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백전: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돼었다 → 되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토막글}}
고종(3년)[[흥선대원군]]이 [[임진왜란]] 당시 불탄 [[경복궁]]의 재건을 위해 부족한 재정을 보충하고자 [[상평통보]] 100푼의 가치를 지닌 돈으로 주조한 화페이다.
 
===부작용===
'''당백전'''(當百錢)은 [[조선]] 말기, 1866년([[고종 (조선)|고종]] 3년) 11월에 유통된 [[화폐]]다. [[흥선대원군]]이 [[임진왜란]] 당시 불탄 [[경복궁]]의 재건을 위해 부족한 재정을 보충하고자 [[상평통보]] 100푼의 가치를 지닌 돈으로 주조했다.
액면가는 상평통보 100푼의 가치를 지닌 화폐로 발행돼었지만 문제는 경복궁 중건에 드는 비용이 워낙 많은지라 물가같은 것은 생각하지 않고 일단 마구마구 찍어내는 바람에 실생활에서의 가치는 상평통보의 5~6배에 불과하여 화폐의 신뢰도가 하락하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물가가 대책없이 오르는 등의 부작용으로 이듬해에 사용이 금지되었다.
 
==부작용==
액면가는 상평통보 100푼의 가치를 지닌 화폐로 발행되었지만 문제는 경복궁 중건에 드는 비용이 워낙 많은지라 [[물가]] 같은 것은 생각하지 않고 일단 마구마구 찍어내는 바람에 실생활에서의 가치는 상평통보의 5~6배에 불과하여 화폐의 신뢰도가 하락하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물가가 대책 없이 오르는 등의 부작용으로 불과 약 6개월이 지난 이듬해에 사용이 금지되었다.


{{주석}}
{{주석}}
[[분류:화폐]][[분류:한국사]]
[[분류:화폐]]
[[분류:조선]]

2018년 8월 5일 (일) 00:17 판

틀:토막글

당백전(當百錢)은 조선 말기, 1866년(고종 3년) 11월에 유통된 화폐다. 흥선대원군임진왜란 당시 불탄 경복궁의 재건을 위해 부족한 재정을 보충하고자 상평통보 100푼의 가치를 지닌 돈으로 주조했다.

부작용

액면가는 상평통보 100푼의 가치를 지닌 화폐로 발행되었지만 문제는 경복궁 중건에 드는 비용이 워낙 많은지라 물가 같은 것은 생각하지 않고 일단 마구마구 찍어내는 바람에 실생활에서의 가치는 상평통보의 5~6배에 불과하여 화폐의 신뢰도가 하락하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물가가 대책 없이 오르는 등의 부작용으로 불과 약 6개월이 지난 이듬해에 사용이 금지되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