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A 회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생물학]]
[[분류:생물학]]
'''TCA 회로'''(tricarboxylic acid cycle)란, [[세포호흡]] 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기질에서 일어나는 하나의 [[물질대사]] 과정이다. 독일계 영국인 과학자인 발견자 [[크레브스]](Krebs, Sir Hans Adolf) 이름을 따서 '''크렙스 회로'''(Krebs cycle)라고도 하고, '''시트르산 회로'''(citric acid cycle)라고도 한다.
'''TCA 회로'''(tricarboxylic acid cycle)란, [[세포호흡]] 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기질(基質,matrix)에서 일어나는 하나의 [[물질대사]] 과정이다. 독일계 영국인 과학자인 발견자 [[크레브스]](Krebs, Sir Hans Adolf) 이름을 따서 '''크렙스 회로'''(Krebs cycle)라고도 하고, '''시트르산 회로'''(citric acid cycle)라고도 한다.
[[File:TCA cycle.svg|thumb]]
[[File:TCA cycle.svg|thumb]]


7번째 줄: 7번째 줄:


==과정==
==과정==
 
{| class="wikitable"
|-
| [[파일:Citricacidcycle ball.svg|700px]]
|-
| 예시
|}
==의의==
==의의==
 
재활용이라는 생화학적 전략의 측면에서 이해해본다면 TCA 회로의 가장 주요한 핵심은 복잡하게 많은 기질(基質,substrate)들이나 다양한 다른 회로난 반응물들과의 관련성에 있지않다.  시트르산 회로(citric acid cycle)의 한 사이클(cycle)동안 [[기질]](substrate)이 다음 기질로 변화하더라도 이들에서 탄소골격(Carbon Backbone)들의  골격(back bone,백본)이 그 형태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매우 효율적으로 미세하게 자리 이동한다는 점이다. 이 때 보여주는 중요한 핵심은 한 바퀴 사이클이 끝나고 다시 다음 사이클이 개시될때 원래의  탄소골격을 회복하기위한          이러한 생화학적 전략은
==관련 문서==
==관련 문서==
*[[전자전달계]]
*[[전자전달계]]
15번째 줄: 20번째 줄:
*[[요소회로]]
*[[요소회로]]
*[[코리 회로]]
*[[코리 회로]]
*[[세포핵]]

2022년 3월 13일 (일) 12:00 판

TCA 회로(tricarboxylic acid cycle)란, 세포호흡 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기질(基質,matrix)에서 일어나는 하나의 물질대사 과정이다. 독일계 영국인 과학자인 발견자 크레브스(Krebs, Sir Hans Adolf) 이름을 따서 크렙스 회로(Krebs cycle)라고도 하고, 시트르산 회로(citric acid cycle)라고도 한다.

TCA cycle.svg

개요

포도당해당과정(glycolysis)에서 생성된 두 개의 피루브산이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의 기질에 들어가 이산화탄소, NADH, FADH2, ATP를 생성해 내는 과정이다. 나오는 용어들이 매우 생소하고 많기에, 고등학교 《생명과학 II》에서 골머리를 썩는 학생들이 꽤나 많다.

과정

Citricacidcycle ball.svg
예시

의의

재활용이라는 생화학적 전략의 측면에서 이해해본다면 TCA 회로의 가장 주요한 핵심은 복잡하게 많은 기질(基質,substrate)들이나 다양한 다른 회로난 반응물들과의 관련성에 있지않다. 시트르산 회로(citric acid cycle)의 한 사이클(cycle)동안 기질(substrate)이 다음 기질로 변화하더라도 이들에서 탄소골격(Carbon Backbone)들의 골격(back bone,백본)이 그 형태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매우 효율적으로 미세하게 자리 이동한다는 점이다. 이 때 보여주는 중요한 핵심은 한 바퀴 사이클이 끝나고 다시 다음 사이클이 개시될때 원래의 탄소골격을 회복하기위한 이러한 생화학적 전략은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