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크1:괴물의 아이: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포크2:참조\|(.*)\}\} +{{참조|\1}}))
잔글 (→‎등장인물: 틀:등장인물 목록 포함된 문서, replaced: ({{일본어| → ({{일본어=| (4))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작품 ==
== 작품 ==
'''괴물의 아이'''{{포크2:원|バケモノの子}}는 2015년에 개봉한 [[호소다 마모루]] 감독의 극장판 애니메이션이다. 동 감독의 [[시간을 달리는 소녀]] 이후 네 번째로 제작한 극장판 애니메이션이기도 하다<ref>[[호소다 마모루]]는 2006년에 [[시간을 달리는 소녀]] 이후 3년 간격으로 꾸준하게 극장판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였다.</ref>. 극장판 애니메이션의 개봉 전후로 라노베나 코믹스 등의 미디어믹스가 출판되기도 하였다.
'''괴물의 아이'''(バケモノの子)는 2015년에 개봉한 [[호소다 마모루]] 감독의 극장판 애니메이션이다. 동 감독의 [[시간을 달리는 소녀]] 이후 네 번째로 제작한 극장판 애니메이션이기도 하다<ref>[[호소다 마모루]]는 2006년에 [[시간을 달리는 소녀]] 이후 3년 간격으로 꾸준하게 극장판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였다.</ref>. 극장판 애니메이션의 개봉 전후로 라노베나 코믹스 등의 미디어믹스가 출판되기도 하였다.


전작의 [[늑대 아이]]와 마찬가지로 부모와 자식 관계를 주요 테마로 하고 있으며, 특히 아버지와 아들과의 관계에 집중하였다. 감독인 호소다 마모루는 '아이가 태어난 것이 이 작품을 만들게 된 계기'이며, '실제로 그림책을 읽어주며 느낀 것들이 영화에 많이 녹아있다'고 밝혔다.<ref>무비스트의 [http://www.movist.com/star3d/read.asp?type=32&id=23410 호소다 마모루 인터뷰] 중.</ref>
전작의 [[늑대 아이]]와 마찬가지로 부모와 자식 관계를 주요 테마로 하고 있으며, 특히 아버지와 아들과의 관계에 집중하였다. 감독인 호소다 마모루는 '아이가 태어난 것이 이 작품을 만들게 된 계기'이며, '실제로 그림책을 읽어주며 느낀 것들이 영화에 많이 녹아있다'고 밝혔다.<ref>무비스트의 [http://www.movist.com/star3d/read.asp?type=32&id=23410 호소다 마모루 인터뷰] 중.</ref>


== 줄거리 ==
== 줄거리 ==
'''함께라면 뭐든지 할 수 있어!'''<ref>한국판 포스터에서의 번역으로, 원문은 '너와 함께라면, 강해질 수 있어.{{포크2:원|キミとなら、強くなれる。}}'이다.</ref>
'''함께라면 뭐든지 할 수 있어!'''<ref>한국판 포스터에서의 번역으로, 원문은 '너와 함께라면, 강해질 수 있어.(キミとなら、強くなれる。)'이다.</ref>


도쿄 시부야 거리에서 홀로 살아가고 있는 9살 소년은 괴물 쿠마테츠를 길거리에서 만나 제자가 되라는 말을 듣게 된다. 쿠마테츠의 뒤를 쫒아간 곳은 인간 세계와 동떨어진 괴물들의 세계 '쥬텐가이{{포크2:원|渋天街}}'. 소년은 쿠마테츠로부터 '큐타'라는 새로운 이름을 받고, 그의 제자가 된다. 제멋대로인 스승과 고집센 제자의 기묘한 공동 생활은 마치 진짜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처럼 보였다. 하지만 어느 새 훌쩍 커버린 큐타가 자신이 살던 인간 세계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양쪽 세계에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하게 된다.
도쿄 시부야 거리에서 홀로 살아가고 있는 9살 소년은 괴물 쿠마테츠를 길거리에서 만나 제자가 되라는 말을 듣게 된다. 쿠마테츠의 뒤를 쫒아간 곳은 인간 세계와 동떨어진 괴물들의 세계 '쥬텐가이(渋天街)'. 소년은 쿠마테츠로부터 '큐타'라는 새로운 이름을 받고, 그의 제자가 된다. 제멋대로인 스승과 고집센 제자의 기묘한 공동 생활은 마치 진짜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처럼 보였다. 하지만 어느 새 훌쩍 커버린 큐타가 자신이 살던 인간 세계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양쪽 세계에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하게 된다.


== 등장인물 ==
== 등장인물 ==
{{참조|괴물의 아이/등장인물}}
{{참고|괴물의 아이/등장인물}}
{{포크2:등장인물
{{등장인물 목록/시작}}
|이름 = 큐타
{{등장인물 목록
|이름2 =
|이름 = 큐타 ({{일본어=|九太}}), 렌 ({{일본어=|蓮}})
|이름@ =
|그림 = 큐타 100x100.png
|이름/일어 = 九太
|배우 =  
|이름2/일어 =
|성우 = [[미야자키 아오이]](아이) / [[소메타니 쇼타]](청년)
|CV = [[미야자키 아오이]](아이) / [[소메타니 쇼타]](청년)
|설명 =  
|설명 =  
}}
}}
{{포크2:등장인물
{{등장인물 목록
|이름 = 쿠마테츠
|이름 = 쿠마테츠 ({{일본어=|熊徹}})
|이름@ =  
|그림 = 쿠마테츠 100x100.png
|이름/일어 = 熊徹
|배우 =  
|CV = [[야쿠쇼 코지]]
|성우 = [[야쿠쇼 코지]]
|설명 =  
|설명 =  
}}
}}
{{포크2:등장인물
{{등장인물 목록
|이름 = 카에데
|이름 = 카에데 ({{일본어=|楓}})
|이름@ =  
|그림 = 카에데 (괴물의 아이) 100x100.png
|이름/일어 =
|배우 =  
|CV = [[히로세 스즈]]
|성우 = [[히로세 스즈]]
|설명 =
|설명 =  
|변수 = (괴물의 아이)
}}
}}
{{등장인물 목록/끝}}


== 극장판 애니메이션 (원작) ==
== 극장판 애니메이션 (원작) ==
{{포크2:정보상자/애니메이션
{{영상물 정보
|구분 = 극장판 애니메이션
|영상물이름  = 괴물의 아이
|제목 = 괴물의 아이
|원어이름    = バケモノの子
|제목/일어 = バケモノの子
|배경색      =  
|제목/영어 = The boy and the Beast
|글자색      =  
|장르 =  
|그림        =  
|개봉일/년 = 2015
|그림설명    =  
|개봉일/월 = 7
|배급사      =  
|개봉일/일 = 11
|방송채널    =  
|원작 = 호소다 마모루
|제작사      = 스튜디오 지도
|감독 = 호소다 마모루
|감독         = 호소다 마모루
|구성 =  
|제작        =  
|각본 = 호소다 마모루
|작가        = 호소다 마모루
|연출 =  
|출연        =
|캐릭터 디자인 = 호소다 마모루, 야마시타 타카아키, 이가 다이스케
|해설        =
|음악 = 타카기 마사카츠
|장르        =
|제작사 = 스튜디오 지도
|나라        = {{나라|일본}}
|상영시간 = 119분
|언어        = [[일본어]]
|공식사이트 = http://www.bakemono-no-ko.jp
|연작제목    =
<!-- 국내 발매정보 -->
|개봉일      = 2015년 7월 11일
|국내명 = 괴물의 아이
|방영일      =  
|국내개봉일/년 = 2015
|방영시각    =  
|국내개봉일/월 = 11
|시즌수      =  
|국내개봉일/일 = 25
|화수        =  
|수입사 = 얼리버드픽처스
|시간        = 119분
|시리즈      =
|이전작품    =
|다음작품    =
|웹사이트    = http://www.bakemono-no-ko.jp
|캐릭터원안  =
|캐릭터디자인 = 호소다 마모루, 야마시타 타카아키, 이가 다이스케
|연출        =
|미술        =
|촬영감독    =
|음악        = 타카기 마사카츠
|여는곡      =  
|닫는곡      =  
|영상포맷    =  
|음성포맷    =  
|번역배급사  = [[얼리버드픽처스]]
|번역방송채널 =
|번역개봉일  = 2015년 11월 25일
|번역방영일  =
|번역방영시각 =
|비고        =
}}
}}


== 라이트 노벨 ==
== 라이트 노벨 ==
{{포크2:정보상자/라이트 노벨
{{책 정보
  |제목 = 괴물의 아이
|책/만화이름 = 괴물의 아이
|제목/일어 = バケモノの子
|원어이름    = バケモノの子
|제목/영어 = The Boy and the Beast
|배경색      =
|장르 =  
|글자색      =
|출판일/년 = 2015
|그림        =
|출판일/월 = 6
|그림설명    =
|출판일/일 = 20
|지은이      =
|원작 = 호소다 마모루
|그린이      =  
|출판사 = KADOKAWA
|장르         =  
|레이블 = 카도카와 문고
|나라        = {{나라|일본}}
|권수 = 1권
|언어        = [[일본어]]
|완결/미완결 = 완결
|연작제목    =  
|공식사이트 = {{언어링크|ja}} [http://www.kadokawa.co.jp/bunko/bk_detail.php?pcd=321501000141 카도카와 문고의 해당 도서 설명 페이지]
|발행일      = 2015년 6월 20일
<!-- 국내 출판정보 -->
|출판사       = [[KADOKAWA]] ([[카도카와 문고]])
|국내명 = 괴물의 아이
|ISBN        =
|국내출판일/년 = 2015
|연재처      =
|국내출판일/월 = 11
|연재기간    =  
|국내출판일/일 = 25
|권수         = 1권
|출판사/국내 = 대원씨아이
|화수        =  
|레이블/국내 = NT 노벨
|시리즈      =  
|번역 = 이은주
|이전작품    =  
|권수/국내 = 1권
|다음작품    =
|공식사이트/국내 =  
|팬픽원작    =  
|웹사이트    =  
|옮긴이      = 이은주
|번역발행일  = 2015년 11월 25일
|번역출판사  = [[대원씨아이]] ([[NT 노벨]])
|번역ISBN    =  
|번역연채처  =  
|번역연재기간 =  
|비고        =  
}}
}}


== 코믹스 ==
== 코믹스 ==
{{포크2:정보상자/코믹스
{{만화 정보
  |제목 = 괴물의 아이
|책/만화이름 = 괴물의 아이
|제목/일어 = バケモノの子
|원어이름    = バケモノの子
|제목/영어 = The Boy and the Beast
|배경색      =
|장르 =  
|글자색      =
|출판일/년 = 2015
|그림        =
|출판일/월 = 6
|그림설명    =
|출판일/일 = 26
|지은이      =  
|원작 = 호소다 마모루
|그린이      = 아사이 렌지
|그림 = 아사이 렌지
|장르        =  
|출판사 = 카토카와 문고
|나라        = {{나라|일본}}
|레이블 =  
|언어        = [[일본어]]
|권수 = 1
|연작제목    =  
|완결/미완결 = 완결
|발행일      = 2015년 6월 26일
|공식사이트 = {{언어링크|ja}} [http://www.kadokawa.co.jp/comic/bk_detail.php?pcd=321503000203 카도카와 문고의 해당 도서 설명 페이지]
|출판사       = [[카토카와 문고]]
<!-- 국내 출판정보 -->
|ISBN        =  
|국내명 =  
|연재처      =  
|국내출판시작/년 =  
|연재기간    =  
|국내출판시작/월 =  
|권수        = 1
|국내출판시작/일 =  
|화수        =  
|국내출판종료/년 =  
|시리즈      =  
|국내출판종료/월 =  
|이전작품    =  
|국내출판종료/일 =  
|다음작품    =  
|출판사/국내 =  
|팬픽원작    =  
|레이블/국내 =  
|웹사이트    =  
|번역 =  
|옮긴이      =  
|권수/국내 =  
|번역발행일  =  
|공식사이트/국내 =  
|번역출판사  =  
|번역ISBN    =  
|번역연채처  =  
|번역연재기간 =  
|비고        =  
}}
}}
{{각주}}


== 관련 사이트 ==
== 관련 사이트 ==
132번째 줄: 161번째 줄:
* {{언어링크|ja}} [http://www.kadokawa.co.jp/sp/bakemono-no-ko/ 카도카와 서점의 <괴물의 아이> 특설 페이지]
* {{언어링크|ja}} [http://www.kadokawa.co.jp/sp/bakemono-no-ko/ 카도카와 서점의 <괴물의 아이> 특설 페이지]


<!--가족 장르가 추가되면 장르에 추가해 주세요.-->
{{각주}}
{{포크2:장르| }}

2024년 6월 6일 (목) 18:30 기준 최신판

작품[원본 편집]

괴물의 아이(バケモノの子)는 2015년에 개봉한 호소다 마모루 감독의 극장판 애니메이션이다. 동 감독의 시간을 달리는 소녀 이후 네 번째로 제작한 극장판 애니메이션이기도 하다[1]. 극장판 애니메이션의 개봉 전후로 라노베나 코믹스 등의 미디어믹스가 출판되기도 하였다.

전작의 늑대 아이와 마찬가지로 부모와 자식 관계를 주요 테마로 하고 있으며, 특히 아버지와 아들과의 관계에 집중하였다. 감독인 호소다 마모루는 '아이가 태어난 것이 이 작품을 만들게 된 계기'이며, '실제로 그림책을 읽어주며 느낀 것들이 영화에 많이 녹아있다'고 밝혔다.[2]

줄거리[원본 편집]

함께라면 뭐든지 할 수 있어![3]

도쿄 시부야 거리에서 홀로 살아가고 있는 9살 소년은 괴물 쿠마테츠를 길거리에서 만나 제자가 되라는 말을 듣게 된다. 쿠마테츠의 뒤를 쫒아간 곳은 인간 세계와 동떨어진 괴물들의 세계 '쥬텐가이(渋天街)'. 소년은 쿠마테츠로부터 '큐타'라는 새로운 이름을 받고, 그의 제자가 된다. 제멋대로인 스승과 고집센 제자의 기묘한 공동 생활은 마치 진짜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처럼 보였다. 하지만 어느 새 훌쩍 커버린 큐타가 자신이 살던 인간 세계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양쪽 세계에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하게 된다.

등장인물[원본 편집]

큐타 (九太), 렌 ()
쿠마테츠 (熊徹)
카에데 ()

극장판 애니메이션 (원작)[원본 편집]

괴물의 아이
バケモノの子
작품 정보
제작사 스튜디오 지도
감독 호소다 마모루
작가 호소다 마모루
나라 일본
언어 일본어
개봉일 2015년 7월 11일
시간 119분
웹사이트 http://www.bakemono-no-ko.jp
기타 정보
캐릭터
디자인:
호소다 마모루, 야마시타 타카아키, 이가 다이스케
음악 타카기 마사카츠
한국어판 정보
배급사 얼리버드픽처스
개봉일 2015년 11월 25일

라이트 노벨[원본 편집]

괴물의 아이
バケモノの子
작품 정보
나라 일본
언어 일본어
발행일 2015년 6월 20일
출판사 KADOKAWA (카도카와 문고)
권수 1권
한국어판 정보
옮긴이 이은주
발행일 2015년 11월 25일
출판사 대원씨아이 (NT 노벨)

코믹스[원본 편집]

괴물의 아이
バケモノの子
작품 정보
그림 아사이 렌지
나라 일본
언어 일본어
발행일 2015년 6월 26일
출판사 카토카와 문고
권수 1

관련 사이트[원본 편집]

각주

  1. 호소다 마모루는 2006년에 시간을 달리는 소녀 이후 3년 간격으로 꾸준하게 극장판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였다.
  2. 무비스트의 호소다 마모루 인터뷰 중.
  3. 한국판 포스터에서의 번역으로, 원문은 '너와 함께라면, 강해질 수 있어.(キミとなら、強くなれる。)'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