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R: 두 판 사이의 차이

(리그베다 기여분 이전)
태그: 미디어위키와 호환되지 않는 모니위키 문법이 사용됨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_([^]]*)\]\] +\1 \2))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big>'''VHF Omni(directional) Range''' / '''초단파 전방향 무선 표지'''</big>
[[파일:VOR Foret7.JPG|thumb]]
<big>VHF Omni(directional) Range''' / '''초단파 전방향 무선 표지</big>
==개요==
VHF 주파수의 직진성을 이용한 단거리 항법시설. VOR이 위치한 지점에서 360개의 방향으로 전파를 발신함으로써 항공기는 지신이 VOR로부터 어떤 방향에 위치해 있는 지 알 수 있다.


VHF 주파수의 직진성을 이용한 단거리 항법시설. VOR이 위치한 지점에서 360개의 방향으로 전파를 발신함으로써 항공기는 지신이 VOR로부터 어떤 방향에 위치해 있는 지 알 수 있다.  
계기착륙의 기초적인 장비이며, 항로의 웨이포인트로써의 역할도 한다.


계기착륙의 기초적인 장비이며, 항로의 웨이포인트로써의 역할도 한다.
단독으로 설치되기 보다는 보통 거리측정장치인 [[DME]]와 묶어서 'VOR-DME'형태<ref>DME 는 Distance Measurement Equipment. 둘이 셋트로 설치되면 방향과 거리를 같이 알 수 있다.</ref>로 자주 설치되며, 군용항법장치인 TACAN과 묶어서 VORTAC이라는 형태로 설치되기도 한다.


단독으로 설치되기 보다는 보통 거리측정장치인 [[DME]]와 묶어서 'VOR-DME'형태[* DME 는 Distance Measurement Equipment. 둘이 셋트로 설치되면 방향과 거리를 같이 알 수 있다.]로 자주 설치되며, 군용항법장치인 TACAN과 묶어서 VORTAC이라는 형태로 설치되기도 한다.
==작동 방식==
원을 따라 지향성 안테나가 줄지어 서있으며, 한번에 1개 안테나만 전파를 송출한다. 그 가운데에는 무지향성 안테나가 하나 서있다. 무지향성 안테나에서 송출하는 전파와 지향성 안테나에서 송출하는 전파를 비교하여 위상이 얼마나 밀려있는지를 판단하여 방향을 검증한다.


[[분류:항공]]
[[분류:항공 장비]]
[[분류:항로표지]]
{{각주}}

2022년 8월 29일 (월) 03:35 기준 최신판

VOR Foret7.JPG

VHF Omni(directional) Range / 초단파 전방향 무선 표지

개요[편집 | 원본 편집]

VHF 주파수의 직진성을 이용한 단거리 항법시설. VOR이 위치한 지점에서 360개의 방향으로 전파를 발신함으로써 항공기는 지신이 VOR로부터 어떤 방향에 위치해 있는 지 알 수 있다.

계기착륙의 기초적인 장비이며, 항로의 웨이포인트로써의 역할도 한다.

단독으로 설치되기 보다는 보통 거리측정장치인 DME와 묶어서 'VOR-DME'형태[1]로 자주 설치되며, 군용항법장치인 TACAN과 묶어서 VORTAC이라는 형태로 설치되기도 한다.

작동 방식[편집 | 원본 편집]

원을 따라 지향성 안테나가 줄지어 서있으며, 한번에 1개 안테나만 전파를 송출한다. 그 가운데에는 무지향성 안테나가 하나 서있다. 무지향성 안테나에서 송출하는 전파와 지향성 안테나에서 송출하는 전파를 비교하여 위상이 얼마나 밀려있는지를 판단하여 방향을 검증한다.

각주

  1. DME 는 Distance Measurement Equipment. 둘이 셋트로 설치되면 방향과 거리를 같이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