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하네스 케플러: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Johannes Kepler 17세기의 천문학자. *케플러의 3가지 법칙*으로 유명하다. 제 1법칙: 행성의 궤도는 타원이며 두 개의 초점중 하나에 태양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Johannes Kepler  
Johannes Kepler


17세기의 천문학자. *케플러의 3가지 법칙*으로 유명하다.
17세기의 천문학자. '케플러의 3가지 법칙'으로 유명하다.
 
* 제1법칙: 행성의 궤도는 타원이며 두 개의 초점 중 하나에 태양이 있다.
제 1법칙: 행성의 궤도는 타원이며 두 개의 초점중 하나에 태양이 있다.
* 제2법칙: 태양과 행성을 잇는 직선이 단위시간에 그리는 면적은 일정하다.
 
* 제3법칙: 행성 운동의 '주기'제곱은 행성과 태양 간의 평균 거리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제 2법칙: 태양과 행성을 잇는 직선이 단위시간에 그리는 면적은 일정하다.
** P² = aR³
 
** 이때 시간의 단위를 년으로 하고 거리를 1AU(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 거리)로 하면 a = 1이 된다.
제 3법칙: 행성운동의 <주기>2승은 행성과 태양간의 평균거리의 3승에 비례한다
    P^2 = a R^3
 
이때 시간의 단위를 년으로 하고 거리를 1AU(지구와 태양사이의 평균거리)로 하면 a = 1이 된다.

2015년 5월 4일 (월) 09:15 판

Johannes Kepler

17세기의 천문학자. '케플러의 3가지 법칙'으로 유명하다.

  • 제1법칙: 행성의 궤도는 타원이며 두 개의 초점 중 하나에 태양이 있다.
  • 제2법칙: 태양과 행성을 잇는 직선이 단위시간에 그리는 면적은 일정하다.
  • 제3법칙: 행성 운동의 '주기'의 제곱은 행성과 태양 간의 평균 거리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 P² = aR³
    • 이때 시간의 단위를 년으로 하고 거리를 1AU(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 거리)로 하면 a = 1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