던전 크롤 스톤 수프/조작: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키\|([^}]*)\}\} *\+ * +{{키|\1}}+))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안내문|이하는 로그라이크 게임 《[[던전 크롤 스톤 수프]]》의 [[단축키]]를 설명합니다.<br>CMD_로 시작하는 부분은 단축키를 바꿀때 필요한 명령어입니다.}}
{{안내문|이하는 로그라이크 게임 《[[던전 크롤 스톤 수프]]》의 [[단축키]]를 설명합니다.<br />CMD_로 시작하는 부분은 단축키를 바꿀때 필요한 명령어입니다.}}


== 이동 ==
== 이동 ==
11번째 줄: 11번째 줄:
|-
|-
| rowspan="3" style="background-color:#dae8fc;" | 한 칸 이동
| rowspan="3" style="background-color:#dae8fc;" | 한 칸 이동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키눌림|위}} {{키눌림|왼쪽}} {{키눌림|아래}} {{키눌림|오른쪽}}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위}} {{|왼쪽}} {{|아래}} {{|오른쪽}}
| rowspan="3" | 해당 방향으로 한 칸 이동한다.  
| rowspan="2" | 해당 방향으로 한 칸 이동한다.
Numpad나 hiklyubn의 경우 대각선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br>CMD_MOVE_DIRECTION(DIRECTION은 아래 표 참조)
 
Numpad나 hiklyubn의 경우 대각선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br />
|-
|-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Numpad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Numpad
|-
|-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hjklyubn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hjklyubn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MOVE_DIRECTION (DIRECTION은 아래 표 참조)
|-
|-
| rowspan="3"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쭉 이동
| rowspan="3"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쭉 이동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키눌림|Shift}}+{{키눌림|위}} {{키눌림|왼쪽}} {{키눌림|아래}} {{키눌림|오른쪽}}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Shift}}+{{|위}} {{|왼쪽}} {{|아래}} {{|오른쪽}}
| rowspan="3" | 해당 방향으로 적이나 기타 대상을 조우하기 전까지 쭉 이동한다.<br>CMD_RUN_DIRECTION(DIRECTION은 아래 표 참조)
| rowspan="2" | 해당 방향으로 적이나 기타 대상을 조우하기 전까지 쭉 이동한다.
|-
|-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키눌림|Shift}} + Numpad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Shift}}+Numpad
|-
|-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Shift}} + hjklyubn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Shift}}+hjklyubn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RUN_DIRECTION (DIRECTION은 아래 표 참조)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자동 탐색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자동 탐색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o}}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o}}
| 자동으로 던전을 탐색한다. 공격은 하지 않으며, 설정에 따라 자동 줍기 및 자동 문 열기도 <br>수행한다. 신속한 진행을 돕는 기능이지만 위험한 상황에 맞닥뜨릴 수 있기 때문에 유의.<br>CMD_EXPLORE
| 자동으로 던전을 탐색한다. 공격은 하지 않으며, 설정에 따라 자동 줍기 및 자동 문 열기도 <br />수행한다. 신속한 진행을 돕는 기능이지만 위험한 상황에 맞닥뜨릴 수 있기 때문에 유의.
|-
| style="background-color:#f6f6f6;" |CMD_EXPLORE
|-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층계 이동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층계 이동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G}}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G}}
| rowspan="2" | 지정하는 특정 지역의 X 층으로 이동하거나, 설정한 0~9 웨이포인트로 이동한다.
| 지정하는 특정 지역의 X 층으로 이동하거나, 설정한 0~9 웨이포인트로 이동한다.<br />
가령 Lair 2층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층계 이동 키를 누른 뒤 {{키눌림|L}}, {{키눌림|2}}를 순서대로 입력한다.<br> CMD_INTERLEVEL_TRAVEL
가령 Lair 2층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층계 이동 키를 누른 뒤 {{|L}}, {{|2}}를 순서대로 입력한다.
|-
|-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Ctrl|G}}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Ctrl}}+{{키|G}}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INTERLEVEL_TRAVEL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웨이포인트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웨이포인트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Ctrl|W}}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Ctrl}}+{{키|W}}
| 해당 층을 웨이포인트 설정한다. 자주 방문하게 되는 곳을 지정하면 편리하다.<br>CMD_FIX_WAYPOINT
| 해당 층을 웨이포인트 설정한다. 자주 방문하게 되는 곳을 지정하면 편리하다.
|-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FIX_WAYPOINT
|}
|}


54번째 줄: 62번째 줄:
| style="font-weight:bold; font-size:16px; background-color:#000000; color:#ffffff;" | ↑
| style="font-weight:bold; font-size:16px; background-color:#000000; color:#ffffff;" | ↑
| style="font-weight:bold; font-size:16px; background-color:#000000; color:#ffffff;" | ↗
| style="font-weight:bold; font-size:16px; background-color:#000000; color:#ffffff;" | ↗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y}}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y}}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k}}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k}}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u}}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u}}
| {{키눌림|7}}
| {{|7}}
| {{키눌림|8}}
| {{|8}}
| {{키눌림|9}}
| {{|9}}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CMD_MOVE_UP_LEFT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CMD_MOVE_UP_LEFT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CMD_MOVE_UP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CMD_MOVE_UP
67번째 줄: 75번째 줄:
| style="font-size:16px;" |  
| style="font-size:16px;" |  
| style="font-weight:bold; font-size:16px; background-color:#000000; color:#ffffff;" | →
| style="font-weight:bold; font-size:16px; background-color:#000000; color:#ffffff;" | →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h}}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h}}
|  
|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l}}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l}}
| {{키눌림|4}}
| {{|4}}
|  
|  
| {{키눌림|6}}
| {{|6}}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CMD_MOVE_LEFT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CMD_MOVE_LEFT
|  
|  
80번째 줄: 88번째 줄:
| style="font-weight:bold; font-size:16px; background-color:#000000; color:#ffffff;" | ↓
| style="font-weight:bold; font-size:16px; background-color:#000000; color:#ffffff;" | ↓
| style="font-weight:bold; font-size:16px; background-color:#000000; color:#ffffff;" | ↘
| style="font-weight:bold; font-size:16px; background-color:#000000; color:#ffffff;" | ↘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b}}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b}}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j}}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j}}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n}}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n}}
| {{키눌림|1}}
| {{|1}}
| {{키눌림|2}}
| {{|2}}
| {{키눌림|3}}
| {{|3}}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CMD_MOVE_DOWN_LEFT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CMD_MOVE_DOWN_LEFT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CMD_MOVE_DOWN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CMD_MOVE_DOWN
91번째 줄: 99번째 줄:
|}
|}


== 휴식 ==
== 대기 및 휴식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efefef; color:#000000;" | 휴식
!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efefef; color:#000000;" | 대기 및 휴식
|-
|-
| style="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dae8fc;" | 작용
| style="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dae8fc;" | 작용
100번째 줄: 108번째 줄:
| style="font-weight:bold;" | 설명
| style="font-weight:bold;" | 설명
|-
|-
| rowspan="3" style="background-color:#dae8fc;" | 한 턴 휴식
| rowspan="3"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대기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키눌림|s}}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s}}
| rowspan="3" | 아무것도 하지 않고 한 턴간 휴식한다.<br>CMD_WAIT
| rowspan="2" | 아무것도 하지 않고 한 턴간 대기한다.
|-
|-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키눌림|Del}}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Del}}
|-
|-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Numpad 5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Numpad 5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WAIT
|-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휴식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휴식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키눌림|5}}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5}}
| rowspan="2" | HP와 MP를 모두 회복할 때까지 휴식한다. 회복이 끝난 상태라면 100턴을 쉰다.<br>CMD_REST
| HP와 MP를 모두 회복할 때까지 휴식한다. 회복이 끝난 상태라면 100턴을 쉰다.<br />CMD_REST
|-
|-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키눌림|Shift}} + Numpad 5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Shift}}+Numpad 5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REST
|}
|}


124번째 줄: 134번째 줄:
| style="font-weight:bold;" | 설명
| style="font-weight:bold;" | 설명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문 열기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문 열기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키눌림|O}}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O}}
| 문을 연다.<br>이 키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잠긴 문 방향으로 이동을 시도하면 한 턴을 소비하여 문을 연다.<br>CMD_OPEN_DOOR
| 문을 연다.<br />이 키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잠긴 문 방향으로 이동을 시도하면 한 턴을 소비하여 문을 연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문 닫기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OPEN_DOOR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키눌림|C}}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문 닫기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C}}
| 문을 닫는다.
| 문을 닫는다.
지능이 낮거나 손이 없는 등 문을 열 수 없는 적들을 상대할 때<br>
지능이 낮거나 손이 없는 등 문을 열 수 없는 적들을 상대할 때<br />
문을 닫는 식으로 추적을 막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br>CMD_CLOSE_DOOR
문을 닫는 식으로 추적을 막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상층으로 이동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CLOSE_DOOR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
| 근처의 계단을 통해 위층으로 이동한다.<br>이 기능은 상점이나 제단, 포탈 등에도 사용 가능하다.<br>CMD_GO_UPSTAIRS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하층으로 이동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상층으로 이동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
| 근처의 계단을 통해 하층으로 이동한다.<br>이 기능은 상점이나 제단, 포탈 등에도 사용 가능하다.<br>CMD_GO_DOWNSTAIRS
| 근처의 계단을 통해 위층으로 이동한다.<br />이 기능은 상점이나 제단, 포탈 등에도 사용 가능하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소모품 줍기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GO_UPSTAIRS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
| 화살 등 갯수가 있는 아이템을 줍는다.<br>전부 줏을 수도 있고, 수량을 지정하여 줏을 수도 있다.<br>CMD_INSPECT_FLOOR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000000;" | 주변 탐색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하층으로 이동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x}}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
| 근처의 계단을 통해 하층으로 이동한다.<br />이 기능은 상점이나 제단, 포탈 등에도 사용 가능하다.
|-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GO_DOWNSTAIRS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소모품 줍기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
| 화살 등 갯수가 있는 아이템을 줍는다.<br />전부 줏을 수도 있고, 수량을 지정하여 줏을 수도 있다.
|-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INSPECT_FLOOR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000000;" | 주변 탐색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x}}
| 탐색 커서를 띄운다. 현재 화면 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다.
| 탐색 커서를 띄운다. 현재 화면 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다.
보통 {{키눌림|e}}를 사용하여 특정 구역을 탐험 금지 구역으로 설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br>CMD_LOOK_AROUND
보통 {{|e}}를 사용하여 특정 구역을 탐험 금지 구역으로 설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000000;" | 현재 층 탐색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LOOK_AROUND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X}}
| 탐색 커서를 띄운다. {{키눌림|x}}와는 다르게 제한 없이 현재 층 전체를 확인할 수 있다.<br>용도는 {{키눌림|x}}와 동일하다.<br>CMD_DISPLAY_MAP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000000;" | 객체 확인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000000;" | 현재 층 탐색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Ctrl|X}}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X}}
| 시야에 들어오는 몬스터, 아이템 등을 확인한다.<br>세부 사항을 확인하거나 아이템을 줍기 위해 이동할 수도 있다.<br>CMD_FULL_VIEW
| 탐색 커서를 띄운다. {{키|x}}와는 다르게 제한 없이 현재 층 전체를 확인할 수 있다.<br />용도는 {{키|x}}와 동일하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000000;" | 찾기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DISPLAY_MAP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Ctrl|F}}
| 던전에서 발견한 아이템이나 제단 등을 키워드로 검색한다. <br>
예를 들어서 독 관련 아이템을 찾으려면 poison을 검색하면 되며, <br>독 저항 장비를 찾고 싶다면 rP를 입력하는 등으로 응용할 수 있다.<br>CMD_SEARCH_STASHES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던전 개요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000000;" | 객체 확인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Ctrl|O}}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Ctrl}}+{{키|X}}
| 던전의 진행 상황을 정리한다.<br>발견한 지역, 상점, 신의 제단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br>CMD_DISPLAY_OVERMAP
| 시야에 들어오는 몬스터, 아이템 등을 확인한다.<br />세부 사항을 확인하거나 아이템을 줍기 위해 이동할 수도 있다.
|-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FULL_VIEW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000000;" | 찾기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Ctrl}}+{{키|F}}
| 던전에서 발견한 아이템이나 제단 등을 키워드로 검색한다. <br />
예를 들어서 독 관련 아이템을 찾으려면 poison을 검색하면 되며, <br />독 저항 장비를 찾고 싶다면 rP를 입력하는 등으로 응용할 수 있다.
|-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SEARCH_STASHES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던전 개요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Ctrl}}+{{키|O}}
| 던전의 진행 상황을 정리한다.<br />발견한 지역, 상점, 신의 제단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DISPLAY_OVERMAP
|}
|}


177번째 줄: 207번째 줄:
| style="font-weight:bold;" | 설명
| style="font-weight:bold;" | 설명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공격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공격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적의 위치로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적의 위치로  
이동 시도
이동 시도
| 해당 위치에 있는 적을 근접 공격한다.
| 해당 위치에 있는 적을 근접 공격한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자동 전투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ATTACK_DIRECTION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Tab}}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자동 전투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Tab}}
| 가장 가까운 적으로 다가가서 공격한다.
| 가장 가까운 적으로 다가가서 공격한다.
자동 탐색과 더불어 게임 진행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만들어준다.<br>
자동 탐색과 더불어 게임 진행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만들어준다.<br />
그러나 자동 탐색과 마찬가지로 과잉으로 쓸 경우 쉽게 죽을 수 있다.
그러나 자동 탐색과 마찬가지로 과잉으로 쓸 경우 쉽게 죽을 수 있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자동 전투<br>(제자리)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AUTOFIGHT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Shift|Tab}}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자동 전투<br />(제자리)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Shift}}+{{키|Tab}}
| 이동하지 않고 인접한 적을 공격한다. 공격할 인접 대상이 없으면 행동을 중단한다.
| 이동하지 않고 인접한 적을 공격한다. 공격할 인접 대상이 없으면 행동을 중단한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자동 줍기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AUTOFIGHT_NOMOVE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Ctrl|A}}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자동 줍기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Ctrl}}+{{키|A}}
| 자동 줍기 기능을 켜거나 끈다.
| 자동 줍기 기능을 켜거나 끈다.
기본적으로는 On 상태이다.
기본적으로는 On 상태이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자동 줍기 선택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자동 줍기 선택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
| 각 아이템별로 자동 줍기 여부를 선택한다. +로 표시되는 아이템을 줍게 된다.
| 각 아이템별로 자동 줍기 여부를 선택한다. +로 표시되는 아이템을 줍게 된다.
화면에서 {{키눌림|-}}를 누를 경우, 미감정 아이템 목록으로 넘어간다.
화면에서 {{|-}}를 누를 경우, 미감정 아이템 목록으로 넘어간다.
|-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DISPLAY_KNOWN_OBJECTS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미감정 아이템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미감정 아이템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 다음 {{키눌림|-}}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 다음 {{|-}}
| 미감정 아이템 목록을 보여준다.
| 미감정 아이템 목록을 보여준다.
감정 스크롤이 없는 상태에서 남은 아이템이 무엇인지 추측하는 데 도움이 된다.
감정 스크롤이 없는 상태에서 남은 아이템이 무엇인지 추측하는 데 도움이 된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특수능력 사용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키눌림|a}}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특수능력 사용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a}}
| 종족 능력이나 신앙 능력 등을 사용한다.
| 종족 능력이나 신앙 능력 등을 사용한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주문 시전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USE_ABILITY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키눌림|z}}
|-
| 주문을 시전한다.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주문 시전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z}}
| 주문을 시전한다.
 
사정거리, 대상을 고려하여 적합한 주문만이 표시된다.
사정거리, 대상을 고려하여 적합한 주문만이 표시된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주문 시전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CAST_SPELL
(자유)
|-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Z}}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주문 강제 시전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Z}}
| 주문을 시전한다.
| 주문을 시전한다.
{{키눌림|z}}와는 다르게, 대상이 없더라도 주문을 시전할 수 있다.<br>
{{|z}}와는 다르게, 대상이 없더라도 주문을 시전할 수 있다.<br />
보통 보이지 않는 적을 주문으로 공격하려 할 때 사용한다.
보통 보이지 않는 적을 주문으로 공격하려 할 때 사용한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000000;" | 발동 장비의 능력 사용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FORCE_CAST_SPELL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키눌림|v}}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000000;" | 장비의 발동 능력 사용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v}}
| style="color:#000000;" | 장비에 붙어 있는 발동 능력을 사용한다.
| style="color:#000000;" | 장비에 붙어 있는 발동 능력을 사용한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000000;" | 발동 아이템 사용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EVOKE_WIELDED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키눌림|V}}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000000;" | 발동 아이템 사용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V}}
| style="color:#000000;" | 소지한 발동 아이템을 사용한다.
| style="color:#000000;" | 소지한 발동 아이템을 사용한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000000;" | 원거리 공격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EVOKE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키눌림|f}}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000000;" | 원거리 공격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f}}
| style="color:#000000;" | 소지한 탄환을 사용하여 원거리 공격을 한다.
| style="color:#000000;" | 소지한 탄환을 사용하여 원거리 공격을 한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탄환 바꾸기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FIRE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 또는 {{키눌림|)}}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탄환 바꾸기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 또는 {{|)}}
| 원거리 공격 시 사용할 탄환을 바꾼다.
| 원거리 공격 시 사용할 탄환을 바꾼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발사, 던지기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CYCLE_QUIVER_FORWARD, CMD_CYCLE_QUIVER_BACKWARD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F}}
|-
| {{키눌림|f}}와 다르게 아무 물건이나 내던질 수 있다.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발사, 던지기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F}}
| {{|f}}와 다르게 아무 물건이나 내던질 수 있다.
|-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THROW_ITEM_NO_QUIVER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지시, 외치기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지시, 외치기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t}}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t}}
| 동료에게 지시를 내리거나, 큰 소음을 발생시킨다.
| 동료에게 지시를 내리거나, 큰 소음을 발생시킨다.


t-a : 지정 대상을 공격하라고 지시한다.<br>
t-a : 지정 대상을 공격하라고 지시한다.<br />
t-s : 공격을 그만두라고 지시한다.<br>
t-s : 공격을 그만두라고 지시한다.<br />
t-g : 해당 지역을 방어하라고 지시한다.<br>
t-g : 해당 지역을 방어하라고 지시한다.<br />
t-f : 플레이어를 따라오라고 지시한다.<br>
t-f : 플레이어를 따라오라고 지시한다.<br />
t-t : 큰 소음을 발생시켜 이목을 끈다(외치기).
t-t : 큰 소음을 발생시켜 이목을 끈다(외치기).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이동속도 맞추기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SHOUT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Ctrl|E}}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이동속도 맞추기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Ctrl}}+{{키|E}}
| 플레이어의 이동속도를 가장 느린 동료와 맞춘다.
| 플레이어의 이동속도를 가장 느린 동료와 맞춘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시체 해체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c}}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시체 해체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c}}
| 현재 타일의 시체를 해체하여 고깃덩이를 얻는다.
| 현재 타일의 시체를 해체하여 고깃덩이를 얻는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음식 먹기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BUTCHER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e}}
|-
| 현재 타일의 음식을 먹는다.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음식 먹기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e}}
| 현재 타일의 음식을 먹는다.
 
타일에 음식이 없을 경우, 인벤토리의 음식을 먹는다.
타일에 음식이 없을 경우, 인벤토리의 음식을 먹는다.
|-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EAT
|}
|}


276번째 줄: 343번째 줄:
| style="font-weight:bold;" | 설명
| style="font-weight:bold;" | 설명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캐릭터 개요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캐릭터 개요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
| 캐릭터의 종합적인 정보를 정리하여 보여준다.
| 캐릭터의 종합적인 정보를 정리하여 보여준다.
*HP, MP, 골드, AC, EV, SH, 힘, 지능, 민첩, 레벨, 믿는 신, 주문 레벨
*HP, MP, 골드, AC, EV, SH, 힘, 지능, 민첩, 레벨, 믿는 신, 주문 레벨
283번째 줄: 350번째 줄:
*투명보기, 대식, 신앙, 정령, 반사, 상해
*투명보기, 대식, 신앙, 정령, 반사, 상해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기술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RESISTS_SCREEN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m}}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기술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m}}
| 기술 레벨 등을 확인 및 학습 설정한다.
| 기술 레벨 등을 확인 및 학습 설정한다.
보통 {{키눌림|<nowiki>=</nowiki>}}을 사용하여 특정 스킬의 상한선을 설정해주는 기능을 이용한다.
보통 {{|<nowiki>=</nowiki>}}을 사용하여 특정 스킬의 상한선을 설정해주는 기능을 이용한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종교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DISPLAY_SKILLS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종교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
| 믿는 종교와 신앙도, 제공되는 능력 등을 확인한다.
| 믿는 종교와 신앙도, 제공되는 능력 등을 확인한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능력, 돌연변이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DISPLAY_RELIGION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A}}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능력, 돌연변이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A}}
| 능력이나 상태 이상, 돌연변이 등을 확인한다.
| 능력이나 상태 이상, 돌연변이 등을 확인한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배운 주문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DISPLAY_MUTATIONS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I}}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배운 주문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I}}
| 배운 주문을 확인한다.
| 배운 주문을 확인한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습득 주문 확인<br> 및 배우기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DISPLAY_SPELLS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M}}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습득 주문 확인<br /> 및 배우기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M}}
| 습득한 주문을 확인하고, 원하는 주문을 배울 수 있다.
| 습득한 주문을 확인하고, 원하는 주문을 배울 수 있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캐릭터 정보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MEMORISE_SPELL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키눌림|@}}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캐릭터 정보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
| 이동 속도와 공격 속도 등을 간략히 표시한다.
| 이동 속도와 공격 속도 등을 간략히 표시한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착용 방어구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DISPLAY_CHARACTER_STATUS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착용 방어구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
| 착용 중인 방어구를 부위별로 표시한다.
| 착용 중인 방어구를 부위별로 표시한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착용 장신구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LIST_ARMOUR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착용 장신구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
| 착용 중인 장신구를 부위별로 표시한다.
| 착용 중인 장신구를 부위별로 표시한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수집한 룬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LIST_JEWELLERY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nowiki>}</nowiki>}}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수집한 룬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nowiki>}</nowiki>}}
| 플레이어가 수집한 룬을 보여준다.
| 플레이어가 수집한 룬을 보여준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탐색 정보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DISPLAY_RUNES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E}}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탐색 정보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E}}
| 플레이어가 위치한 장소와 현재 층의 탐색 진행도, 총 플레이 시간을 보여준다.
| 플레이어가 위치한 장소와 현재 층의 탐색 진행도, 총 플레이 시간을 보여준다.
|-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EXPERIENCE_CHECK
|}
|}


333번째 줄: 422번째 줄:
| style="font-weight:bold;" | 설명
| style="font-weight:bold;" | 설명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인벤토리 확인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인벤토리 확인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i}}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i}}
| 소지중인 아이템 목록을 확인한다.
| 소지중인 아이템 목록을 확인한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아이템에 메모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DISPLAY_INVENTORY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nowiki>{</nowiki>}}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아이템에 메모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nowiki>{</nowiki>}}
| 지정 아이템에 메모를 한다.
| 지정 아이템에 메모를 한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아이템 줍기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INSCRIBE_ITEM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g}}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아이템 줍기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g}}<br />{{키|,}}
| 아이템을 줍는다.
| 아이템을 줍는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아이템 버리기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PICKUP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d}}
|-
| 아이템을 버린다.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아이템 버리기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d}}
| 아이템을 버린다. <br />수량 조절을 하려면 {{키|d}}를 누르고 숫자를 입력한 뒤 원하는 아이템을 골라 내려놓으면 된다.<br />(drop 창에서 선택한 아이템이 +대신 #로 표시됨)
|-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DROP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방금 줏은 아이템 버리기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방금 줏은 아이템 버리기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D}}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D}}
| 가장 최근에 습득한 아이템을 버린다.
| 가장 최근에 습득한 아이템을 버린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기본 탄환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Q}}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기본 탄환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Q}}
| 기본 탄환으로 쓸 아이템을 선택한다(Quiver).
| 기본 탄환으로 쓸 아이템을 선택한다(Quiver).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포션 마시기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QUIVER_ITEM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q}}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포션 마시기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q}}
| 포션을 마신다(quaff).
| 포션을 마신다(quaff).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음식 먹기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QUAFF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e}}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음식 먹기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e}}
| 음식을 먹는다(eat).
| 음식을 먹는다(eat).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두루마리 읽기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EAT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r}}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두루마리 읽기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r}}
| 두루마리를 읽는다(read).
| 두루마리를 읽는다(read).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무기 장착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READ
|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키눌림|w}}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무기 장착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color:#000000;" | {{|w}}
| 무기를 장착한다(wield).
| 무기를 장착한다(wield).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무기 스위칭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WIELD_WEAPON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무기 스위칭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
| a), b) 무기를 스위칭한다.
| a), b) 무기를 스위칭한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방어구 장착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WEAPON_SWAP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W}}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방어구 장착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W}}
| 방어구를 장착한다(Wield).
| 방어구를 장착한다(Wield).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방어구 벗기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WEAR_ARMOUR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T}}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방어구 벗기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T}}
| 입고 있는 방어구를 벗는다(Take off).
| 입고 있는 방어구를 벗는다(Take off).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장신구 장착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REMOVE_ARMOUR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P}}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장신구 장착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P}}
| 장신구를 장착한다(Put).
| 장신구를 장착한다(Put).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장신구 해제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WEAR_JEWELLERY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R}}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장신구 해제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R}}
| 장신구를 해제한다(Remove).
| 장신구를 해제한다(Remove).
|-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REMOVE_JEWELLERY
|}
|}


403번째 줄: 522번째 줄:
| style="font-weight:bold;" | 설명
| style="font-weight:bold;" | 설명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확인 후 저장 및 종료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확인 후 저장 및 종료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S}}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S}}
| 진행중인 게임을 저장하고 게임을 종료할지 물어본다.
| 진행중인 게임을 저장하고 게임을 종료할지 물어본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바로 저장 및 종료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SAVE_GAME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Ctrl|S}}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바로 저장 및 종료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Ctrl}}+{{키|S}}
| 확인 없이 바로 게임을 저장하고 종료한다.
| 확인 없이 바로 게임을 저장하고 종료한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게임 포기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SAVE_GAME_NOW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Ctrl|Q}}
|-
| 저장 없이 메인 화면으로 돌아간다.<br>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게임 포기
망해서 진행할 가치가 없는 게임에서 사용한다.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Ctrl}}+{{키|Q}}
| 저장 없이 메인 화면으로 돌아간다.<br />망해서 진행할 가치가 없는 게임에서 사용한다.
|-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QUIT
|}
|}


426번째 줄: 550번째 줄:
| style="font-weight:bold;" | 설명
| style="font-weight:bold;" | 설명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메시지 로그 확인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메시지 로그 확인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Ctrl|P}}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Ctrl}}+{{키|P}}
| 지나간 메시지를 확인한다.
| 지나간 메시지를 확인한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메모 남기기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REPLAY_MESSAGES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메모 남기기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
| 현재 층에 메모를 추가한다.
| 현재 층에 메모를 추가한다.
강한 네임드 혹은 지금은 습득할 수 없는 아이템을 남겨둔다거나 할 때 유용하다.
강한 네임드 혹은 지금은 습득할 수 없는 아이템을 남겨둔다거나 할 때 유용하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메모 확인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MAKE_NOTE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 다음 {{키눌림|:}}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메모 확인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 다음 {{|:}}
| 입력해둔 메모를 읽는다.
| 입력해둔 메모를 읽는다.
|-
|-
|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위저드 모드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
| style="background-color:#ecf4ff;" | {{키눌림|&}}
|-
| 위저드 모드를 활성화한다.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ae8fc;" | 위저드 모드
점수 기록은 되지 않으며, 테스트를 위해 사용된다.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ecf4ff;" | {{|&}}
| 위저드 모드를 활성화한다.<br />점수 기록은 되지 않으며, 테스트를 위해 사용된다.
|-
| style="background-color:#f6f6f6;" | CMD_WIZARD
|}
|}


449번째 줄: 580번째 줄:
=== rc 파일 편집하기 ===
=== rc 파일 편집하기 ===


rc 파일을 열고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추가하면 된다.
rc 파일을 열어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추가하고 저장해주면 된다.
* bindkey = [원하는 단축키] CMD_명렁어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455번째 줄: 587번째 줄:
! style="text-align: left; font-weight:normal; background-color:#ecf4ff;" | bindkey = [Q] CMD_AUTOFIGHT_NOMOVE
! style="text-align: left; font-weight:normal; background-color:#ecf4ff;" | bindkey = [Q] CMD_AUTOFIGHT_NOMOVE
|-
|-
| colspan="2" | CMD_AUTOFIGHT_NOMOVE 명령어는 이동 없이 제자리에서 근접한 적에게 공격하는 기능으로,<br>
| colspan="2" | CMD_AUTOFIGHT_NOMOVE 명령어는 이동 없이 제자리에서 근접한 적에게 공격하는 기능으로,<br />
기존의 {{키눌림|Shift|Tab}} 조작키가 크롬 브라우저 단축키와 겹치는 문제로 웹죽에서는 사용하기 어렵다.<br>
기존의 {{|Shift}}+{{키|Tab}} 조작키가 크롬 브라우저 단축키와 겹치는 문제로 웹죽에서는 사용하기 어렵다.<br />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단축키인 {{키눌림|Q}}로 바꾸려면 상기와 같이 입력해주면 된다.
{{|Q}}로 바꾸려면 상기와 같이 입력해주면 된다.<br />
*{{키|Q}}는 원래 궁수용 탄환 단축키이다.
|-
|-
| style="text-align: left;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dae8fc;" | 예시 2)
| style="text-align: left;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dae8fc;" | 예시 2)
| style="text-align: left; font-weight:normal; background-color:#ecf4ff;" | bindkey = [^S] CMD_FIX_WAYPOINT
| style="text-align: left; font-weight:normal; background-color:#ecf4ff;" | bindkey = [^S] CMD_FIX_WAYPOINT
|-
|-
| colspan="2" | CMD_FIX_WAYPOINT 명령어는 웨이포인트를 설정하는 기능으로, 앞선 예시와 마찬가지로<br>
| colspan="2" | CMD_FIX_WAYPOINT 명령어는 웨이포인트를 설정하는 기능으로, 앞선 예시와 마찬가지로<br />
기존의 {{키눌림|Ctrl|W}} 조작키가 크롬 브라우저 단축키와 겹치는 문제로 웹죽에서는 사용하기 어렵다.<br>
기존의 {{|Ctrl}}+{{키|W}} 조작키가 크롬 브라우저 단축키와 겹치는 문제로 웹죽에서는 사용하기 어렵다.<br />
때문에 잘 쓰지 않는 단축키인 {{키눌림|Ctrl|S}}로 바꾸려면 상기와 같이 입력해주면 된다.<br>
{{|Ctrl}}+{{키|S}}로 바꾸려면 상기와 같이 입력해주면 된다.<br />
({{키눌림|Ctrl}}을 나타낼 때는 ^를 사용한다.
*{{키|Ctrl}}+{{키|S}}는 원래 바로 저장 후 종료 단축키이다.<br />
*{{|Ctrl}}을 나타낼 때는 ^를 사용한다.
|}
|}


=== 매크로 편집하기 ===
=== 매크로 편집하기 ===
인게임에서 {{키눌림|~}} 또는 {{키눌림|Ctrl|D}}를 누르면 매크로를 설정할 수 있다.
인게임에서 {{|~}} 또는 {{|Ctrl}}+{{키|D}}를 누르면 매크로를 설정할 수 있다.


[[분류:던전 크롤 스톤 수프|조작]]
[[분류:던전 크롤 스톤 수프|조작]]

2023년 8월 17일 (목) 04:03 기준 최신판

이동[편집 | 원본 편집]

이동
작용 설명
한 칸 이동 해당 방향으로 한 칸 이동한다.

Numpad나 hiklyubn의 경우 대각선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

Numpad
hjklyubn CMD_MOVE_DIRECTION (DIRECTION은 아래 표 참조)
쭉 이동 ⇧ Shift+ 해당 방향으로 적이나 기타 대상을 조우하기 전까지 쭉 이동한다.
⇧ Shift+Numpad
⇧ Shift+hjklyubn CMD_RUN_DIRECTION (DIRECTION은 아래 표 참조)
자동 탐색 o 자동으로 던전을 탐색한다. 공격은 하지 않으며, 설정에 따라 자동 줍기 및 자동 문 열기도
수행한다. 신속한 진행을 돕는 기능이지만 위험한 상황에 맞닥뜨릴 수 있기 때문에 유의.
CMD_EXPLORE
층계 이동 G 지정하는 특정 지역의 X 층으로 이동하거나, 설정한 0~9 웨이포인트로 이동한다.

가령 Lair 2층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층계 이동 키를 누른 뒤 L, 2를 순서대로 입력한다.

Ctrl+G CMD_INTERLEVEL_TRAVEL
웨이포인트 Ctrl+W 해당 층을 웨이포인트 설정한다. 자주 방문하게 되는 곳을 지정하면 편리하다.
CMD_FIX_WAYPOINT
  • 이동 키의 구체적인 내역은 아래와 같다.
방향 hjklyubn Numpad Command
y k u 7 8 9 CMD_MOVE_UP_LEFT CMD_MOVE_UP CMD_MOVE_UP_RIGHT
h l 4 6 CMD_MOVE_LEFT CMD_MOVE_RIGHT
b j n 1 2 3 CMD_MOVE_DOWN_LEFT CMD_MOVE_DOWN CMD_MOVE_DOWN_RIGHT

대기 및 휴식[편집 | 원본 편집]

대기 및 휴식
작용 설명
대기 s 아무것도 하지 않고 한 턴간 대기한다.
Del
Numpad 5 CMD_WAIT
휴식 5 HP와 MP를 모두 회복할 때까지 휴식한다. 회복이 끝난 상태라면 100턴을 쉰다.
CMD_REST
⇧ Shift+Numpad 5 CMD_REST

던전 상호작용[편집 | 원본 편집]

던전 상호작용
작용 설명
문 열기 O 문을 연다.
이 키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잠긴 문 방향으로 이동을 시도하면 한 턴을 소비하여 문을 연다.
CMD_OPEN_DOOR
문 닫기 C 문을 닫는다.

지능이 낮거나 손이 없는 등 문을 열 수 없는 적들을 상대할 때
문을 닫는 식으로 추적을 막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

CMD_CLOSE_DOOR
상층으로 이동 < 근처의 계단을 통해 위층으로 이동한다.
이 기능은 상점이나 제단, 포탈 등에도 사용 가능하다.
CMD_GO_UPSTAIRS
하층으로 이동 > 근처의 계단을 통해 하층으로 이동한다.
이 기능은 상점이나 제단, 포탈 등에도 사용 가능하다.
CMD_GO_DOWNSTAIRS
소모품 줍기 ; 화살 등 갯수가 있는 아이템을 줍는다.
전부 줏을 수도 있고, 수량을 지정하여 줏을 수도 있다.
CMD_INSPECT_FLOOR
주변 탐색 x 탐색 커서를 띄운다. 현재 화면 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다.

보통 e를 사용하여 특정 구역을 탐험 금지 구역으로 설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CMD_LOOK_AROUND
현재 층 탐색 X 탐색 커서를 띄운다. x와는 다르게 제한 없이 현재 층 전체를 확인할 수 있다.
용도는 x와 동일하다.
CMD_DISPLAY_MAP
객체 확인 Ctrl+X 시야에 들어오는 몬스터, 아이템 등을 확인한다.
세부 사항을 확인하거나 아이템을 줍기 위해 이동할 수도 있다.
CMD_FULL_VIEW
찾기 Ctrl+F 던전에서 발견한 아이템이나 제단 등을 키워드로 검색한다.

예를 들어서 독 관련 아이템을 찾으려면 poison을 검색하면 되며,
독 저항 장비를 찾고 싶다면 rP를 입력하는 등으로 응용할 수 있다.

CMD_SEARCH_STASHES
던전 개요 Ctrl+O 던전의 진행 상황을 정리한다.
발견한 지역, 상점, 신의 제단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CMD_DISPLAY_OVERMAP

기본 및 전투 행동[편집 | 원본 편집]

기본 및 전투 행동
작용 설명
공격 적의 위치로

이동 시도

해당 위치에 있는 적을 근접 공격한다.
CMD_ATTACK_DIRECTION
자동 전투 Tab ↹ 가장 가까운 적으로 다가가서 공격한다.

자동 탐색과 더불어 게임 진행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만들어준다.
그러나 자동 탐색과 마찬가지로 과잉으로 쓸 경우 쉽게 죽을 수 있다.

CMD_AUTOFIGHT
자동 전투
(제자리)
⇧ Shift+Tab ↹ 이동하지 않고 인접한 적을 공격한다. 공격할 인접 대상이 없으면 행동을 중단한다.
CMD_AUTOFIGHT_NOMOVE
자동 줍기 Ctrl+A 자동 줍기 기능을 켜거나 끈다.

기본적으로는 On 상태이다.

c
자동 줍기 선택 \ 각 아이템별로 자동 줍기 여부를 선택한다. +로 표시되는 아이템을 줍게 된다.

화면에서 -를 누를 경우, 미감정 아이템 목록으로 넘어간다.

CMD_DISPLAY_KNOWN_OBJECTS
미감정 아이템 \ 다음 - 미감정 아이템 목록을 보여준다.

감정 스크롤이 없는 상태에서 남은 아이템이 무엇인지 추측하는 데 도움이 된다.

-
특수능력 사용 a 종족 능력이나 신앙 능력 등을 사용한다.
CMD_USE_ABILITY
주문 시전 z 주문을 시전한다.

사정거리, 대상을 고려하여 적합한 주문만이 표시된다.

CMD_CAST_SPELL
주문 강제 시전 Z 주문을 시전한다.

z와는 다르게, 대상이 없더라도 주문을 시전할 수 있다.
보통 보이지 않는 적을 주문으로 공격하려 할 때 사용한다.

CMD_FORCE_CAST_SPELL
장비의 발동 능력 사용 v 장비에 붙어 있는 발동 능력을 사용한다.
CMD_EVOKE_WIELDED
발동 아이템 사용 V 소지한 발동 아이템을 사용한다.
CMD_EVOKE
원거리 공격 f 소지한 탄환을 사용하여 원거리 공격을 한다.
CMD_FIRE
탄환 바꾸기 ( 또는 ) 원거리 공격 시 사용할 탄환을 바꾼다.
CMD_CYCLE_QUIVER_FORWARD, CMD_CYCLE_QUIVER_BACKWARD
발사, 던지기 F f와 다르게 아무 물건이나 내던질 수 있다.
CMD_THROW_ITEM_NO_QUIVER
지시, 외치기 t 동료에게 지시를 내리거나, 큰 소음을 발생시킨다.

t-a : 지정 대상을 공격하라고 지시한다.
t-s : 공격을 그만두라고 지시한다.
t-g : 해당 지역을 방어하라고 지시한다.
t-f : 플레이어를 따라오라고 지시한다.
t-t : 큰 소음을 발생시켜 이목을 끈다(외치기).

CMD_SHOUT
이동속도 맞추기 Ctrl+E 플레이어의 이동속도를 가장 느린 동료와 맞춘다.
-
시체 해체 c 현재 타일의 시체를 해체하여 고깃덩이를 얻는다.
CMD_BUTCHER
음식 먹기 e 현재 타일의 음식을 먹는다.

타일에 음식이 없을 경우, 인벤토리의 음식을 먹는다.

CMD_EAT

캐릭터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캐릭터 정보
작용 설명
캐릭터 개요 % 캐릭터의 종합적인 정보를 정리하여 보여준다.
  • HP, MP, 골드, AC, EV, SH, 힘, 지능, 민첩, 레벨, 믿는 신, 주문 레벨
  • 화염, 냉기, 음에너지, 독, 전기, 부식, 마법 저항, 은밀도, 재생력
  • 투명보기, 대식, 신앙, 정령, 반사, 상해
CMD_RESISTS_SCREEN
기술 m 기술 레벨 등을 확인 및 학습 설정한다.

보통 =을 사용하여 특정 스킬의 상한선을 설정해주는 기능을 이용한다.

CMD_DISPLAY_SKILLS
종교 ^ 믿는 종교와 신앙도, 제공되는 능력 등을 확인한다.
CMD_DISPLAY_RELIGION
능력, 돌연변이 A 능력이나 상태 이상, 돌연변이 등을 확인한다.
CMD_DISPLAY_MUTATIONS
배운 주문 I 배운 주문을 확인한다.
CMD_DISPLAY_SPELLS
습득 주문 확인
및 배우기
M 습득한 주문을 확인하고, 원하는 주문을 배울 수 있다.
CMD_MEMORISE_SPELL
캐릭터 정보 @ 이동 속도와 공격 속도 등을 간략히 표시한다.
CMD_DISPLAY_CHARACTER_STATUS
착용 방어구 [ 착용 중인 방어구를 부위별로 표시한다.
CMD_LIST_ARMOUR
착용 장신구 " 착용 중인 장신구를 부위별로 표시한다.
CMD_LIST_JEWELLERY
수집한 룬 } 플레이어가 수집한 룬을 보여준다.
CMD_DISPLAY_RUNES
탐색 정보 E 플레이어가 위치한 장소와 현재 층의 탐색 진행도, 총 플레이 시간을 보여준다.
CMD_EXPERIENCE_CHECK

아이템 상호작용[편집 | 원본 편집]

아이템 상호작용
작용 설명
인벤토리 확인 i 소지중인 아이템 목록을 확인한다.
CMD_DISPLAY_INVENTORY
아이템에 메모 { 지정 아이템에 메모를 한다.
CMD_INSCRIBE_ITEM
아이템 줍기 g
,
아이템을 줍는다.
CMD_PICKUP
아이템 버리기 d 아이템을 버린다.
수량 조절을 하려면 d를 누르고 숫자를 입력한 뒤 원하는 아이템을 골라 내려놓으면 된다.
(drop 창에서 선택한 아이템이 +대신 #로 표시됨)
CMD_DROP
방금 줏은 아이템 버리기 D 가장 최근에 습득한 아이템을 버린다.
-
기본 탄환 Q 기본 탄환으로 쓸 아이템을 선택한다(Quiver).
CMD_QUIVER_ITEM
포션 마시기 q 포션을 마신다(quaff).
CMD_QUAFF
음식 먹기 e 음식을 먹는다(eat).
CMD_EAT
두루마리 읽기 r 두루마리를 읽는다(read).
CMD_READ
무기 장착 w 무기를 장착한다(wield).
CMD_WIELD_WEAPON
무기 스위칭 ' a), b) 무기를 스위칭한다.
CMD_WEAPON_SWAP
방어구 장착 W 방어구를 장착한다(Wield).
CMD_WEAR_ARMOUR
방어구 벗기 T 입고 있는 방어구를 벗는다(Take off).
CMD_REMOVE_ARMOUR
장신구 장착 P 장신구를 장착한다(Put).
CMD_WEAR_JEWELLERY
장신구 해제 R 장신구를 해제한다(Remove).
CMD_REMOVE_JEWELLERY

게임 저장 및 종료[편집 | 원본 편집]

게임 저장 및 종료
작용 설명
확인 후 저장 및 종료 S 진행중인 게임을 저장하고 게임을 종료할지 물어본다.
CMD_SAVE_GAME
바로 저장 및 종료 Ctrl+S 확인 없이 바로 게임을 저장하고 종료한다.
CMD_SAVE_GAME_NOW
게임 포기 Ctrl+Q 저장 없이 메인 화면으로 돌아간다.
망해서 진행할 가치가 없는 게임에서 사용한다.
CMD_QUIT

기타[편집 | 원본 편집]

기타
작용 설명
메시지 로그 확인 Ctrl+P 지나간 메시지를 확인한다.
CMD_REPLAY_MESSAGES
메모 남기기 : 현재 층에 메모를 추가한다.

강한 네임드 혹은 지금은 습득할 수 없는 아이템을 남겨둔다거나 할 때 유용하다.

CMD_MAKE_NOTE
메모 확인 ? 다음 : 입력해둔 메모를 읽는다.
-
위저드 모드 & 위저드 모드를 활성화한다.
점수 기록은 되지 않으며, 테스트를 위해 사용된다.
CMD_WIZARD

조작키 변경하기[편집 | 원본 편집]

DCSS WebTiles(웹죽), DCSS Tiles(다운죽)에서 조작키를 변경하는 데는 아래와 같은 방법들이 있다.

rc 파일 편집하기[편집 | 원본 편집]

rc 파일을 열어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추가하고 저장해주면 된다.

  • bindkey = [원하는 단축키] CMD_명렁어
예시 1) bindkey = [Q] CMD_AUTOFIGHT_NOMOVE
CMD_AUTOFIGHT_NOMOVE 명령어는 이동 없이 제자리에서 근접한 적에게 공격하는 기능으로,

기존의 ⇧ Shift+Tab ↹ 조작키가 크롬 브라우저 단축키와 겹치는 문제로 웹죽에서는 사용하기 어렵다.
Q로 바꾸려면 상기와 같이 입력해주면 된다.

  • Q는 원래 궁수용 탄환 단축키이다.
예시 2) bindkey = [^S] CMD_FIX_WAYPOINT
CMD_FIX_WAYPOINT 명령어는 웨이포인트를 설정하는 기능으로, 앞선 예시와 마찬가지로

기존의 Ctrl+W 조작키가 크롬 브라우저 단축키와 겹치는 문제로 웹죽에서는 사용하기 어렵다.
Ctrl+S로 바꾸려면 상기와 같이 입력해주면 된다.

  • Ctrl+S는 원래 바로 저장 후 종료 단축키이다.
  • Ctrl을 나타낼 때는 ^를 사용한다.

매크로 편집하기[편집 | 원본 편집]

인게임에서 ~ 또는 Ctrl+D를 누르면 매크로를 설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