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급 초계함: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동해급 초계함은 대한민국 해군의 함정이였으며 지금은 콜롬비아 해군에서 운용되고 있다. 울산급과 포항급의 염가형 초계함으로 해경함...)
 
잔글 (불필요한 공백 제거)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동해급 초계함은 대한민국 해군의 함정이였으며 지금은 콜롬비아 해군에서 운용되고 있다.
동해급 초계함은 1983년 취역한 [[대한민국 해군]]의 함정이다.
울산급과 포항급의 염가형 초계함으로 해경함으로 운용되기도 하였다.
 
동해급 초계함은 지금 한국 해군 내에선 전함 퇴역했다.
== 역사 ==
[[울산급 호위함|울산급]]의 염가판이자 [[포항급 초계함]]의 시험 제작판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포항급 초기형"이라고 분류되기도 한다. 전체적인 형상은 울산함과 유사하여 울산급 호위함에 영향을 받았다고 볼수 있다.
 
총 4척이 건조되어 취역했다가, 2000년대 들어서 동해함부터 순차적으로 퇴역하면서 고철로 사라졌으며, 마지막 함인 안양함은 콜롬비아 해군에 무상인도 되면서 '나리뇨 함'으로 제2의 생을 살고 있다.
 
== 무장 ==
1100톤급의 포항급 초계함보다 작은 함정으로, 76미리 함포를 주 무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 외 40mm 기관포탑과 [[미스트랄]] SAM을 갖추고 있었다. 크기는 울산급의 절반 정도로 광개토대왕급 구축함같이 철골형 마스트가 이 함의 특징이다.
 
== 함정 목록 ==
* 동해함
* 수원함
* 강릉함
* 안양함
[[분류:대한민국 해군]]
[[분류:대한민국 해군]]
[[분류:초계함]]

2021년 6월 15일 (화) 18:14 기준 최신판

동해급 초계함은 1983년 취역한 대한민국 해군의 함정이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울산급의 염가판이자 포항급 초계함의 시험 제작판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포항급 초기형"이라고 분류되기도 한다. 전체적인 형상은 울산함과 유사하여 울산급 호위함에 영향을 받았다고 볼수 있다.

총 4척이 건조되어 취역했다가, 2000년대 들어서 동해함부터 순차적으로 퇴역하면서 고철로 사라졌으며, 마지막 함인 안양함은 콜롬비아 해군에 무상인도 되면서 '나리뇨 함'으로 제2의 생을 살고 있다.

무장[편집 | 원본 편집]

1100톤급의 포항급 초계함보다 작은 함정으로, 76미리 함포를 주 무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 외 40mm 기관포탑과 미스트랄 SAM을 갖추고 있었다. 크기는 울산급의 절반 정도로 광개토대왕급 구축함같이 철골형 마스트가 이 함의 특징이다.

함정 목록[편집 | 원본 편집]

  • 동해함
  • 수원함
  • 강릉함
  • 안양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