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버브: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음향]]
[[분류:음향]]
리버브(reverb 또는 reverberation)은 잔향을 말한다. 디지탈 음악 작업에서는 잔향을 만들어주는 소프트웨어 그 자체를 말하기도 한다.


소리의 잔향은 어떠한 공간에서 최초의 소리가 청취자와 벽에 부딪히며 초기반사가 일어나고 이런 반사들이 모여서 잔향을 만들어낸다. 보통  
=잔향=
 
리버브(reverb 또는 reverberation)은 잔향을 말한다.
잔향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소리의 잔향은 어떠한 공간에서 최초의 소리가 청취자와 벽에 부딪히며 초기반사가 일어나고 이런 반사들이 모여서 잔향을 만들어낸다. 보통 잔향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1. 잔향은 청취자가 최초로 듣는 소리보다 나중에 들린다.</br>
1. 잔향은 청취자가 최초로 듣는 소리보다 나중에 들린다.</br>
19번째 줄: 18번째 줄:
[[File: reverberation (1).png|500px]]
[[File: reverberation (1).png|500px]]


드라이신호 이후 약간의 지연시간이 음원과의 거리와 공간의 크기를 결정하게 된다. 공간이 넓을 수록 지연시간이 길어진다. 0.3초 이상의 지연시간은 리버브라기 보단 메아리에 가깝게 된다. 초기반사를 포함한 잔향이 유지되는 시간은 최대로 잡아도 2초 미만으로 이루어진다.
드라이신호 이후 약간의 지연시간이 음원과의 거리와 공간의 크기를 결정하게 된다. 공간이 넓을 수록 지연시간이 길어진다. 0.3초 이상의 지연시간은 리버브라기 보단 메아리에 가깝게 된다. 일반적인 일상 공간에서 초기반사를 포함한 잔향이 유지되는 시간은 최대로 잡아도 2초 미만으로 이루어진다.




27번째 줄: 26번째 줄:
'''그림 1'''에서는 드라이 신호가 청취자에게 직접적으로 들리게 되며 잔향은 매우 짧은 지연시간을 두고 생성되고 드라이 신호에 영향을 거의 끼치지 않는다. 때문에 청취자는 드라이 신호를 거의 그대로 듣게 된다.</br>
'''그림 1'''에서는 드라이 신호가 청취자에게 직접적으로 들리게 되며 잔향은 매우 짧은 지연시간을 두고 생성되고 드라이 신호에 영향을 거의 끼치지 않는다. 때문에 청취자는 드라이 신호를 거의 그대로 듣게 된다.</br>
'''그림 2'''에서는 드라이 신호가 청취자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기는 하지만 잔향에 영향을 받아서 미묘하게 왜곡된 드라이 신호가 전달된다, 또 조금 짧은 지연시간을 가지고 청취자에게 은은한 잔향이 도달하게 되어서 가장 풍부한 소리가 들리게 된다.</br>
'''그림 2'''에서는 드라이 신호가 청취자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기는 하지만 잔향에 영향을 받아서 미묘하게 왜곡된 드라이 신호가 전달된다, 또 조금 짧은 지연시간을 가지고 청취자에게 은은한 잔향이 도달하게 되어서 가장 풍부한 소리가 들리게 된다.</br>
'''그림 3'''에서는 드라이 신호가 청취자에게 전달되기는 하지만 에너지를 많이 잃게 되고 잔향에 너무 영향을 받아서 심하게 왜곡된 소리가 전달되게 된다. 잔향 또한 심하게 왜곡이 되기 때문에  축축하게 울리는 소리가 들리게 된다. 따라서  드라이 신호를 얼마나 왜곡시키는지, 잔향을 얼마만큼 지연시키고 유지하는지에 따라 청취자가 느끼는 소리의 깊이와 공간의 특성이 결정되게 된다.
'''그림 3'''에서는 드라이 신호가 청취자에게 전달되기는 하지만 에너지를 많이 잃게 되고 잔향에 너무 영향을 받아서 심하게 왜곡된 소리가 전달되게 된다. 잔향 또한 심하게 왜곡이 되기 때문에  축축하게 울리는 소리가 들리게 된다. 따라서  드라이 신호를 얼마나 왜곡시키는지, 잔향을 얼마만큼 지연시키고 유지하는지에 따라 청취자가 느끼는 소리의 깊이와 공간의 특성이 결정되게 된다. 전문 공연장은 잔향의 특성에 따른 왜곡을 줄이기 위해 설계단계에서부터 잔향을 염두에두고 설계하며 전기설비나 내장재등의 건축자재도 선별하여 사용한다. 보통 클래식 전문 공연장은 풍부한 잔향을 가지고 있다.
 
=잔향을 만드는 장치=
음악작업에 있어서 리버브는 잔향 뿐만아니라 잔향을 만들어내는 각종 장치를 말하기도 한다. 음악에 있어서 잔향은 공간정보일 뿐만 아니라 각 악기간의 공간을 이어주는 중요한 변수이다. 이러한 잔향을 만드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넓직한 공연장에서 연주하고 방에 울리는 잔향을 직접 마이크에 수집하는 고전적인 방법부터 메인보드의 내장 사운드에서 만드는 디지탈 리버브까지 다양하게 존재한다.
 
==종류==
===에코룸(리버브챔버)===
실제 넓직한 공간을 준비하는, 단순하지만 확실한 방법이다. 대형 스튜디오나 해외의 오래된 스튜디오는 모두 이런 공간을 가지고 있다. 가장 자연스러운 잔향을 얻을 수 있다. 음향설비가 준비된 넓은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방법은 아니지만 요즘에도 사용하는 방식 중 하나.
 
https://www.youtube.com/watch?v=Q9Lq9T3IvrQ
 
===기계식 리버브===
스프링 리버브나 플레이트 리버브를 말한다. 자연적인 잔향이 아닌 소리를 가공하기 위해 쓰이는 리버브. 스프링 리버브는 주로 기타연주에 쓰이며 앰프에 내장되는 경우도 흔하다. 플레이트 리버브는 스프링 대신 철판을 이용한 장치다.
 
https://www.youtube.com/watch?v=DraJZCQcJfw

2016년 7월 19일 (화) 16:14 판


잔향

리버브(reverb 또는 reverberation)은 잔향을 말한다. 소리의 잔향은 어떠한 공간에서 최초의 소리가 청취자와 벽에 부딪히며 초기반사가 일어나고 이런 반사들이 모여서 잔향을 만들어낸다. 보통 잔향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1. 잔향은 청취자가 최초로 듣는 소리보다 나중에 들린다.
2. 반사될때마다 소리가 왜곡되며, 볼륨이 급격히 작아진다.

Reverberation (2).png

음원으로 부터 청취자까지 직접 들리는 소리를 따로 드라이신호라고 한다. 사람에 따라 초기반사까지 드라이 신호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Reverberation (3).png

초기반사로부터 시작된 잔향이 바로 리버브이다.

Reverberation (1).png

드라이신호 이후 약간의 지연시간이 음원과의 거리와 공간의 크기를 결정하게 된다. 공간이 넓을 수록 지연시간이 길어진다. 0.3초 이상의 지연시간은 리버브라기 보단 메아리에 가깝게 된다. 일반적인 일상 공간에서 초기반사를 포함한 잔향이 유지되는 시간은 최대로 잡아도 2초 미만으로 이루어진다.


Sp.png

음원과 청취자 사이의 거리에 따른 잔향의 특성을 보면
그림 1에서는 드라이 신호가 청취자에게 직접적으로 들리게 되며 잔향은 매우 짧은 지연시간을 두고 생성되고 드라이 신호에 영향을 거의 끼치지 않는다. 때문에 청취자는 드라이 신호를 거의 그대로 듣게 된다.
그림 2에서는 드라이 신호가 청취자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기는 하지만 잔향에 영향을 받아서 미묘하게 왜곡된 드라이 신호가 전달된다, 또 조금 짧은 지연시간을 가지고 청취자에게 은은한 잔향이 도달하게 되어서 가장 풍부한 소리가 들리게 된다.
그림 3에서는 드라이 신호가 청취자에게 전달되기는 하지만 에너지를 많이 잃게 되고 잔향에 너무 영향을 받아서 심하게 왜곡된 소리가 전달되게 된다. 잔향 또한 심하게 왜곡이 되기 때문에 축축하게 울리는 소리가 들리게 된다. 따라서 드라이 신호를 얼마나 왜곡시키는지, 잔향을 얼마만큼 지연시키고 유지하는지에 따라 청취자가 느끼는 소리의 깊이와 공간의 특성이 결정되게 된다. 전문 공연장은 잔향의 특성에 따른 왜곡을 줄이기 위해 설계단계에서부터 잔향을 염두에두고 설계하며 전기설비나 내장재등의 건축자재도 선별하여 사용한다. 보통 클래식 전문 공연장은 풍부한 잔향을 가지고 있다.

잔향을 만드는 장치

음악작업에 있어서 리버브는 잔향 뿐만아니라 잔향을 만들어내는 각종 장치를 말하기도 한다. 음악에 있어서 잔향은 공간정보일 뿐만 아니라 각 악기간의 공간을 이어주는 중요한 변수이다. 이러한 잔향을 만드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넓직한 공연장에서 연주하고 방에 울리는 잔향을 직접 마이크에 수집하는 고전적인 방법부터 메인보드의 내장 사운드에서 만드는 디지탈 리버브까지 다양하게 존재한다.

종류

에코룸(리버브챔버)

실제 넓직한 공간을 준비하는, 단순하지만 확실한 방법이다. 대형 스튜디오나 해외의 오래된 스튜디오는 모두 이런 공간을 가지고 있다. 가장 자연스러운 잔향을 얻을 수 있다. 음향설비가 준비된 넓은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방법은 아니지만 요즘에도 사용하는 방식 중 하나.

https://www.youtube.com/watch?v=Q9Lq9T3IvrQ

기계식 리버브

스프링 리버브나 플레이트 리버브를 말한다. 자연적인 잔향이 아닌 소리를 가공하기 위해 쓰이는 리버브. 스프링 리버브는 주로 기타연주에 쓰이며 앰프에 내장되는 경우도 흔하다. 플레이트 리버브는 스프링 대신 철판을 이용한 장치다.

https://www.youtube.com/watch?v=DraJZCQcJf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