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객안내기: 두 판 사이의 차이

17번째 줄: 17번째 줄:


* 승강장 행선안내기
* 승강장 행선안내기
*: 진입 열차 안내, 다음 열차 안내 등을 하며 직전 수개 역 사이에 열차가 어디 있는지도 보여준다. 열차 시격 사이의 막간엔 간단한 안내 멘트가 나오기도 한다.
*: 진입 열차 안내, 다음 열차 안내 등을 하며 직전 수개 역 사이에 열차가 어디 있는지도 보여준다. 열차 시격 사이의 막간엔 간단한 안내 멘트가 나오기도 한다. 대형역의 경우 타는 곳으로 가는 과선교 초입에 이걸 세워두기도 한다.


* 차내 여객안내기
* 차내 여객안내기
*: 열차 내에 설치되어 행선, 정차역 등을 안내한다. 안내방송과 연동되어 작동되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을 위해 안내방송의 내용이 그대로 표출된다. 일부 열차는 디자인 미비로 인해 시인성이 떨어진다는 불만이 높다.
*: 열차 내에 설치되어 행선, 정차역 등을 안내한다. 안내방송과 연동되어 작동되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을 위해 안내방송의 내용이 그대로 표출된다. 일부 열차는 디자인 미비로 인해 시인성이 떨어진다는 불만이 높다.
{{각주}}
{{각주}}

2019년 10월 9일 (수) 16:22 판

여객안내기는 철도역부터 차내까지 여객에게 여행 정보를 제공하는 일체의 체계를 말한다.

형식

  • 플랩식
    Subway sign Seoul Metro.jpg
    내용이 인쇄된 평판이 돌아가면서 내용을 현시하는 방식이다. 표시 가능한 행선이나 열차 종별이 평판 내용으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시각표 개정으로 시종점이 달라지고 열차 종별이 추가되면 안내기를 뜯어서 평판을 추가하거나 제거해야 했다.
  • LED 매트릭스
    DongDaeguStationLEDpanel.jpg
    흔히 말하는 전광판. 크기 대비 가격이 저렴하고 대형화가 쉽다. 해상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정보의 집약도를 높이는 데 한도가 있고, 화면 출력에 전용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 LCD 모니터
    ITX-Saemaeul LCD Screen.jpg
    LED와 달리 다양한 스타일로 구성할 수 있고, 해상도를 높여도 시인성이 나쁘지 않기 때문에 정보의 집약도를 높일 수 있다.

형태

  • 맞이방 열차 출·도착 현황판
    KTX, 무궁화호 등 일반열차 정차역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현재 시간 이후로 출·도착하는 열차와 발착 시각이 나열되어 있다. 출발 열차 중 승차 시각이 임박한(통상 15분 이내) 열차들은 "승차준비"(신용승차 이전엔 "개표중") 표시가 깜빡이는 것을 볼 수 있다.
  • 승강장 행선안내기
    진입 열차 안내, 다음 열차 안내 등을 하며 직전 수개 역 사이에 열차가 어디 있는지도 보여준다. 열차 시격 사이의 막간엔 간단한 안내 멘트가 나오기도 한다. 대형역의 경우 타는 곳으로 가는 과선교 초입에 이걸 세워두기도 한다.
  • 차내 여객안내기
    열차 내에 설치되어 행선, 정차역 등을 안내한다. 안내방송과 연동되어 작동되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을 위해 안내방송의 내용이 그대로 표출된다. 일부 열차는 디자인 미비로 인해 시인성이 떨어진다는 불만이 높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