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르바리 해적: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역사을(를) 삭제함, 분류:해적을(를) 추가함)
(→‎개요: 바르바리 해적의 종교까지 언급한다면 캐리비안 해적은 기독교 해적으로 정의되는 오류가 생깁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바르바리 해적은 16세기 초부터 19세기 초까지 리비아, 튀니지, 알제리, 모로코의 해안인 북아프리카의 바르바리 해안을 중심으로 약 300 년간 전 노예무역을 하던 이슬람 해적으로 유럽의 지중해를 넘어 먼 대양까지 진출했다.
바르바리 해적은 16세기 초부터 19세기 초까지 리비아, 튀니지, 알제리, 모로코의 해안인 북아프리카의 바르바리 해안을 중심으로 약 300 년간 전 노예무역을 하던 해적으로 유럽의 지중해를 넘어 먼 대양까지 진출했다.


해적들은 유럽인, 흑인, 북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의 비이슬람인들을 노예로 삼았다.<ref>’돈 키호테’의 저자 [[세르반테스]]나 '[[로빈슨 크루소]]'의 저자 [[다니엘 디포]]같은 사람도 바르바리 해적에게 납치되었다 풀려났다고 한다.</ref>
해적들은 유럽인, 흑인, 북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의 비이슬람인들을 노예로 삼았다.<ref>’돈 키호테’의 저자 [[세르반테스]]나 '[[로빈슨 크루소]]'의 저자 [[다니엘 디포]]같은 사람도 바르바리 해적에게 납치되었다 풀려났다고 한다.</ref>

2018년 10월 28일 (일) 11:35 판

개요

바르바리 해적은 16세기 초부터 19세기 초까지 리비아, 튀니지, 알제리, 모로코의 해안인 북아프리카의 바르바리 해안을 중심으로 약 300 년간 전 노예무역을 하던 해적으로 유럽의 지중해를 넘어 먼 대양까지 진출했다.

해적들은 유럽인, 흑인, 북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의 비이슬람인들을 노예로 삼았다.[1]

19세기 바르바리 전쟁과 함께 프랑스가 알제리를 식민지로 만들면서 바르바리 해적은 완전히 소멸되었다.

기타

  • 엠파이어 토탈워에서 AI세력으로 등장한다. 모든 세력과 적대관계이며 비범하게도 바르바리 제국을 자처하고 있다. 세력은 별로 강하지 않은데 무역에 대한 방해가 꽤 귀찮은 세력

각주

  1. ’돈 키호테’의 저자 세르반테스나 '로빈슨 크루소'의 저자 다니엘 디포같은 사람도 바르바리 해적에게 납치되었다 풀려났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