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승환: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연도별 출생 제거 봇2)
 
(사용자 11명의 중간 판 1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토막글}}
{| class="wikitable"
일본프로야구 [[한신 타이거즈]]의 마무리 투수. KBO 시절에는 [[삼성 라이온즈]]에서 뛰었으며 별명은 표정변화가 없다 하여 돌부처.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 #FFFF00; color: #000000" | '''<big>오승환</big>'''
|-
| 생년월일 || [[1982년]] [[7월 15일]]
|-
| 신장 / 체중 || 178cm, 92kg
|-
| 소속 || [[한신 타이거즈]]
|-
| 포지션 || 투수
|-
| 등번호 || No.22 <del>EE</del>
|-
| 투 / 타 || 우투/우타
|-
| 출신교 || 도신초 - 우신중 - 경기고 - 단국대
|-
| 프로입단 || [[2005년]] 드래프트 2차지명 1라운드 전체 5번
([[삼성 라이온즈]])
|-
| 소속팀 || 2005~2013 삼성 라이온즈 <br />
|-
|}


[[분류:야구선수]]
==개요==
일본프로야구 [[한신 타이거즈]]의 마무리 투수. <del>경기를 8회까지만 보게하는 사나이</del>
KBO 시절에는 삼성 라이온즈에서 뛰었으며 별명은 표정변화가 없다 하여 돌부처.
 
==아마추어 시절==
고교 1학년은 한서고에서 메이저리거감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강속구를 뿌렸지만 팔꿈치 인대가 파열되었다. 경기고로 전학 후 타자로 전향 했지만 성적이 좋지 못했고, 신인지명에서 선택받지 못했지만 다행히 단국대로 진학하였다. 대학 입학 후 투수로 복귀했지만 또 팔꿈치 인대 에 문제가 생겨 팔꿈치 인대 접합 수술을 받았다. 하지만 꾸준한 재활로 최고시속 152km를 찍을 정도여서 2005년 신인 2차지명에서 삼성에 1순위로 지명받았다.
그러나 경기고때는 [[이동현]]에 약간 묻히는 경향이 있었다.
 
==삼성 라이온즈 시절==
데뷔한 2005년에는 신인에게 마무리를 믿고 맡길 수 없었던건지, <del>쓸만한 투수가 없었던건지</del> 감독이 많이 굴려서 이닝수도 많고 10승이나 된다.<ref>그리고 한국프로야구에 유일한 10승 10홀드 10세이브를 달성한다.</ref><del>이래뵈도 10승 투수</del>
데뷔 4년차까지 2억 4천만원의 연봉을 받는 투수였지만 09년도, 10년도에는 안타깝게도 부상, 구위하락등으로 인하여 부진하였다. 그러나 09년도, 10년도를 제외한다면 명실상부한 KBO 최고의 마무리 투수였고, 그 덕에 삼성의 수호신으로 자리 잡을 수 있었다.
{{각주}}
[[분류:정읍시 출신]]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2023년 8월 25일 (금) 06:00 기준 최신판

오승환
생년월일 1982년 7월 15일
신장 / 체중 178cm, 92kg
소속 한신 타이거즈
포지션 투수
등번호 No.22 EE
투 / 타 우투/우타
출신교 도신초 - 우신중 - 경기고 - 단국대
프로입단 2005년 드래프트 2차지명 1라운드 전체 5번

(삼성 라이온즈)

소속팀 2005~2013 삼성 라이온즈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일본프로야구 한신 타이거즈의 마무리 투수. 경기를 8회까지만 보게하는 사나이 KBO 시절에는 삼성 라이온즈에서 뛰었으며 별명은 표정변화가 없다 하여 돌부처.

아마추어 시절[편집 | 원본 편집]

고교 1학년은 한서고에서 메이저리거감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강속구를 뿌렸지만 팔꿈치 인대가 파열되었다. 경기고로 전학 후 타자로 전향 했지만 성적이 좋지 못했고, 신인지명에서 선택받지 못했지만 다행히 단국대로 진학하였다. 대학 입학 후 투수로 복귀했지만 또 팔꿈치 인대 에 문제가 생겨 팔꿈치 인대 접합 수술을 받았다. 하지만 꾸준한 재활로 최고시속 152km를 찍을 정도여서 2005년 신인 2차지명에서 삼성에 1순위로 지명받았다. 그러나 경기고때는 이동현에 약간 묻히는 경향이 있었다.

삼성 라이온즈 시절[편집 | 원본 편집]

데뷔한 2005년에는 신인에게 마무리를 믿고 맡길 수 없었던건지, 쓸만한 투수가 없었던건지 감독이 많이 굴려서 이닝수도 많고 10승이나 된다.[1]이래뵈도 10승 투수 데뷔 4년차까지 2억 4천만원의 연봉을 받는 투수였지만 09년도, 10년도에는 안타깝게도 부상, 구위하락등으로 인하여 부진하였다. 그러나 09년도, 10년도를 제외한다면 명실상부한 KBO 최고의 마무리 투수였고, 그 덕에 삼성의 수호신으로 자리 잡을 수 있었다.

각주

  1. 그리고 한국프로야구에 유일한 10승 10홀드 10세이브를 달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