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카드: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손톱만한 집적 회로를 탑재한 카드. 이 집적 회로는 단순한 메모리일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임베디드 OS가 탑재된 임베디드 컴퓨터...)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도구을(를) 삭제함, 분류:카드을(를) 추가함)
7번째 줄: 7번째 줄: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스마트 카드는 [[카드키]], [[SIM]], [[교통카드]], [[금융IC카드]] 같은 것들이 있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스마트 카드는 [[카드키]], [[SIM]], [[교통카드]], [[금융IC카드]] 같은 것들이 있다.  


[[분류:도구]]
[[분류:카드]]

2017년 7월 31일 (월) 14:09 판

손톱만한 집적 회로를 탑재한 카드. 이 집적 회로는 단순한 메모리일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임베디드 OS가 탑재된 임베디드 컴퓨터라서 자체적으로 연산도 가능하고 암호화도 할 수 있다.

통신 방식에 따라 직접 단말기에 꽂아 쓰는 접촉식과 RFID를 이용하는 비접촉식으로 나누기도 한다. 종종 접촉식과 비접촉식 겸용인 경우가 있는데, 칩 하나로 접촉식과 비접촉식을 모두 처리하면 콤비형이라고 부르고 접촉식 칩과 비접촉식 칩이 따로 있으면 하이브리드형이라고 부른다. 한국에서 발행하는 PayOn, 선불교통 겸용 카드는 하이브리드형이고 VISA payWave, MasterCard PayPass 카드는 콤비형이다.

컴퓨터에서 스마트 카드를 보안 저장소로 이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컴퓨터 운영체제는 스마트 카드 지원을 운영체제에 포함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IC 카드 단말기와 IC칩이 달린 공카드도 구할 수 있다. eBay에서 중국산 리더기는 1만원 미만으로도 구할 수 있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스마트 카드는 카드키, SIM, 교통카드, 금융IC카드 같은 것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