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자기: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예술을(를) 추가함)
잔글 (코코아봇(토론)의 편집을 하늘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일괄 되돌리기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토막글}}
점토, 찰흙을 이용해서 만든 뒤 높은 온도에서 구워낸 도기, 자기를 아우르는 제품을 의미한다.


도기, 자기를 아우르는 점토, 찰흙을 이용해서 만든 물건을 도자기라고 부른다.
아름다운 푸른 색을 띠는 청자(靑瓷), 단아하고 깔끔한 멋이 있는 백자(白瓷), 뚝배기와 장독을 생각하면 정답인 옹기 등등 종류가 많다.


화려한 무늬의 청자, 단아하고 깔끔안 멋이 있으며 사람들은 모르지만 청자보다 만들기 어려운 백자, 뚝배기과 장독을 생각하면 정답인 옹기 등등 종류가 많다.
중국을 나타내는 영단어가 china인데 다름아닌 도자기가 어원이라고 한다.


철기가 본격 도입되기 전에 인류의 주요 식기였다.
==제작원리==


[[분류:예술]]
== 종류 ==
=== 굽는 온도와 산화에 따른 구분 ===
*토기
*도기 : 1,000℃내외 혹은 그보다 낮은 온도에서 구워낸 질그릇을 의미한다.
*석기(炻器) : 1,100℃ 이상이 온도에서 구워낸 질그릇을 의미한다.
*자기 : 1,300℃이상의 상당히 높은 온도에서 구워낸 질그릇을 의미한다. 도자기 발달 단계에서의 최종보스격. 일단 이 온도쯤 올라오면 아무 흙으로나 다 되는 것은 아니고 양질의 백토([[고령토]])와 유약 처리 기술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 색상에 따른 구분 ===
* 청자
* 백자
 
{{주석}}
[[분류:용기]]
[[분류:조소]]
[[분류:공예]]

2024년 4월 11일 (목) 18:36 기준 최신판

점토, 찰흙을 이용해서 만든 뒤 높은 온도에서 구워낸 도기, 자기를 아우르는 제품을 의미한다.

아름다운 푸른 색을 띠는 청자(靑瓷), 단아하고 깔끔한 멋이 있는 백자(白瓷), 뚝배기와 장독을 생각하면 정답인 옹기 등등 종류가 많다.

중국을 나타내는 영단어가 china인데 다름아닌 도자기가 어원이라고 한다.

제작원리[편집 | 원본 편집]

종류[편집 | 원본 편집]

굽는 온도와 산화에 따른 구분[편집 | 원본 편집]

  • 토기
  • 도기 : 1,000℃내외 혹은 그보다 낮은 온도에서 구워낸 질그릇을 의미한다.
  • 석기(炻器) : 1,100℃ 이상이 온도에서 구워낸 질그릇을 의미한다.
  • 자기 : 1,300℃이상의 상당히 높은 온도에서 구워낸 질그릇을 의미한다. 도자기 발달 단계에서의 최종보스격. 일단 이 온도쯤 올라오면 아무 흙으로나 다 되는 것은 아니고 양질의 백토(고령토)와 유약 처리 기술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색상에 따른 구분[편집 | 원본 편집]

  • 청자
  • 백자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