 청혼했다. 다나오스는 속으론 불신하며 겉으로는 결혼을 승낙한다. 다나오스는 결혼을 축하하는 잔치를 벌이고, 딸들에겐 단검을 주었다. 그러자 [[히페름네스트라]]를 제외한 모든 딸들은 남편을 죽였다. 히페름네스트라의 남편 [[링케우스]]는 아내의 처녀성을 존중해 주었기 때문이다. 그러자 다나오스는 히페름네스트라를 가두고 감시했다. 히페름네스트라는 재판을 받았으나 무죄를 선고받았다. 다른 딸들은 남편의 머리를 레르네에 묻고 장례를 치렀다. 아테나와 [[헤르메스]]가 딸들의 죄를 정화해 주었고, 다나오스는 나중에 히페름네스트라와 링케우스를 동거시킨다. 다른 딸들은 달리기 경주를 열어 우승자들의 아내로 주었다.9
아이깁토스의 아들들은 다나오스를 찾아와 적대감을 풀라고 요구하며, 다나이데스에게 청혼했다. 다나오스는 속으론 불신하며 겉으로는 결혼을 승낙한다. 다나오스는 결혼을 축하하는 잔치를 벌이고, 딸들에겐 단검을 주었다. 그러자 [[히페름네스트라]]를 제외한 모든 딸들은 남편을 죽였다. 히페름네스트라의 남편 [[링케우스]]는 아내의 처녀성을 존중해 주었기 때문이다. 그러자 다나오스는 히페름네스트라를 가두고 감시했다. 히페름네스트라는 재판을 받았으나 무죄를 선고받았다. 다른 딸들은 남편의 머리를 레르네에 묻고 장례를 치렀다. 아테나와 [[헤르메스]]가 딸들의 죄를 정화해 주었고, 다나오스는 나중에 히페름네스트라와 링케우스를 동거시킨다. 다른 딸들은 달리기 경주를 열어 우승자들의 아내로 주었다.9
후대 전승들에 따르면 링케우스는 다나오스와 다나이데스를 모두 죽여 원수를 갚았다고 한다. 또한 다나이데스는 [[타르타로스|타르타로스]]에 가서 밑 바진 독에 물을 붓는 형벌을 받았다.10  
후대 전승들에 따르면 링케우스는 다나오스와 다나이데스를 모두 죽여 원수를 갚았다고 한다. 또한 다나이데스는 [[타르타로스|타르타로스]]에 가서 밑 바진 독에 물을 붓는 형벌을 받았다.10  
[[분류:위키독 포크]]
[[분류:위키독 포크/그리스 신화 위키]]

2024년 3월 14일 (목) 18:32 기준 최신판

다나이데스 Danaides / Δαναΐδες

파일:/api/File/Real/61eff0d478c030d75abdbaa5 다나이데스,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 1903

구성원 히페름네스트라, 고르고포네, 아미모네 등...
가족 관계 다나오스(아버지), 아이깁토스의 아들들(남편)
관련 지역 아르고스

신화[원본 편집]

다나이데스는 아르고스 왕 다나오스와 여러 여인들 사이에서 태어난 쉰 명의 딸들을 지칭한다. 이들은 아버지의 원수이자 형제인 아이깁토스의 아들들과 결혼했고, 아버지의 명에 따라 이들을 모두 죽였다. 후대 전승에 따르면 이들은 타르타로스에서 밑 빠진 독에 물을 붓는 영원한 형벌을 받았다. 오직 장녀 히페름네스트라만이 남편을 죽이지 않아 벌을 면했다.

가계[원본 편집]

부모

다나오스+여러 여인들(아래 참고) 1

다나오스+멜리아 2

다나이데스는 다나오스의 딸들이다. 그들은 다양한 어머니를 가졌는데, 아폴로도로스는 그들의 어머니 이름을 모두 전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전승에 따르면 다나오스의 아내는 멜리아였다. 다나오스의 딸들은 모두 아이깁토스의 아들들과 결혼했다.

목록[원본 편집]

아폴로도로스의 목록[원본 편집]

아폴로도로스 『도서관』 2.1.5에서는 다나이데스의 목록 뿐 아니라 그들의 어머니, 남편, 남편의 어머니 목록을 전하고 있다.

다나이데스의 어머니 다나이데스 남편의 어머니 남편(아이깁토스의 아들)

엘레판티스 (Elephantis, Ἐλεφαντίς)

히페름네스트라(Hypermnestra, Ὑπερμνήστρα)

아르기피아

(Argyphia, Ἀργυφίηα)
링케우스(Lynkeus, Λυγκεύς)
고르고포네(Gorgophone, Γοργοφόνη)
프로테우스(Proteus, Πρωτεύς)

에우로페

(Europe, Εὐρώπη)
아우토마테(Automate, Αὐτομάτη)
부시리스(Bousiris, Βούσιρις)
아미모네(Amymone, Αμυμωνη)
엥켈라도스(Enkelados, Ἐγκέλαδος)
아가우에(Agaue, Ἀγαύη)
리코스(Lykos, Λύκος)
스카이에(Skaie, Σκαιή)
다이프론(Daiphron, Δαΐφρων)
나무의 님프 아틀란테이아(Atlanteia, Ατλαντειη)와 포이베(Phoibe, Φοιβη)
힙포다메이아(Hippodameia, Ἱπποδάμεια)
아라비아 여인
이스트로스(Istros, Ἴστρος)
로디아(Rhodia, Ῥόδια)
칼코돈(Chalkodon, Χαλκώδων)
클레오파트라(Kleopatra, Κλεοπάτρα)
아게노르(Agenor, Ἀγήνωρ)
아스테리아(Asteria, Ἀστερία)
카이토스(Chaitos, Χαῖτος)
힙포다메이아(Hippodameia, Ἱπποδάμεια)
디오코리스테스(Diokorystes, Διοκορυστὴς)
글라우케(Glauke, Γλαυκή)
알케스(Alkes, Ἄλκης)
힙포메두사(Hippomedousa, Ἱππομέδουσα)
알크메노르(Alkmenor, Ἀλκμήνωρ)
고르게(Gorge, Γόργη)
힙포노오스(Hippothoos, Ἱππόθοος)
이피메두사(Iphimedousa, Ἰφιμέδουσα)
에우케노르(Euchenor, Εὐχήνωρ)
로데(Rhode, Ῥόδη)
힙폴리토스(Hippolytos, Ἱππόλυτος)
아이티오피아 여인
페이레네(Peirene, Πειρήνη)
포이니케 여인
아갑톨레모스(Agaptolemos, Ἀγαπτόλεμος)
도리온(Dorion, Δώριον)
케르케테스(Kerketes, Κερκέτης)
파르티스(Phartis, Φάρτις)
에우리다마스(Eurydamas, Εὐρυδάμᾱς)
므네스트라(Mnestra, Μνήστρα)
아이기오스(Aigios, Αἴγιος)
에우입페(Euippe, Εὐίππη)
아르기오스(Argios, Ἀργεύς)
아낙시비아(Anaxibia, Ἀναξίβια)
아르켈라오스(Archelaos, Ἀρχέλαος)
넬로(Nelo, Νηλώ) 메네마코스(Menemachos, Μενέμαχος)

멤피스 (Memphis, Μέμφις)

클레이테(Kleite, Κλείτη)

티리아 (Tyria, Τυρία)

클레이토스(Kleitos, Κλεῖτος)
스테넬레(Sthenele, Σθενέλη)
스테넬로스(Sthenelos, Σθένελος)
크리십페(Chrysippe, Χρυσίππη)
크리십포스(Chrysippos, Χρύσιππος)

물의 님프 폴릭소

(Polyxo, Πολυξώ)
아우토노에(Autonoe, Αὐτονόη)

물의 님프 칼리아드네

(Kaliadne, Καλιάδνη)
에우릴로코스(Eurylochos, Εὐρύλοχος)
테아노(Theano, Θεανώ)
판테스(Phantes, Φάντης)
엘렉트라(Elektra, Ἠλέκτρα)
페리스테네스(Peristhenes, Περισθένης)
클레오파트라(Kleopatra, Κλεοπάτρα)
헤르모스(Hermos, Ἕρμος)
에우리디케(Eurydike, Εὐρυδίκη)
드리아스(Dryas, Δρύας)
글라우킵페(Glaukippe, Γλαυκίππη)
포타몬(Potamon ,Ποταμὼν)
안텔레이아(Antheleia, Ἀνθήλεια)
킷세우스(Kisseus, Κισσεὺς)
클레오도레(Kleodore, Κλεοδώρη)
릭소스(Lixos, Λίξος)
에우입페(Euippe, Εὐίππη)
임브로스(Imbros, Ἴμβρος)
에라토(Erato, Ἐρατώ)
브로미오스(Bromios, Βρομίος)
스틱네(Stygne, Στύγνη)
폴릭토르(Polyktor, Πολύκτωρ)
브리케(Bryke, Βρύκη)
크토니오스(Chthonios, Χθόνιος)

피에리아

(Pieria, Πιερία)
악타이에(Aktaie, Ἁκταία)

고르고

(Gorgo, Γοργό)
페리파스(Periphas, Περίφᾱς)
포다르케(Podarke, Ποδάρκη)
오이네우스(OIneus, Οἰνεὺς)
디옥십페(Dioxippe, Διωξίππη)
아이깁토스(Aigyptos, Αἴγυπτος)
아디테(Adite, Ἀδίτη)
메날케스(Menalkes, Μενάλκης)
오키페테(Okypete, Ὠκυπέτη)
람포스(Lampos, Λάμπος)
필라르게(Pylarge, Πυλάργη)
이드몬(Idmon, Ἴδμων)

헤르세

(Herse, Ἕρση)
힙포디케(Hippodike, Ἱπποδίκη)

헤파이스티네

(Hephaistine, Ἡφαιστίνη)
이다스(Idas, Ἴδας)
아디안테(Adiante, Ἀδιάντη)
다이프론(Daiphron, Δαΐφρων)

크리노

(Krino,

Κρινώ)

칼리디케(Kallidike, Καλλιδίκη)
판디온(Pandion, Πανδίων)
오이메(Oime, Οἴμη)
아르벨로스(Arbelos, Ἄρβηλος)
켈라이노(Kelaino, Κελαινώ)
히페르비오스(Hyperbios, Ὑπέρβιος)
히페립페(Hyperippe, Ὑπερίππη)
 힙포코리스테스(Hippokorystes, Ἱπποκορυστὴς)

히기누스의 목록[원본 편집]

히기누스 『이야기』에서는 다나이데스와 이들의 남편 목록을 전하고 있으나 일부 훼손되었다.

다나이데스 남편(아이깁토스의 아들) 다나이데스 남편(아이깁토스의 아들)
미데아(Midea) 안티마코스(Antimachos) 아카만티스(Akamantis) 에크노미오스(Eknomios)
필로멜라(Philomela) 판티오스(Panthios) 아르살테(Arsalte) 에피알테스(Ephialtes)
스킬라(Skylla) 프로테우스(Proteus) 모누스테(Monuste) 에우리스테네스(Eurysthenes)
암피코모네(Amphikomone) 플렉십포스(Plexippos) 아미모네(Amymone) 미다노스(Midanos)
에우입페(Euippe) 아게노르(Agenor) 헬리케(Helike) 에우이데아(Euidea)
데모디타스(Demoditas) 크리십포스(Chrysippos) 오이메(Oime) 폴리덱토르(Polydektor)
히알레(Hyale) 페리오스(Perios) 폴리베(Polybe) 이토노모스(Itonomos)
트리테(Trite) 엥켈라도스(Enkelados) 헬릭타(Helikta) 캇소스(Kassos)
다모네(Damone) 아민토르(Amyntor) 엘렉트라(Elektra) 히페란토스(Hyperantos)
힙포토에(Hippothoe) 오브리모스(Obrimos) 에우불레(Eubule) 데마르코스(Demarchos)
미르미도네(Myrmidone) 미네우스(Mineus) 다플리디케(Daplidike) 푸그노(Pugno)
에우리디케(Eurydike) 칸토스(Kanthos) 헤로(Hero) 안드로마코스(Andromachos)
클레오(Kleo) 아스테리오스(Asterios) 에우로포메(Europome) 에틀레테스(Ethletes)
아르카디아(Arkadia) 크산토스(Xanthos) 피란티스(Pyrantis) 플렉십포스(Plexippos)
클레오파트라(Kleopatra) 메탈케스(Metalkes) 크리토메디아(Kritomedia) 안티파포스(Antipaphos)
필리아(Philia) 필리노스(Philinos) 페이레네(Peirene) 돌리코스(Dolichos)
힙파레테(Hipparete) 프로테온(Protheon) 에우페메(Eupheme) 히페르비오스(Hyperbios)
크리소테미스(Chrysothemis) 아스테리데스(Asterides) 테미스타고라(Themistagora) 포다시모스(Podasimos)
피란테(Pyrante) 아타마스(Athamas) 켈라이노(Kelaino) 아리스토노오스(Aristonoos)
? 아르모아스보스(Armoasbos) 이테아(Itea) 안티오코스(Antiochos)
글라우킵페(Glaukippe) 니아우이오스(Niauios) 에라토(Erato) 에우다이몬(Eudaimon)
데모필레(Demophile) 팜필로스(Pamphilos) 히페름네스트라(Hypermnestra) 링케우스(Lynkeus)
아우토디케(Autodike) 클리토스(Klytos) ? ?
폴릭세네(Polyxene) 아이깁토스(Aigyptos) ? ?
헤카베(Hekabe) 드리아스(Dryas) ? ?

그 외[원본 편집]

일부 다나이데스 개인은 별도의 역할을 가지고 언급되기도 한다.

  • 필로다메이아(Phylodameia, Φυλοδαμεία): 헤르메스의 연인 3
  • 시데(Side, Σίδη): 라코니아에 있는 한 마을 이름의 유래. 4
  • 폴리도라(Polydora, Πολυδώρᾱ): 하신 스페르케이오스의 연인. 5

신화[원본 편집]

아르고스로의 이주[원본 편집]

다나오스는 아버지 벨로스에게서 리비에 땅을 물려받는다. 한편 형제 아이깁토스는 아라비아 땅을 물려받고는 멜람포데스족의 나라를 정복하고 자기 이름을 따서 아이깁토스(이집트)라고 불렀다. 다나오스는 쉰 명의 딸, 아이깁토스는 쉰 명의 아들을 낳았다. 나중에 다나오스와 아이깁토스 간에 왕위 다툼이 일어나자, 또는 아이깁토스의 아들들이 다나오스의 딸들에게 청혼하자 위협을 느낀 다나오스는 아테나의 도움으로 배를 건조한다. 다나오스는 처음으로 배를 건조한 인물이라고 한다. 다나오스는 딸들을 이끌고 아프리카를 떠난다. 다나오스는 도중에 로도스에 들려서 린도스시에 아테나 신상을 세운다. 디오도로스에 따르면 린도스시에서 딸들 중 셋이 죽었다고 한다. 이후 다나오스는 아르고스에 도착하는데, 당시 아르고스를 다스리던 것은 포로네우스의 후손 겔라노르(또는 펠라스고스)였다. 겔라노르는 다나오스에게 왕권을 넘겨주었다.6 다른 전승에 의하면 겔라노르와 다나오스의 왕권을 두고 다툼이 지속되어 사람들이 결정을 다음날로 미뤘다고 한다. 근데 새벽녘에 늑대가 아르고스의 황소를 공격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아르고스인들은 이를 외부인 다나오스가 왕권을 잡아야 한다는 신탁으로 여겼고, 다나오스를 왕으로 세웠다. 다나오스는 그 보답으로 아폴론 리키오스(늑대의 신)의 신전을 세웠다.7

결혼과 남편 살해[원본 편집]

당시 아르고스는 이나코스) 다나오스는 딸들에게 물을 찾아보도록 했다. 그 중 한 명인 아미모네가 포세이돈의 사랑을 받아 레르나의 샘들을 발견한다. 다른 전승에 따르면 포세이돈이 삼지창으로 레르네의 샘들과 아미모네라는 강을 만들어 냈다고 한다.8 아이깁토스의 아들들은 다나오스를 찾아와 적대감을 풀라고 요구하며, 다나이데스에게 청혼했다. 다나오스는 속으론 불신하며 겉으로는 결혼을 승낙한다. 다나오스는 결혼을 축하하는 잔치를 벌이고, 딸들에겐 단검을 주었다. 그러자 히페름네스트라를 제외한 모든 딸들은 남편을 죽였다. 히페름네스트라의 남편 링케우스는 아내의 처녀성을 존중해 주었기 때문이다. 그러자 다나오스는 히페름네스트라를 가두고 감시했다. 히페름네스트라는 재판을 받았으나 무죄를 선고받았다. 다른 딸들은 남편의 머리를 레르네에 묻고 장례를 치렀다. 아테나와 헤르메스가 딸들의 죄를 정화해 주었고, 다나오스는 나중에 히페름네스트라와 링케우스를 동거시킨다. 다른 딸들은 달리기 경주를 열어 우승자들의 아내로 주었다.9 후대 전승들에 따르면 링케우스는 다나오스와 다나이데스를 모두 죽여 원수를 갚았다고 한다. 또한 다나이데스는 타르타로스에 가서 밑 바진 독에 물을 붓는 형벌을 받았다.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