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법무병원: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5번째 줄:


정원 900명에 1200여명을 수용할 정도로 만성적인 인력 부족 및 수용자 과밀 문제에 시달리고 있어, 타 진료과 인력 충당은 꿈에도 못 꾸고 MRI 등의 고가 장비가 필요한 진료는 인근의 협력병원에서 해결하는 처지다<ref>[https://news.joins.com/article/23448666  안인득 거쳐간 공주감호소 "의사 없어 약밖에 못 준다"], 중앙일보, 2019.04.24.</ref>. 2016년에는 정신병원 평가인증을 조건부 재허가로 간신히 통과했다<ref>[https://www.yna.co.kr/view/AKR20160715065000061 "얼마나 열악했으면"…유일한 공주치료감호소 조건부 병원 인증], 연합뉴스, 2016.07.17.</ref>.
정원 900명에 1200여명을 수용할 정도로 만성적인 인력 부족 및 수용자 과밀 문제에 시달리고 있어, 타 진료과 인력 충당은 꿈에도 못 꾸고 MRI 등의 고가 장비가 필요한 진료는 인근의 협력병원에서 해결하는 처지다<ref>[https://news.joins.com/article/23448666  안인득 거쳐간 공주감호소 "의사 없어 약밖에 못 준다"], 중앙일보, 2019.04.24.</ref>. 2016년에는 정신병원 평가인증을 조건부 재허가로 간신히 통과했다<ref>[https://www.yna.co.kr/view/AKR20160715065000061 "얼마나 열악했으면"…유일한 공주치료감호소 조건부 병원 인증], 연합뉴스, 2016.07.17.</ref>.
== 주요 업무 ==
* 심신장애자 치료 (치료감호 1호)
*: 일반적인 정신장애자가 치료감호명령을 받은 경우.
* 약물중독자 치료 (치료감호 2호)
*: 약물중독재활센터에서 술, 마약 등에 절어있는 중독자를 치료한다. 1996년 개소한 마약병동을 기반으로 하여 2009년 약물중독재활센터로 확대되어 현재에 이른다.
* 정신성적장애 치료 (치료감호 3호)
*: 여기서 말하는 정신성적장애는 소아기호증, 가학증 등이며 이들이 성범죄로 금고형 이상 형벌을 받았을 경우 치료감호명령을 받을 수 있다. 2008년 치료감호법 개정에 따라 성적장애 치료업무가 추가되면서 "인성치료재활센터"가 개소했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20년 12월 20일 (일) 21:19 판

충남 공주시 반포면 봉곡리에 위치한 국책병원 중 한 곳으로, 치료감호를 전문적으로 맡는 곳이다. 그 성격상 보건복지부가 아니라 법무부의 관리를 받는 병원이다.

개요

이 시설은 1987년에 치료감호소라는 이름으로 개청하였고, 1997년 "국립감호정신병원"이라는 병원명칭을 병행사용하기로 결정하였으며[1], 2006년 병원명칭을 "국립법무병원"으로 바꿔 현재에 이르고 있는 것[2]. 소재지의 이름을 따 "공주치료감호소"라고도, 또는 두 명칭을 병립해서 "국립법무병원 치료감호소"라고도 불리나 둘 다 정식 명칭은 아니다.

정원 900명에 1200여명을 수용할 정도로 만성적인 인력 부족 및 수용자 과밀 문제에 시달리고 있어, 타 진료과 인력 충당은 꿈에도 못 꾸고 MRI 등의 고가 장비가 필요한 진료는 인근의 협력병원에서 해결하는 처지다[3]. 2016년에는 정신병원 평가인증을 조건부 재허가로 간신히 통과했다[4].

주요 업무

  • 심신장애자 치료 (치료감호 1호)
    일반적인 정신장애자가 치료감호명령을 받은 경우.
  • 약물중독자 치료 (치료감호 2호)
    약물중독재활센터에서 술, 마약 등에 절어있는 중독자를 치료한다. 1996년 개소한 마약병동을 기반으로 하여 2009년 약물중독재활센터로 확대되어 현재에 이른다.
  • 정신성적장애 치료 (치료감호 3호)
    여기서 말하는 정신성적장애는 소아기호증, 가학증 등이며 이들이 성범죄로 금고형 이상 형벌을 받았을 경우 치료감호명령을 받을 수 있다. 2008년 치료감호법 개정에 따라 성적장애 치료업무가 추가되면서 "인성치료재활센터"가 개소했다.

같이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