락투카리움: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야생상추==
==야생상추==
상추는 건위제, 숙면, 진정제, 항염효과 등의 다양한 긍정적인 성분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섭취되고 있다. 한편 야생 상추(Lactuca virosa)는 먹으면 독성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는 사례가 보고된 바있다.<ref>BMJ Case Rep. 2009; 2009: bcr06.2008.0134. Published online 2009 Apr 28. doi: 10.1136/bcr.06.2008.0134 PMCID: PMC3031874 PMID: 21686920 Other full case Wild lettuce (Lactuca virosa) toxicity</ref><ref>[참고](상추 7 품종의 Quinic Acid 유도체 분석 및 Peroxynitrite 소거효과 Analysis of Quinic Acid Derivatives on Seven Cultivars of the Lettuce (Lactuca sativa L.) and Peroxynitrite Scavenging Effect 생약학회지 v.40 no.4 = no.159 , 2009년, pp.376 - 381  누그로호 아궁 (상지대학교 제약공학과 ) ;  장석우 (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센터 ) ;  김원배 (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센터 ) ;  이강노 (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 ;  최재수 (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  박희준 ( 상지대학교 제약공학과) )https://scienceon.kisti.re.kr/commons/util/originalView.do?cn=JAKO200916955022197&oCn=JAKO200916955022197&dbt=JAKO&journal=NJOU00007900</ref>
상추는 건위제, 숙면, 진정제, 항염효과 등의 다양한 긍정적인 성분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섭취되고 있다. 한편 야생 상추(Lactuca virosa)는 먹으면 독성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는 사례가 보고된 바있다.<ref>BMJ Case Rep. 2009; 2009: bcr06.2008.0134. Published online 2009 Apr 28. doi: 10.1136/bcr.06.2008.0134 PMCID: PMC3031874 PMID: 21686920 Other full case Wild lettuce (Lactuca virosa) toxicity</ref><ref>[참고](상추 7 품종의 Quinic Acid 유도체 분석 및 Peroxynitrite 소거효과 Analysis of Quinic Acid Derivatives on Seven Cultivars of the Lettuce (Lactuca sativa L.) and Peroxynitrite Scavenging Effect 생약학회지 v.40 no.4 = no.159 , 2009년, pp.376 - 381  누그로호 아궁 (상지대학교 제약공학과 ) ;  장석우 (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센터 ) ;  김원배 (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센터 ) ;  이강노 (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 ;  최재수 (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  박희준 ( 상지대학교 제약공학과) )https://scienceon.kisti.re.kr/commons/util/originalView.do?cn=JAKO200916955022197&oCn=JAKO200916955022197&dbt=JAKO&journal=NJOU00007900</ref>
==락투카리움==
{| class="wikitable"
|-
| 예시 || 예시 || 예시
|-
| 예시 || 예시 || 예시
|}


==같이 보기==
==같이 보기==
9번째 줄: 17번째 줄:


<hr>
<hr>
{{각주}}
*[참고]펍켐
*[참고](대한화학회-유기화합물 명명법)http://image.kcsnet.or.kr/file/abstract/112/data/%EB%AA%85%EB%AA%85%EB%B2%952(%EC%9C%A0%EA%B8%B0%ED%99%94%ED%95%99).pdf
[[분류:  생화학 ]]
[[분류:  생화학 ]]

2022년 3월 10일 (목) 12:51 판

상추(Lettuce, 학명: Lactuca Sativa)의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이자 주요 성분으로 잘 알려진 락투카리움(lactucarium)은 테르펜(terpene)계열로 락투카리움에는 알파-락투세롤(α-lactucerol) ,베타-락투세롤(β-lactucerol), 락투신(lactucin) , 락투코피크린(lactucopicrin)등 이들 추출물의 통칭이다.[1]

야생상추

상추는 건위제, 숙면, 진정제, 항염효과 등의 다양한 긍정적인 성분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섭취되고 있다. 한편 야생 상추(Lactuca virosa)는 먹으면 독성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는 사례가 보고된 바있다.[2][3]

락투카리움

예시 예시 예시
예시 예시 예시

같이 보기


각주

  1. Food Sci Biotechnol. 2017; 26(3): 807–814. Published online 2017 May 29. doi: 10.1007/s10068-017-0107-1 PMCID: PMC6049580 PMID: 30263607 , Sleep-inducing effect of lettuce (Lactuca sativa) varieties on pentobarbital-induced sleep - Hae Dun Kim,1 Ki-Bae Hong,2 Dong Ouk Noh,3 and Hyung Joo Suhcorresponding author4
  2. BMJ Case Rep. 2009; 2009: bcr06.2008.0134. Published online 2009 Apr 28. doi: 10.1136/bcr.06.2008.0134 PMCID: PMC3031874 PMID: 21686920 Other full case Wild lettuce (Lactuca virosa) toxicity
  3. [참고](상추 7 품종의 Quinic Acid 유도체 분석 및 Peroxynitrite 소거효과 Analysis of Quinic Acid Derivatives on Seven Cultivars of the Lettuce (Lactuca sativa L.) and Peroxynitrite Scavenging Effect 생약학회지 v.40 no.4 = no.159 , 2009년, pp.376 - 381 누그로호 아궁 (상지대학교 제약공학과 ) ; 장석우 (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센터 ) ; 김원배 (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센터 ) ; 이강노 (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 ; 최재수 (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 박희준 ( 상지대학교 제약공학과) )https://scienceon.kisti.re.kr/commons/util/originalView.do?cn=JAKO200916955022197&oCn=JAKO200916955022197&dbt=JAKO&journal=NJOU00007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