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두 판 사이의 차이

9번째 줄: 9번째 줄:
==임진왜란의 발단==
==임진왜란의 발단==
1592년 음 4월 13일, 제 1군에서 제 9군까지, 그리고 수군으로 갈라진 20만 일본군이 상륙하였다. (이하 제1군(선봉장: [[고니시 유키나가]]기준))
1592년 음 4월 13일, 제 1군에서 제 9군까지, 그리고 수군으로 갈라진 20만 일본군이 상륙하였다. (이하 제1군(선봉장: [[고니시 유키나가]]기준))
{{각주}} 부산진에 상륙한 일본군은 부산진을 공격하였고, 절영도(현 [[영도]])에서 사냥하던 부산첨사 정발은 조공하러 오는 줄 알고<del>20만 인구의 조공이면 나라 바치러 오는 수준</del><del>하지만 여기서 일본군이 출동한다면 어떨까?</del>무시하였다가 뒤늦게 싸웠지만 패하였다. 4월 15일, 동래성에서 [[송상현]]이 戰死易街道難(: 싸우다 죽기는 쉬워도 길 내어주기는 어렵다.)을 내걸고 싸웠지만, 그 역시 패전하였다. 계속해서 북상한 일본군은 [[상주]], [[충주]]에서 승전하였다. 그 곳에는 오랑캐를 토벌하여 조선의 명장으로 불리던 [[이일]]과 [[신립]]이 있었다. 그러나 이일은 일본군이 쳐들어왔음을 믿지 않았다가 군사를 잃고 충주로 가서 신립과 싸웠으나, 신립은 탄금대에서 패하여 자살하고, 이일은 도망쳐서 조정에 보고하였다. 이에 당황한 조정은
{{각주}} 부산진에 상륙한 일본군은 부산진을 공격하였고, 절영도(현 [[영도]])에서 사냥하던 부산첨사 정발은 조공하러 오는 줄 알고<del>20만 인구의 조공이면 나라 바치러 오는 수준</del><del>하지만 여기서 일본군이 출동한다면 어떨까?</del>무시하였다가 뒤늦게 싸웠지만 패하였다. 4월 15일, 동래성에서 [[송상현]]이 戰死易街道難(: 싸우다 죽기는 쉬워도 길 내어주기는 어렵다.)을 내걸고 싸웠지만, 그 역시 패전하였다. 계속해서 북상한 일본군은 [[상주]], [[충주]]에서 승전하였다. 그 곳에는 오랑캐를 토벌하여 조선의 명장으로 불리던 [[이일]]과 [[신립]]이 있었다. 그러나 이일은 일본군이 쳐들어왔음을 믿지 않았다가 군사를 잃고 충주로 가서 신립과 싸웠으나, 신립은 탄금대에서 패하여 자살하고, 이일은 도망쳐서 조정에 보고하였다. 이에 당황한 조정은 北向蒙塵(: 북쪽으로 피난을 가다.)을 결정하고 5월까지 개성, 황주, 평양까지 피난을 가게 되었다.<del>선조가 듣는 모든 욕의 알파이자 오메가</del>그 때문에 분개한 백성들은 각종 시설을 불태워서 경복궁을 비롯한 수많은 시설들이 화재로 소실되었다. 한편, 한양을 점령한 일본군은 [[선조]]의 피난에 적잖이 당황하였고,

2016년 9월 7일 (수) 20:52 판

今臣戰船 尙有十二(신에게는 아직 열두 척의 배가 남아 있사옵니다.)
— 이순신, 명량대첩(1597)

개요

임진왜란은 1592년 음 4월, 일본 관백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병력 20만을 거느리고 조선을 상륙하여 벌어진 7년 간[1]의 전쟁을 말한다. 조선 전기와 후기를 구분짓는[2] 전쟁이다.

원인

원인은 여러 가지 이유를 들 수 있는데, 원인이 많은 건지 단정지을 수 없는 건지 모르겠는 전쟁15세기 삼포왜란이나 을묘왜변 등으로 악화된 한일 외교 관계가 틀어진 것도 있고, 일본 다이묘들의 단합과 충성도 있다.야욕이라던가 정복욕이라던가

임진왜란의 발단

1592년 음 4월 13일, 제 1군에서 제 9군까지, 그리고 수군으로 갈라진 20만 일본군이 상륙하였다. (이하 제1군(선봉장: 고니시 유키나가기준))

각주

  1. 사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구분 짓지 않을 때 7년이고, 엄격하게 따진다면 5년이다.
  2. 사실 이 점도 의견이 분분한데, 어떤 쪽에서는 임진왜란(1592)을, 어떤 쪽에서는 병자호란(1636)을 가지고 조선의 전후기를 구분짓는다.

부산진에 상륙한 일본군은 부산진을 공격하였고, 절영도(현 영도)에서 사냥하던 부산첨사 정발은 조공하러 오는 줄 알고20만 인구의 조공이면 나라 바치러 오는 수준하지만 여기서 일본군이 출동한다면 어떨까?무시하였다가 뒤늦게 싸웠지만 패하였다. 4월 15일, 동래성에서 송상현이 戰死易街道難(: 싸우다 죽기는 쉬워도 길 내어주기는 어렵다.)을 내걸고 싸웠지만, 그 역시 패전하였다. 계속해서 북상한 일본군은 상주, 충주에서 승전하였다. 그 곳에는 오랑캐를 토벌하여 조선의 명장으로 불리던 이일신립이 있었다. 그러나 이일은 일본군이 쳐들어왔음을 믿지 않았다가 군사를 잃고 충주로 가서 신립과 싸웠으나, 신립은 탄금대에서 패하여 자살하고, 이일은 도망쳐서 조정에 보고하였다. 이에 당황한 조정은 北向蒙塵(: 북쪽으로 피난을 가다.)을 결정하고 5월까지 개성, 황주, 평양까지 피난을 가게 되었다.선조가 듣는 모든 욕의 알파이자 오메가그 때문에 분개한 백성들은 각종 시설을 불태워서 경복궁을 비롯한 수많은 시설들이 화재로 소실되었다. 한편, 한양을 점령한 일본군은 선조의 피난에 적잖이 당황하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