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독:움벨트: 두 판 사이의 차이

(일상과학 WiKi - wikidok>dream16 | 움벨트(http://ko.experiments.wikidok.net/움벨트))
 
(차이 없음)

2024년 3월 16일 (토) 14:33 기준 최신판

파일:/api/File/Real/5a6ad1ccf3c469601638d606

움벨트

Umwelt

같은 공간, 다른 세계

개요[원본 편집]

파일:/api/File/Real/5a6ad658f3c469601638d638

사람과 돌고래. 함께 하는 것 같지만 이 순간 둘은 서로 다른 세계에 있다.

움벨트(Umwelt)란 독일어 'Um(둘러싸인/주변around)'과 'welt(세계/환경world/sphere)'의 합성어로써 말 그대로 주변 환경이라는 뜻이다. 벨트가 객관적인 세계를 뜻한다고 본다면 움벨트는 주로 '자기 중심적 세계'라고 번역한다.

이 용어는 야콥 폰 웩스쿨(Jakob von Uexküll)과 토마스 A. 세벡(Thomas A. Sebeok)의 기호학 이론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특히 웩스쿨의 1934년1 작 『동물과 인간 세계로의 산책Mondes animaux et monde humain』으로 인해 널리 알려졌다. 웩스쿨은 이 책에서 곤충이나 동물들이 세계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해 그리고 있다. 그리고 모든 동물들이 경험하는 세계가 아닌 개개의 동물들 각각 자신들이 느끼는 감각세계를 움벨트라는 용어를 써서 정의했다.

이곳에서 프랑스어로 되어 있는 실제 책을 볼 수 있다.

움벨트[원본 편집]

파일:/api/File/Real/5a6ade5af3c469601638d6a7

Jakob Johann von Uexküll, 1903 (1864.9.8 ~ 1944.7.25)

움벨트라는 용어를 만든 사람이자 동물행동학의 아버지로 알려져 있다.

웩스쿨은 주관적으로 살아있는 존재가 주변 환경을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관심을 가졌다. 개나 고양이처럼 우리와 가까운 포유동물뿐만 아니라 파리, 말미잘, 진드기, 성게, 아메바, 매 등 그가 궁금히 여겼던 존재는 아주 많았다. 또한 공간뿐만 아니라 각각의 존재들이 느끼는 시간감각까지도 관심을 가졌다. 그 중 진드기에 대한 묘사가 유명한데, 다음과 같다.

틀:안내바

이렇듯 웩스쿨은 움벨트라는 개념을 활용하여 지구상에 존재하는 여러 생물들이 세계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그의 책을 통해 서술해놓았다. 다만 이 책은 현재 한국어 번역본은 나와있지 않아 프랑스어 원본이나 영역본을 구해야한다. 그는 본인의 저서에서 다양한 움벨트를 반영하여 아래의 그림을 그렸다.

파일:/api/File/Real/5a6adf4ef3c469601638d6b4

Pl. 6은 집게와 말미잘이 본 세계를 나타낸 것이다. 똑같은 '집게'와 '말미잘'의 상황이지만 집게가 처한 상황에 따라 말미잘을 다르게 본다는 것을 그리고 있다.

맨 위의 상황은 집게에게 집이 있고 말미잘을 발견했을때의 상황으로 이때에 집게는 말미잘을 집 위에 얹는다. 이동을 할 수 없는 말미잘에겐 다리가 되어주고 마비침이 없는 집게는 말미잘이 훌륭한 공격무기가 된다.

가운데 상황은 집게에게 집이 없는 경우이다. 이 경우 집게는 말미잘을 집으로 인식하여 말미잘 안으로 들어가서 껍데기로 사용하려고 한다.

아래 상황은 집게에게 집도 있고 말미잘도 있지만 오랫동안 먹이를 먹지 못한 경우이다. 이때에는 말미잘을 먹거나 공격하기도 한다.

Pl. 7a ~ 7c의 상황은 각각 사람, 개, 파리가 본 집 안 풍경을 나타내고 있다.

Pl. 7a. La Chambre de l'homme

사람의 집은 모든 것이 다 보인다. 어쨌든 사람이 필요해서 다 가져다 놓은 것들이고 우리는 모든 것의 용도를 알고 있다. 이때 사람에게는 모든 것이 의미를 가지는 물체가 된다.

Pl. 7b. La chambre du chien

개의 집은 조금 상황이 다르다. 개에게는 뛰어오를 수 있는 소파, 인간이 주로 앉는 의자, 음식이 올려져 있는 접시만의 개의 움벨트에서 의미를 가지는 것들이며 서랍장과 책꽃이 같은 물체는 벽과도 같다. 또한 개도 밝고 어두움을 인식하므로 전등 또한 개의 움벨트에 존재한다.

Pl. 7c. La chambre de la mouche

파리의 집은 많은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파리에게 중요한 것은 음식과 빛 단 두 종류의 것들이다. 이것들만이 파리의 움벨트에서 의미를 가지는 물체가 되며 나머지는 장애물에 불과하다. 그것이 의자든 소파든 아무 상관이 없다. 파리에게는 그 모든 것이 똑같다. 더군다나 파리는 대략 50cm 앞만을 볼 수 있다고 한다.

요는 같은 것을 바라보더라도 모두 자신의 움벨트에서 사물을 판단하고 있다는 것이다. 웩스쿨은 당연히 인간에게도 움벨트 개념을 적용시켰으나 이것에 관해서는 반대하는 사람이 있다. 철학자이자 사회학자인 Josef Pieper가 대표적인 인물로 사람은 Welt에서 살며 식물과 동물은 Umwelt에 살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허나 어쨌든 많은 사람들이 이 움벨트개념을 이용해 '관념적으로' 사람 역시 자신의 움벨트에 갇혀 있으며 이때문에 여러 갈등이 일어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박쥐가 된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원본 편집]

파일:/api/File/Real/5a6aeb45f3c469601638d72e

박쥐가 된다는 것. 그것은...

What is it like to be a bat?

박쥐가 된다는 것은 어떤것일까?

이것은 꽤 오래된 논증으로 미국의 철학자 토마스 나겔의 저서가 했던 질문이다. 1974년 The Philosophical Review에서 처음 제기되었으며 1979년의 Mortal Questions에도 나온다. 핵심은 인간은 감지할 수 없는 초음파에 의한 반향으로 세상을 인지하는 박쥐가 되는 것이란 대체 어떤 느낌일까 묻는 것으로 의식에 대한 가장 널리 인용되며 영향력있는 사고 실험의 한 가지로 꼽힌다.

움벨트에 대해 탐구하다보면 거의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마주치는 질문이라고 할 수 있다. 박쥐에게 움벨트를 적용해보면 우리가 눈으로 세상을 보듯이 온통 초음파의 반향으로 이루어진 완전히 다른 세계를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영화 『다크나이트』의 후반부에서 우리는 간접적으로나마 박쥐가 되는 체험을 할 수 있었다.

파일:/api/File/Real/5a6aee2ff3c469601638d75f

Sonar Vision 혹은 Daredevil4 Vision이라고 알려진 장면. 극 중 배트맨은 고담시의 모든 핸드폰을 해킹하여 이러한 영상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불법적인 일을 해줘야 다크나이트라고 불리게 된다!

물론 이러한 간접적인 장치로 그럴듯한 영상을 만들어내지만 인간인 우리는 결코 박쥐가 느끼는 그 의식을 체험할 수 없다. 이 간단해보이는 질문이 아직까지 흥미로운 질문을 제시하고 있는 데는 다 이유가 있는 것이다.

나겔의 질문에는 오해사항이 조금 있는데 바로 '인간으로써의 박쥐'가 아니라 '박쥐로써의 박쥐'를 묻고 있는 것이다. 인간의 뇌를 가지고 박쥐가 된다고 상상하면 곤충을 먹는다는 것이 역겹게 느껴질 것이고 날때는 재미를 느낄 것이다. 하지만 나겔은 진짜 박쥐의 뇌로써 박쥐가 되는 것을 질문하고 있다. 박쥐의 뇌를 가진 생물이 어떻게 세상을 느끼고 있는지이다.

파일:/api/File/Real/5a6af284f3c469601638d79e

박쥐의 반향 정위를 박쥐의 뇌로 느끼는 것은 어떤 느낌일까. 우리에게는 (들리진 않지만) 소리라고 느껴지는 음파를 박쥐는 '보는 것'인가 '듣는 것'인가. 혹은 전혀 다른 느낌으로 느끼고 있는지 그야말로 박쥐가 되어보지 않으면 결코 모른다. 나겔은 이를 '인간이 점차적으로 박쥐로 변형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들의 두뇌는 태어날 때부터 박쥐의 뇌가 아니었으므로 이런 것을 느끼기 보다는 단지 박쥐의 삶과 행동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했다.

인간은 인간의 움벨트가 있으므로 박쥐의 움벨트를 결코 느낄 수 없게 된다.


참고 도서[원본 편집]

파일:/api/File/Real/5a6af54ff3c469601638d7c9

떡갈나무 바라보기. 주디스 콜/허버트 콜 공저

저자들이 웩스쿨의 『동물과 인간 세계로의 산책Mondes animaux et monde humain』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써놓았다. 움벨트의 개념을 서술한 책 중에선 가장 유명한 책이다.

파일:/api/File/Real/5a6af64cf3c469601638d7dc

동물이 보는 세계, 인간이 보는 세계. 히다카 도시다카 저

일본 교수인 히다카 도시다카가 지은 책. 역시 웩스쿨의 책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썼다. 일본에서는 Umwelt라는 용어를 따로 번역하여 '환세계'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