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조직: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지방조직(脂肪組織)은 지방 세포의 다수 집합으로 이루어진 조직. 영양의 저장, 조직 간격의 충전, 보온 따위의 작용을 하며, 사람의 아랫배, 볼기 따위에 많이 분포한다. <ref>[참고]지방내 혈관내피세포의 염증 기전 Mechanism of endothelial cell inflammation in adipose tissue
지방조직(脂肪組織,adipose tissue)은 지방 세포의 다수 집합으로 이루어진 조직. 영양의 저장, 조직 간격의 충전, 보온 따위의 작용을 하며, 사람의 아랫배, 볼기 따위에 많이 분포한다. <ref>[참고]지방내 혈관내피세포의 염증 기전 Mechanism of endothelial cell inflammation in adipose tissue
운동학 학술지 2008, vol.10, no.1, 통권 24호 pp. 57-70 (14 pages) UCI : G704-SER000008667.2008.10.1.005 발행기관 : 대한운동사협회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64532 </ref><ref>우리말샘 지방조직 등</ref>
운동학 학술지 2008, vol.10, no.1, 통권 24호 pp. 57-70 (14 pages) UCI : G704-SER000008667.2008.10.1.005 발행기관 : 대한운동사협회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64532 </ref><ref>우리말샘 지방조직 등</ref>


11번째 줄: 11번째 줄:
==체지방조직==
==체지방조직==
체지방조직(體脂肪組織)은 신체를 구성하는 지방 조직. 피하 조직, 유선, 신장 주위 등에 널리 분포하며 저장 지방으로 에너지에 이용되는 것 외에 내장 보호와 체온 조절 기능을 한다.
체지방조직(體脂肪組織)은 신체를 구성하는 지방 조직. 피하 조직, 유선, 신장 주위 등에 널리 분포하며 저장 지방으로 에너지에 이용되는 것 외에 내장 보호와 체온 조절 기능을 한다.
==지근==
지근(遲筋,slow(또는 brown)-twitch fibers)은 척추동물의 골격근 가운데 생리적 수축의 속도가 느린 근육이다. 갈색지근섬유로 알려져있다. 지속적으로 긴장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반해  속근섬유(速筋纖維,fast(또는 white)-twitch fibers)는 흰색을 띈 근육 섬유로 구성된, 수축 속도가 빠른 근육을 가리킨다. 순간적으로 힘을 낼 때 사용된다. 지방조직(adipose tissue)의 에너지대사에서 저장후 인출과정은 지근(slow-twitch fibers)과 보다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된바있다. <ref>Hirabayashi M, Ijiri D, Kamei Y, Tajima A, Kanai Y. Transformation of Skeletal Muscle from Fast- to Slow-Twitch during Acquisition of Cold Tolerance in the Chick. Endocrinology. 2005 Jan;146(1):399-405. doi: 10.1210/en.2004-0723. Epub 2004 Oct 7. PMID: 15471958.</ref><ref>Yoshida T, Umekawa T, Kumamoto K, Sakane N, Kogure A, Kondo M, Wakabayashi Y, Kawada T, Nagase I, Saito M. beta 3-Adrenergic agonist induces a functionally active uncoupling protein in fat and slow-twitch muscle fibers. Am J Physiol. 1998 Mar;274(3):E469-75. doi: 10.1152/ajpendo.1998.274.3.E469. PMID: 9530130.</ref><ref>Hennig R, Lømo T. Firing patterns of motor units in normal rats. Nature. 1985 Mar 14-20;314(6007):164-6. doi: 10.1038/314164a0. PMID: 3974720.</ref>


<hr>
<hr>
{{각주}}
{{각주}}
[[분류:생화학]]
[[분류:생화학]]

2022년 3월 10일 (목) 19:22 판

지방조직(脂肪組織,adipose tissue)은 지방 세포의 다수 집합으로 이루어진 조직. 영양의 저장, 조직 간격의 충전, 보온 따위의 작용을 하며, 사람의 아랫배, 볼기 따위에 많이 분포한다. [1][2]

겨울잠

갈색지방조직(褐色脂肪組織)은 겨울잠을 자는 포유류나 갓난아이의 어깨뼈에 붙어 있는 지방 조직. 곰, 다람쥐, 고슴도치 따위나 갓난아이에 있는데, 겨울잠에서 깰 때 혹은 굶주렸을 때 몸에 에너지를 공급하게 한다.

백색 지방조직

백색 지방조직(白色脂肪組織)은 피부 밑이나 내부 장기에 있는 지방 조직. 혈관 분포가 적으며, 주로 열 차단, 기계적 완충 및 에너지원으로 작용한다.

체지방조직

체지방조직(體脂肪組織)은 신체를 구성하는 지방 조직. 피하 조직, 유선, 신장 주위 등에 널리 분포하며 저장 지방으로 에너지에 이용되는 것 외에 내장 보호와 체온 조절 기능을 한다.

지근

지근(遲筋,slow(또는 brown)-twitch fibers)은 척추동물의 골격근 가운데 생리적 수축의 속도가 느린 근육이다. 갈색지근섬유로 알려져있다. 지속적으로 긴장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반해 속근섬유(速筋纖維,fast(또는 white)-twitch fibers)는 흰색을 띈 근육 섬유로 구성된, 수축 속도가 빠른 근육을 가리킨다. 순간적으로 힘을 낼 때 사용된다. 지방조직(adipose tissue)의 에너지대사에서 저장후 인출과정은 지근(slow-twitch fibers)과 보다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된바있다. [3][4][5]


각주

  1. [참고]지방내 혈관내피세포의 염증 기전 Mechanism of endothelial cell inflammation in adipose tissue 운동학 학술지 2008, vol.10, no.1, 통권 24호 pp. 57-70 (14 pages) UCI : G704-SER000008667.2008.10.1.005 발행기관 : 대한운동사협회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64532
  2. 우리말샘 지방조직 등
  3. Hirabayashi M, Ijiri D, Kamei Y, Tajima A, Kanai Y. Transformation of Skeletal Muscle from Fast- to Slow-Twitch during Acquisition of Cold Tolerance in the Chick. Endocrinology. 2005 Jan;146(1):399-405. doi: 10.1210/en.2004-0723. Epub 2004 Oct 7. PMID: 15471958.
  4. Yoshida T, Umekawa T, Kumamoto K, Sakane N, Kogure A, Kondo M, Wakabayashi Y, Kawada T, Nagase I, Saito M. beta 3-Adrenergic agonist induces a functionally active uncoupling protein in fat and slow-twitch muscle fibers. Am J Physiol. 1998 Mar;274(3):E469-75. doi: 10.1152/ajpendo.1998.274.3.E469. PMID: 9530130.
  5. Hennig R, Lømo T. Firing patterns of motor units in normal rats. Nature. 1985 Mar 14-20;314(6007):164-6. doi: 10.1038/314164a0. PMID: 3974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