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파이낸싱: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내용 추가(이전 편집), 가독성 향상(현재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Project Financing. 프로젝트 파이낸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Project Financing. 프로젝트 파이낸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이 투자 대상이 되는 사업의 미래 현금흐름을 보고 자금을 지원하는 것. 주로 대규모의 자금이 필요한 전력, 항만 및 유료도로, 석유화학플랜트 등을 대상으로 한다.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이 투자 대상이 되는 사업의 미래 현금흐름을 보고 자금을 지원하는 것. 주로 대규모의 자금이 필요한 전력, 항만 및 유료도로, 석유화학플랜트 등을 대상으로 한다.


공공 인프라 사업이 민영화되는 추세에 따라 과거에 비해 프로젝트 파이낸싱도 활성화됐다. 민영화 사업은 보통 대규모의 장기 프로젝트인데, 사업주의 직접적인 지급 보증 없이 대규모의 신규투자를 촉진할 수 있는 프로젝트 파이낸싱은 민영화 사업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많이 활용되고 있다.  
공공 인프라 사업이 민영화되는 추세에 따라 과거에 비해 프로젝트 파이낸싱도 활성화됐다. 민영화 사업은 보통 대규모의 장기 프로젝트인데, 사업주의 직접적인 지급 보증 없이 대규모의 신규투자를 촉진할 수 있는 프로젝트 파이낸싱은 민영화 사업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많이 활용되고 있다.  
6번째 줄: 6번째 줄:
상기한대로 사업주의 직접적인 지급보증 없이 자금조달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기존의 금융기법에 비해 이해 당사자 간 프로젝트 위험을 합리적으로 배분한다는 장점도 있다. 쉽게 이야기하여 사업주 입장에서는 사업 위험이 분산되나 금융 기관 입장에서는 프로젝트 투자에 따른 위험이 증대된다. 다만 사업 추진 비용과 기간이 상당히 늘어나는 측면도 존재한다.
상기한대로 사업주의 직접적인 지급보증 없이 자금조달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기존의 금융기법에 비해 이해 당사자 간 프로젝트 위험을 합리적으로 배분한다는 장점도 있다. 쉽게 이야기하여 사업주 입장에서는 사업 위험이 분산되나 금융 기관 입장에서는 프로젝트 투자에 따른 위험이 증대된다. 다만 사업 추진 비용과 기간이 상당히 늘어나는 측면도 존재한다.


[[채권]]처럼 원리금을 상환할 의무가 없으며 아닌 프로젝트 자체의 미래 현금흐름을 투자 대가로 받는다.<ref>글로벌 무역금융, 이제민&middot;배인성, 2009, 도서출판 두남</ref> 담보권은 프로젝트에서 창출되는 현금 흐름과 프로젝트 자산에만 한정되며, 기업의 기존 사업과 자산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ref>해외자원개발 프로젝트 파이낸스 활성화 조건과 정책과제, 최봉석 외, 2012, 에너지정책연구원, [http://www.keei.re.kr/keei/download/KIP1216.pdf 원문]</ref>따라서 사업주의 신용도보단 프로젝트 자체의 미래 현금흐름이 투자 시 분석 대상이 된다.  
[[채권]]처럼 원리금을 상환할 의무가 없으며 아닌 프로젝트 자체의 미래 현금흐름을 투자 대가로 받는다.<ref>글로벌 무역금융, 이제민&middot;배인성, 2009, 도서출판 두남</ref> 담보권은 프로젝트에서 창출되는 현금 흐름과 프로젝트 자산에만 한정되며, 기업의 기존 사업과 자산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ref>해외자원개발 프로젝트 파이낸스 활성화 조건과 정책과제, 최봉석 외, 2012, 에너지정책연구원, [http://www.keei.re.kr/keei/download/KIP1216.pdf 원문]</ref> 따라서 사업주의 신용도보단 프로젝트 자체의 미래 현금흐름이 투자 시 분석 대상이 된다.  





2016년 8월 11일 (목) 16:07 판

Project Financing. 프로젝트 파이낸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이 투자 대상이 되는 사업의 미래 현금흐름을 보고 자금을 지원하는 것. 주로 대규모의 자금이 필요한 전력, 항만 및 유료도로, 석유화학플랜트 등을 대상으로 한다.

공공 인프라 사업이 민영화되는 추세에 따라 과거에 비해 프로젝트 파이낸싱도 활성화됐다. 민영화 사업은 보통 대규모의 장기 프로젝트인데, 사업주의 직접적인 지급 보증 없이 대규모의 신규투자를 촉진할 수 있는 프로젝트 파이낸싱은 민영화 사업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상기한대로 사업주의 직접적인 지급보증 없이 자금조달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기존의 금융기법에 비해 이해 당사자 간 프로젝트 위험을 합리적으로 배분한다는 장점도 있다. 쉽게 이야기하여 사업주 입장에서는 사업 위험이 분산되나 금융 기관 입장에서는 프로젝트 투자에 따른 위험이 증대된다. 다만 사업 추진 비용과 기간이 상당히 늘어나는 측면도 존재한다.

채권처럼 원리금을 상환할 의무가 없으며 아닌 프로젝트 자체의 미래 현금흐름을 투자 대가로 받는다.[1] 담보권은 프로젝트에서 창출되는 현금 흐름과 프로젝트 자산에만 한정되며, 기업의 기존 사업과 자산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2] 따라서 사업주의 신용도보단 프로젝트 자체의 미래 현금흐름이 투자 시 분석 대상이 된다.


사례

각주

  1. 글로벌 무역금융, 이제민·배인성, 2009, 도서출판 두남
  2. 해외자원개발 프로젝트 파이낸스 활성화 조건과 정책과제, 최봉석 외, 2012, 에너지정책연구원, 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