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해있" 문자열을 "해 있" 문자열로)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 특징 ==
== 특징 ==
이름이 고려대역이고 고려대학교에 붙어 있긴 하지만 인문계 지역의 끝부분에 위치해 있으므로 접근성이 [[안암역]]에 비해 심하게 떨어지지만 규모는 안암역보다 더 크다.
고려대학교 정문과도 가깝고, 라이시움 한켠에 딱 붙어 있어서 고려대역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나 이 라이시움 자체가 학교 끝자락에 위치해 있기에 접근성이 [[안암역]]에 비해 심하게 떨어진다. 하지만 규모는 안암역보다 더 크다.


고려대 재학생과 [[고려대학교]] 앞에서 만나기로 하고 여기로 나오면 심히 난감해질 가능성이 높다. 일부 학교 건물을 제외하면 거의 모든 것이 [[안암역]]에 더 가깝기 때문이다.<ref>대표적으로 경영대 쪽(1번 출구가 엘포관과 붙어 있다), 사범대, 중도 등이 가깝다.</ref> 실제 재학생들도 만날 약속은 [[안암역]]에서 잡는 편이고, 이 역에서 잡는 일은 상대적으로 드물다.
고려대 '''이공계''' 재학생과 [[고려대학교]] 앞에서 만나기로 하고 여기로 나와버리면 심히 난감해한다. <ref>인문계인 경우는 중앙도서관(중도)이나 백기관에서 걸어갈 만한 거리에 있기에 <s>많이 귀찮을 뿐이지</s> 대개는 알아먹긴 한다. 문제는 정문앞은 그닥 할 것이 없기 때문에 가급적 상점이 몰려있는 안암역 근처로 오라고 할 뿐이다.</ref> 이과캠(애기능캠)은 [[안암역]]에서 [[보문역]] 방면으로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게 얼마나 난감하냐면 이학관이나 공학관에서 고려대역 앞까지 가려면 거의 15~20분 가까이를 쉬지않고 걸어야 한다.
 
통학시에도 굳이 고려대역을 이용하는 학생들은 높은 확률로 법학과, 사범학과, 조형학과, 경영학과일 가능성이 크다. 그 외에는 중앙광장<ref>라이시움 바로 옆에 붙은 엘포관과 이어져 있기 때문. 잘만 이동하면 여기까지는 거의 비를 맞지 않고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ref>이나 중앙도서관을 먼저 찾는 학생들, 아니면 기타 학과에서 <s>널럴한</s> 이쪽 건물을 빌려서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ref>단과 구성의 경영대가 무려 3개 건물을 가지고 있다. 경영본관, 엘포관, 신경영관(현대자동차경영관). 그것도 본관 빼고는 모두 크고 아름다운 규모이다.</ref>


{{주석}}
{{주석}}
[[분류:서울 지하철 6호선]]
[[분류:서울 지하철 6호선]]

2015년 11월 23일 (월) 23:50 판

특징

고려대학교 정문과도 가깝고, 라이시움 한켠에 딱 붙어 있어서 고려대역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나 이 라이시움 자체가 학교 끝자락에 위치해 있기에 접근성이 안암역에 비해 심하게 떨어진다. 하지만 규모는 안암역보다 더 크다.

고려대 이공계 재학생과 고려대학교 앞에서 만나기로 하고 여기로 나와버리면 심히 난감해한다. [1] 이과캠(애기능캠)은 안암역에서 보문역 방면으로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게 얼마나 난감하냐면 이학관이나 공학관에서 고려대역 앞까지 가려면 거의 15~20분 가까이를 쉬지않고 걸어야 한다.

통학시에도 굳이 고려대역을 이용하는 학생들은 높은 확률로 법학과, 사범학과, 조형학과, 경영학과일 가능성이 크다. 그 외에는 중앙광장[2]이나 중앙도서관을 먼저 찾는 학생들, 아니면 기타 학과에서 널럴한 이쪽 건물을 빌려서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3]

각주

  1. 인문계인 경우는 중앙도서관(중도)이나 백기관에서 걸어갈 만한 거리에 있기에 많이 귀찮을 뿐이지 대개는 알아먹긴 한다. 문제는 정문앞은 그닥 할 것이 없기 때문에 가급적 상점이 몰려있는 안암역 근처로 오라고 할 뿐이다.
  2. 라이시움 바로 옆에 붙은 엘포관과 이어져 있기 때문. 잘만 이동하면 여기까지는 거의 비를 맞지 않고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3. 단과 구성의 경영대가 무려 3개 건물을 가지고 있다. 경영본관, 엘포관, 신경영관(현대자동차경영관). 그것도 본관 빼고는 모두 크고 아름다운 규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