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폰 린네: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린네(Linné, Carl von) 또는 칼 폰 린네는 스웨덴의 박물학자ㆍ식물학자(1707~1778)이다. 저서 ≪자연의 분류≫에서 생물의 학명을 속명과 종명...)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린네 종(Linné種)은 생명과학,생물학등에서 18세기 중엽에 린네에 의하여 확립된 생물 분류의 기본 단위를 말한다. 생물 형태의 명확한 불연속성을 분류의 기초로 하였다.
린네 종(Linné種)은 생명과학,생물학등에서 18세기 중엽에 린네에 의하여 확립된 생물 분류의 기본 단위를 말한다. 생물 형태의 명확한 불연속성을 분류의 기초로 하였다.


== 이명법==
이명법(二名法) 또는 이명명법(二命名法)은 생물 분류학에서, 속명(屬名) 다음에 종명(種名)을 적어서 생물 하나하나의 종류를 라틴어로 나타내는 명명법. 1758년에 스웨덴의 식물학자 린네가 창시한 것으로, 현재 학명은 이 방식을 취하고 있다.


{{각주}}
{{각주}}
[[분류:생물]]
[[분류:생물]]

2022년 3월 20일 (일) 18:34 판

린네(Linné, Carl von) 또는 칼 폰 린네는 스웨덴의 박물학자ㆍ식물학자(1707~1778)이다. 저서 ≪자연의 분류≫에서 생물의 학명을 속명과 종명으로 나타내는 이명법(二名法)을 창안하여 현대 생물 분류학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처음으로 대학에서 동물학과 식물학의 독립된 강의를 하였다. 저서에 ≪식물의 종≫, ≪식물의 강(綱)≫ 따위가 있다.

린네 종

린네 종(Linné種)은 생명과학,생물학등에서 18세기 중엽에 린네에 의하여 확립된 생물 분류의 기본 단위를 말한다. 생물 형태의 명확한 불연속성을 분류의 기초로 하였다.

이명법

이명법(二名法) 또는 이명명법(二命名法)은 생물 분류학에서, 속명(屬名) 다음에 종명(種名)을 적어서 생물 하나하나의 종류를 라틴어로 나타내는 명명법. 1758년에 스웨덴의 식물학자 린네가 창시한 것으로, 현재 학명은 이 방식을 취하고 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