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2|ST}}
|글자색 = white
|상단 =
|역명 = 서울도시철도 고려대(종암)역
|그림 =
|역번호 = {{역번호/한국|640|ST|6}}
|역코드 =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로]] 지하1
|개업일 = {{날짜/출력|2000-12-15}}
|폐지일 =
|관할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승강장 = 2면 2선
|운임구역 =
|이용객 =
|노선 = [[서울 지하철 6호선]] <small>28.7km</small>
}}
{{+1|고려대(종암)역}}<br />高麗大(鐘岩)驛 / Korea University(Jongam) Station
== 개요 ==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로]]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지하철역]].
이름은 [[고려대학교]]에서 따왔다. 병기역명은 [[종암동]]에서 따왔다.
== 특징 ==
== 특징 ==
고려대학교 정문과도 가깝고, 라이시움 한켠에 딱 붙어 있어서 고려대역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나 이 라이시움 자체가 학교 끝자락에 위치해 있기에 접근성이 [[안암역]]에 비해 심하게 떨어진다. 하지만 규모는 안암역보다 더 크다.
고려대학교 정문과도 가깝고, 라이시움 한켠에 딱 붙어 있어서 고려대역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나 이 라이시움 자체가 학교 끝자락에 위치해 있기에 접근성이 [[안암역]]에 비해 심하게 떨어진다. 하지만 규모는 안암역보다 더 크다.
6번째 줄: 30번째 줄:
통학시에도 굳이 고려대역을 이용하는 학생들은 높은 확률로 법학과, 사범학과, 조형학과, 경영학과일 가능성이 크다. 그 외에는 중앙광장<ref>라이시움 바로 옆에 붙은 엘포관과 이어져 있기 때문. 잘만 이동하면 여기까지는 거의 비를 맞지 않고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ref>이나 중앙도서관을 먼저 찾는 학생들, 아니면 기타 학과에서 <s>널럴한</s> 이쪽 건물을 빌려서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ref>단과 구성의 경영대가 무려 3개 건물을 가지고 있다. 경영본관, 엘포관, 신경영관(현대자동차경영관). 그것도 본관 빼고는 모두 크고 아름다운 규모이다.</ref>
통학시에도 굳이 고려대역을 이용하는 학생들은 높은 확률로 법학과, 사범학과, 조형학과, 경영학과일 가능성이 크다. 그 외에는 중앙광장<ref>라이시움 바로 옆에 붙은 엘포관과 이어져 있기 때문. 잘만 이동하면 여기까지는 거의 비를 맞지 않고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ref>이나 중앙도서관을 먼저 찾는 학생들, 아니면 기타 학과에서 <s>널럴한</s> 이쪽 건물을 빌려서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ref>단과 구성의 경영대가 무려 3개 건물을 가지고 있다. 경영본관, 엘포관, 신경영관(현대자동차경영관). 그것도 본관 빼고는 모두 크고 아름다운 규모이다.</ref>


{{주석}}
{{각주}}
 
[[분류:서울 지하철 6호선]]
[[분류:서울 지하철 6호선]]
[[분류:서울특별시의 철도역]]
[[분류:서울특별시의 철도역]]
[[분류:전철역]]
[[분류:전철역]]

2017년 4월 30일 (일) 22:27 판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로 지하1
노선 서울 지하철 6호선 28.7km
관할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개업일 틀:날짜/출력
승강장 2면 2선

고려대(종암)역
高麗大(鐘岩)驛 / Korea University(Jongam) Station

개요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로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6호선지하철역.

이름은 고려대학교에서 따왔다. 병기역명은 종암동에서 따왔다.

특징

고려대학교 정문과도 가깝고, 라이시움 한켠에 딱 붙어 있어서 고려대역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나 이 라이시움 자체가 학교 끝자락에 위치해 있기에 접근성이 안암역에 비해 심하게 떨어진다. 하지만 규모는 안암역보다 더 크다.

고려대 이공계 재학생과 고려대학교 앞에서 만나기로 하고 여기로 나와버리면 심히 난감해한다. [1] 이과캠(애기능캠)은 안암역에서 보문역 방면으로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게 얼마나 난감하냐면 이학관이나 공학관에서 고려대역 앞까지 가려면 거의 15~20분 가까이를 쉬지않고 걸어야 한다.

통학시에도 굳이 고려대역을 이용하는 학생들은 높은 확률로 법학과, 사범학과, 조형학과, 경영학과일 가능성이 크다. 그 외에는 중앙광장[2]이나 중앙도서관을 먼저 찾는 학생들, 아니면 기타 학과에서 널럴한 이쪽 건물을 빌려서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3]

각주

  1. 인문계인 경우는 중앙도서관(중도)이나 백기관에서 걸어갈 만한 거리에 있기에 많이 귀찮을 뿐이지 대개는 알아먹긴 한다. 문제는 정문앞은 그닥 할 것이 없기 때문에 가급적 상점이 몰려있는 안암역 근처로 오라고 할 뿐이다.
  2. 라이시움 바로 옆에 붙은 엘포관과 이어져 있기 때문. 잘만 이동하면 여기까지는 거의 비를 맞지 않고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3. 단과 구성의 경영대가 무려 3개 건물을 가지고 있다. 경영본관, 엘포관, 신경영관(현대자동차경영관). 그것도 본관 빼고는 모두 크고 아름다운 규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