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드카: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토막글}} {| class="wikitable" | 러시아어 | Водка |- | 영어 | Vodka |} 러시아식 증류주다. 도수가 높아서 독한술로 널리 알려져있다. 공식 도...)
 
편집 요약 없음
10번째 줄: 10번째 줄:
러시아식 증류주다. 도수가 높아서 독한술로 널리 알려져있다.  
러시아식 증류주다. 도수가 높아서 독한술로 널리 알려져있다.  


공식 도수는 40도이며, 이 규정은 [[드미트리 멘델레예프]]가 만들었다... 라는 설이 있지만. 공식도수는 1843년에 지정되었고, 멘델레예프가 9살때의 일이다. <ref>http://english.pravda.ru/science/mysteries/21-11-2011/119683-dmitry_mendeleev_vodka-0/</ref>
공식 도수는 40도이며, 이 규정은 [[드미트리 멘델레예프]]가 만들었다... 라는 설이 있지만,
 
공식 도수는 [[1843년]]에 지정되었고, '''멘델레예프가 9살때의 일이다.''' <ref>http://english.pravda.ru/science/mysteries/21-11-2011/119683-dmitry_mendeleev_vodka-0/</ref>


== 제조 ==
== 제조 ==
18번째 줄: 20번째 줄:
일반적인 보드카는 맛과 향이 깔끔한 편에 속한다. 제조과정중에서 활성탄으로 여과를해서 맛과 향을 빼버리기 때문이다. 이 깔끔함이 보드카의 특징이기도 하다.  
일반적인 보드카는 맛과 향이 깔끔한 편에 속한다. 제조과정중에서 활성탄으로 여과를해서 맛과 향을 빼버리기 때문이다. 이 깔끔함이 보드카의 특징이기도 하다.  


== 얼려서 마시기 ==
냉동실에 넣어도 얼지 않는다. 가정용 냉장고는 아무리 온도를 낮게 설정해도 -25℃가 안나오는데, 도수 40도 짜리(80 proof)의 보드카는 -27℃ 밑으로 떨어져야 언다. <ref>[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Phase_diagram_ethanol_water_s_l_en.svg 이미지], 출처 : Daten aus Ernest W. Flick: Industrial Solvents Handbook, Fifth Edition, ISBN 978-0815514138 </ref>
{{ㅊ|이렇게 마시면 차갑게 불타는 느낌이 난다고 카더라}}


도수 20도 짜리 소주를 가지고 비슷하게 한다고 냉동실에 놔두면 얼어버리니 조심해야한다..


{{각주}}
{{각주}}
[[분류:술]]
[[분류:술]]
[[분류:식품]]
[[분류:식품]]

2015년 9월 4일 (금) 16:10 판

틀:토막글

러시아어 Водка
영어 Vodka

러시아식 증류주다. 도수가 높아서 독한술로 널리 알려져있다.

공식 도수는 40도이며, 이 규정은 드미트리 멘델레예프가 만들었다... 라는 설이 있지만,

공식 도수는 1843년에 지정되었고, 멘델레예프가 9살때의 일이다. [1]

제조

옥수수, 감자, 밀, 호밀 등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곡물로 제조한다. 곡물을 발효해서 고농도로 만들어진 에탄올을 40% 정도로 희석해서 만든다.

맛과 향

일반적인 보드카는 맛과 향이 깔끔한 편에 속한다. 제조과정중에서 활성탄으로 여과를해서 맛과 향을 빼버리기 때문이다. 이 깔끔함이 보드카의 특징이기도 하다.

얼려서 마시기

냉동실에 넣어도 얼지 않는다. 가정용 냉장고는 아무리 온도를 낮게 설정해도 -25℃가 안나오는데, 도수 40도 짜리(80 proof)의 보드카는 -27℃ 밑으로 떨어져야 언다. [2] 이렇게 마시면 차갑게 불타는 느낌이 난다고 카더라

도수 20도 짜리 소주를 가지고 비슷하게 한다고 냉동실에 놔두면 얼어버리니 조심해야한다..

각주

  1. http://english.pravda.ru/science/mysteries/21-11-2011/119683-dmitry_mendeleev_vodka-0/
  2. 이미지, 출처 : Daten aus Ernest W. Flick: Industrial Solvents Handbook, Fifth Edition, ISBN 978-0815514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