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대학교: 두 판 사이의 차이

(교육대학 쪽으로 병합)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초등교원을 양성하는 대학교 ==
#넘겨주기 [[교육대학]]
줄여서 [[교대]]라고 부른다. 한국의 교대는 고등교육법 제 41조에 의거 초등교육만 전담하고 있다. 이게 종합대학의 학과로 운영되면 [[초등교육과]]란 이름이 되나 국내의 종합대학 중 초등교육과를 운영하는 곳은 [[이화여대]] 및 [[제주대]], 그리고 종합대학이 아닌 특수 목적 대학교인 [[한국교원대]] 밖에 없다. 그중 교원대는 설립 목적이 명백하고 제주대는 원래 독립된 교대였던 제주교대와 합병한 것이니 처음부터 초등교육과를 운영했던 종합대학은 이대밖에 없는 셈이다.
 
초등학교는 담임교사 1명이 (원칙상)<ref>학교에 따라서는 예체능이나 영어 등 가르치는 데 전문성이 필요한 과목은 전담교사를 두는 경우도 있으나 '''그런 학교도 전담교사와 담임교사를 순환보직을 시킨다.''' 애초에 초등학교의 과목 전담교사 제도는 강제성이 없는 곳이다.</ref> 모든 과목을 가르치는 체제인만큼 배우는 내용은 중등교육의 [[사범대학교]]보다는 전문성이 떨어진다. 이과 과목을 예로 들면 교대에서는 미적분학과 일반시리즈만 배우면 끝난다고 하나, 사범대학교는 교수과목에 대해서는 '''그 과목의 일반학과와 똑같이 배운다!''' 사대가 같은 학교의 일반학과보다 몇 계단은 높은 취급 받는 이유 중 하나로, 사대는 사실상 학과 그 자체가 교수과목과 교육학의 [[복수전공]]인 것이다.<ref>그래서 사범대는 학위도 교육학과가 아니라면 교육학사가 아니라 교수과목의 학사 학위로 나오고, (예를 들어) 국어국문학과와 국어교육과, 수학과와 수학교육과... 등등의 졸업장은 대학원 진학할 때는 '''그냥 호환된다'''고 한다.</ref> 하지만 깊이는 얕아도 '''예체능을 포함하여''' 모든 과목을 고등학생 이상 수준으로 배워야 하니, 무지하게 빡세다고 한다. 대신 대부분의 예체능 과목이 1, 2학년 위주로 편성되다보니 파릇파릇한 [[새내기]]들이 [[츄리닝]]을 입고 [[캠퍼스]]를 돌아다니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s>[[임용고시|임고]]생만 츄리닝 입는 거 아님!!</s> <s>대신 임고생은 [[도서관]]에 가지.. 써글</s>
 
==전국의 교육대학교 목록==
초등교육과가 있는 대학도 포함한다.
 
경인교육대학교
 
공주교육대학교
 
광주교육대학교
 
대구교육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전주교육대학교
 
진주교육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
 
춘천교육대학교
 
이화여대 초등교육과(유일한 사립)
 
제주대 초등교육과(제주교대와 합병)
 
한국교원대 초등교육과
 
 
{{주석}}
 
 
[[분류:대학교]]

2016년 11월 15일 (화) 15:24 기준 최신판

넘겨줄 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