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래닛 주/동물/초원 동물 팩: 두 판 사이의 차이

277번째 줄: 277번째 줄:
}}
}}


<big>'''기초 정보'''</big><br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big>'''기초 정보'''</big><br />검은꼬리누(Connochaetes taurinus)는 남아프리카에 서식하는 대형 영양으로, 흰수염누 또는 호랑이무늬꼬리누라고도 불립니다. 검은꼬리누의 털은 연한 회색이나 갈색으로, 목과 어깨, 가슴에는 어두운 줄무늬가 있습니다. 또한 이들은 검고 긴 꼬리와 갈기를 가지고 있으며, 아종에 따라 갈기가 서 있거나 목 주변에 축 처져있기도 합니다. 목 아래에는 흰색 수염이 늘어져 있습니다. 검은꼬리누는 암컷과 수컷이 다르게 생겼습니다. 암수 모두 독특한 L자 모양의 뿔이 있지만, 수컷이 암컷보다 덩치가 큽니다. 수컷의 어깨높이는 1.23~1.64m이며, 길이는 1.7~2.4m, 몸무게는 165~290kg입니다. 반면, 암컷은 어깨높이가 1.14~1.42m, 길이는 1.75~2.15m, 몸무게는 140~260kg입니다.<br /><br />검은꼬리누는 멸종 위기종이 아닌 최소 관심종으로 분류됩니다. 하지만 인간의 영역 확장으로 이주 경로에 영향을 받았고, 삼림 파괴 및 수원 상실로 인해 서식지를 위협받고 있습니다.


<big>'''사회성 요구 상황'''</big><br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big>'''사회성 요구 상황'''</big><br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2023년 2월 12일 (일) 13:09 판

아홉띠아르마딜로

[[{{{동물}}}|아홉띠아르마딜로
Dasypus novemcinctus
]]
파일:PlanetZoo Zoopedia Armadillo.jpg
관심필요
야생 개체 수: 알 수 없음
출신지 최소 서식지 요구 상황
대륙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울타리 강도 1등급, 1m 이상
지역 미국, 멕시코,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과테말라,
니카라과, 코스타리카, 파나마,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에콰로드, 가이아나, 프랑스령 기아나,
페루, 브라질, 볼리비아, 파라과이
육지 면적 182 ㎡
물가 면적 0 ㎡
등반 높이 0 ㎡
생물군계 사막, 열대, 초원, 온대 수심 0 ㎡
온도 -5~43 ℃
포유강 - 피갑목 - 아홉띠아르마딜로과 - 아홉띠아르마딜로속

기초 정보
아홉띠아르마딜로(Dasypus novemcinctus)는 등껍질을 가진 포유류로, 북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의 초원, 열대우림, 건조한 관목 지대에서 서식합니다. 아홉띠아르마딜로는 외형적으로 다양한 차이를 보이는 9가지의 아종이 있는데, 일반적인 개체는 어깨부터 엉덩이까지 커다란 판으로 이루어진 얼룩덜룩한 분홍색 빛의 회색 껍질에 감싸여 있습니다. 상체를 뒤덮고 있는 이 판은 9개의 띠로 뚜렷하게 나뉘며, 마찬가지로 껍질에 둘러쌓여 있는 기다란 꼬리와 이어집니다. 아홉띠아르마딜로는 짧은 다리와 커다란 발이 특징이며, 앞발에 4개, 뒷발에는 5개의 강력한 발톱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가느다란 얼굴에는 뾰족한 주둥이와 커다란 귀가 있습니다. 수컷의 몸무게는 5.5~7.7kg이고 암컷의 몸무게는 3.6~6kg으로, 수컷이 암컷보다 무거울 수 있으나 암수의 외형은 동일합니다.

아홉띠아르마딜로는 멸종 위기종이 아니며 최소 관심종으로 분류됩니다.

사회성 요구 상황
아홉띠아르마딜로는 홀로 생활하는 동물이며, 번식기나 어미가 새끼를 키울 때만 함께 지냅니다.

번식
아홉띠아르마딜로의 수컷과 암컷은 모두 영역 동물이지만, 수컷은 암컷보다 훨씬 넓은 영역을 차지합니다. 매년 7월부터 8월 사이에는 번식기가 찾아오며, 주로 암컷이 수컷의 영역으로 들어가 짝을 이룹니다. 구애 중인 수컷은 경쟁 상대의 수컷이 자신의 영역에 들어와 자신이 점찍은 암컷에게 접근하려 할 때 공격적인 태도를 취하며, 이렇게 맺어진 짝은 먹이를 구하며 다정한 시간을 보냅니다. 짝짓기를 시작하기 전, 수컷과 암컷은 서로의 몸을 비비기 시작하며 꼬리를 흔듭니다. 짝짓기를 받아들인 암컷 아르마딜로는 자신의 꼬리를 들어 올리는데, 짝짓기는 암컷의 배란 중에 이뤄지며, 암컷은 등껍질이 방해되지 않도록 땅에 드러눕고 수컷은 암컷의 위에 올라탑니다. 짝짓기가 끝난 수컷과 암컷은 얼마 지나지 않아 헤어지며, 수컷은 자신의 영역에 들어온 또 다른 암컷을 찾아 나섭니다.

암컷의 임신은 즉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암컷의 난자는 수정되나, 최적의 환경 속에서 새끼를 낳기 위해 착상은 약 3~4개월 뒤에 이뤄집니다. 착상 이후, 암컷은 4개월의 임신 기간을 거칩니다. 아홉띠아르마딜로는 수정란이 자궁 속에서 4갈래로 분리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4마리의 똑같이 생긴 새끼를 낳습니다. 새끼를 낳을 준비가 끝난 암컷은 적당한 굴을 찾아 출산을 하고 새끼를 돌봅니다. 아르마딜로 새끼는 부드러운 등껍질과 완전히 성장된 치아를 가지고 있어, 태어난 순간부터 고체 먹이를 먹을 수

상세 정보
사회성 요구 상황{{{사회성 요구 상황}}}
번식{{{번식}}}
사회성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1~2
(수컷 최대 1마리, 암컷 최대 1마리)
수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1
암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1
지배력없음
짝짓기 체계일부다처
성체 대응 규칙{{{성체 대응 규칙}}}
인간과의 관계수줍음
관람객 상호 작용{{{관람객 상호 작용}}}
평균
크기몸길이 40cm
기대 수명15살
몸무게6.25kg
수명 주기
성적 성숙 나이2살
불임 나이사망 시
짝짓기 1회당 출산 수4
임신/부화 기간7개월
출산 간격12개월
포획된 상태의 번식 난이도쉬움
연구 상태
식단쌀과 애벌레(1등급), 거저리(2등급), 비타민과 미네랄 보충제(3등급)
서식지 풍부화소형 호박 공, 허브 냄새 마커, 러버 덕, 소형 공, 풍부화용 소형 얼음 공, 화려한 소형 공, 스프링클러
먹이 풍부화저속 급식기, 먹이 상자 풍부화, 흰개미 흙더미, 소형 통 급식기, 야생 흰개미 흙더미
토막 지식
#1. 아홉띠아르마딜로의 등껍질에는 보통 9개의 띠가 있지만, 아종 및 출산 지역에 따라 8~11개의 띠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2. 아홉띠아르마딜로는 가장 널리 분포된 아르마딜로 종입니다.
#3. 아홉띠아르마딜로는 다른 아르마딜로 종과 달리 몸을 공 모양으로 말 수 없습니다. 그 대신 도망가거나 얕은 흙더미를 파고 들어가 단단한 등껍질로 몸을 지킴으로서 위기를 모면합니다.
#4. 아홉띠아르마딜로는 다양한 용도로 굴을 사용하며, 영역 내에는 한 번에 여러 개의 굴을 파놓기도 합니다.
#5. 아홉띠아르마딜로는 임신 초기에 자궁 속의 수정란이 네 방향으로 갈라지기 때문에, 4마리의 똑같이 생긴 새끼를 낳습니다.
다른 종 간의 풍부화
아홉띠아르마딜로는 다른 동물 종과 공생하더라도 혜택이 없습니다.

갈기늑대

[[{{{동물}}}|갈기늑대
Chrysocyon brachyurus
]]
파일:PlanetZoo Zoopedia Maned wolf.jpg
준위협
야생 개체 수: 17,000
출신지 최소 서식지 요구 상황
대륙 남아메리카 울타리 강도 2등급, 3m 이상
지역 볼리비아, 브라질, 파라과이,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육지 면적 930 ㎡
물가 면적 0 ㎡
등반 높이 0 ㎡
생물군계 열대, 초원 수심 0 ㎡
온도 10~42 ℃
포유강 - 식육목 - 개과 - 갈기늑대속

기초 정보
갈기늑대(Chrysocyon brachyurus)는 아르헨티나, 브라질, 파라과이, 우루과이의 삼림 지대와 초원, 관목 지대에서 발견되는 갯과 동물로, 목 중앙부터 어깨뼈까지 이어지는 검고 굵은 갈기를 따서 이름이 지어졌습니다. 갈기늑대는 팔다리가 길고 가늘며 전체적으로 깡마른 듯한 모습이 특징입니다. 몸은 붉고 덥수룩한 털로 덮여 있고, 다리에는 짧고 검은 털이 자랍니다. 어깨높이는 73~95cm, 몸길이는 95~115cm, 꼬리는 30~40cm, 몸무게는 20~29kg으로, 암수의 크기와 외형은 비슷합니다.

갈기늑대는 서식지 파괴와 농부들의 사냥, 스포츠 사냥, 생포 등으로 인해 준위협 단계에 처해 있습니다. 우루과이 내에 있건 서식지에서는 대부분 멸종한 것으로 보입니다. 갈기늑대에게 적합한 환경은 대부분 농경지로 바뀌었으며,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도로에서 차량에 치이거나 가정견으로부터 병을 얻어 사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서식지에서는 갈기늑대를 보호하려 하지만, 아직 보호 조치의 시행률은 높지 않습니다. 가정견의 예방 접종률을 높이고, 도로에서의 안전을 확보하고, 번식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갈기늑대의 내분비 기관을 연구하는 등 다양한 보존 사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사회성 요구 상황
갈기늑대는 넓은 지역에서 짝을 지어 생활합니다. 갈기늑대는 짝이 있더라도 서로 멀리 떨어져 거의 독립적으로 생활합니다.

번식
갈기늑대의 짝짓기와 번식에 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으며, 이들의 번식 행동에 관한 정보는 대부분 생포한 개체로부터 관측한 것입니다. 짝을 이룬 성체 수컷과 암컷은 최대 30㎢ 반경의 영역에 서식하지만, 이들이 어떻게 짝을 맺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짝이 없는 어린 늑대가 냄새를 통해 서로를 추적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암컷 갈기늑대는 유도 배란 동물로, 근처에 수컷이 있을 때만 배란이 일어납니다. 갈기늑대는 보통 1년에 한 번만 번식하는데, 이 시기의 암컷은 최대 10일간 가임기에 접어들며 자신의 짝과 여러 차례 짝짓기를 합니다.

암컷은 63일~67일 동안 임신한 뒤 일반적으로 2~3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최대 6마리까지 낳기도 합니다. 새끼는 주로 어미가 돌보는데, 간혹 수컷이 새끼에게 먹이를 가져다주긴 하지만, 수컷은 대개 암컷과 멀리 떨어져 지냅니다. 새끼가 생후 4주가 될 때까지 암컷은 자신의 먹잇감을 구하기 위해서만 잠깐씩 굴을 나섭니다. 이 기간이 지나면, 어미는 자신이 삼켰다가 뱉어낸 음식을 새끼에게 먹이며 새끼가 젖을 떼게 합니다. 생후 8~10주가 지나면, 새끼는 고체로 된 먹이를 먹으며 어미와 함께 사냥을 떠나기 시작합니다.

갈기늑대는 어미를 떠나게 되는 한 살에 성적으로 성숙해지지만, 적어도 두

상세 정보
사회성 요구 상황{{{사회성 요구 상황}}}
번식{{{번식}}}
사회성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1~2
(수컷 최대 1마리, 암컷 최대 1마리)
수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1~3
암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1~3
지배력없음
짝짓기 체계일부일처
성체 대응 규칙{{{성체 대응 규칙}}}
인간과의 관계자신 있음
관람객 상호 작용{{{관람객 상호 작용}}}
평균
크기어깨높이에서 키 90cm
기대 수명14살
몸무게23kg
수명 주기
성적 성숙 나이2살
불임 나이사망 시
짝짓기 1회당 출산 수1~5
임신/부화 기간2개월
출산 간격12개월
포획된 상태의 번식 난이도쉬움
연구 상태
식단마른 사료(1등급), 작은 척추동물(2등급), 과일과 채소(3등급)
서식지 풍부화얼음 블록, 피 냄새 마커, 비눗방울 기계, 무는 장난감, 대형 공, 대형 눈덩이, 스프링클러, 종이 상자, 풍부화용 선물 상자
먹이 풍부화과일 꼬챙이 나무, 대나무 급식기, 피나타 얼룩말, 개 공, 피나타 가지뿔영양
토막 지식
#1. 갈기늑대는 높은 풀밭에서 사냥하는데 최적화된 긴 다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2. 갈기늑대는 오줌 냄새가 유독 강하며, 이를 자신의 영역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3. 갈기늑대는 이름과 달리 진짜 늑대는 아닙니다. 그리스어의 '황금 개'를 뜻하는 Chrysocyon(갈기늑대속)의 유일한 동물입니다.
#4. 갓 태어난 갈기늑대 새끼의 털은 검은색이지만, 나이가 들수록 점점 붉은색으로 변합니다.
#5. 갈기늑대는 잡식성 동물로, 야생의 갈기늑대가 먹는 것 중 90%는 세라도가 원산지인 나무의 열매 '늑대 사과'입니다.
다른 종 간의 풍부화
갈기늑대는 이 동물들과 서식지를 공유하면 풍부화 혜택을 받습니다.
큰개미핥기(Myrmecophaga tridactyla) 카피바라(Hydrochoerus hydrochaeris)

줄무늬하이에나

[[{{{동물}}}|줄무늬하이에나
Hyaena hyaena
]]
파일:PlanetZoo Zoopedia Striped hyena.jpg
준위협
야생 개체 수: 5,000 ~ 10,000
출신지 최소 서식지 요구 상황
대륙 아프리카, 아시아 울타리 강도 2등급, 1.25m 이상
지역 육지 면적 1162 ㎡
물가 면적 0 ㎡
등반 높이 0 ㎡
생물군계 사막, 열대, 초원, 온대 수심 0 ㎡
온도 -4~43 ℃
포유강 - 식육목 - 하이에나과 - 하이에나속

기초 정보
잡식성 포식자이자 동물의 시체를 먹는 줄무늬하이에나(Hyaena hyaena)는 북아프리카와 중동, 서아시아에 서식하며 사바나 평원, 초원, 섬림 지대부터 건조한 산악 지대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살아갑니다. 줄무늬하이에나는 강한 앞다리와 근육질의 목, 짧은 뒷다리 때문에 굽은 체형을 가지게 되었으며, 넓적한 머리와 코, 미간이 넓은 눈, 그리고 크고 뾰족한 귀가 특징입니다. 줄무늬하이에나의 몸과 다리에는 황갈색 털이 자라며, 세로로 된 검은색 줄무늬가 있습니다. 또한 척추를 타고 자라는 기다란 갈기는 두껍고 덥수룩한 꼬리와 연결됩니다. 암수의 외형은 비슷하지만, 수컷이 암컷보다 덩치가 조금 더 크고 무겁습니다. 수컷 줄무늬하이에나의 어깨높이는 65~80cm이며, 길이는 85~130cm, 꼬리 길이는 25~40cm, 몸무게는 26~41kg입니다. 반면, 암컷은 어깨높이가 60~75cm고, 길이는 85~105cm, 꼬리 길이는 25~40cm, 몸무게는 26~34kg입니다.

줄무늬하이에나는 준위협종으로 분류됩니다. 전체적인 개체 수가 줄어들고 있으며, 일부 서식지였던 지역에서는 이미 멸종된 상태입니다. 서식지 파괴와 이로 인해 유발된 먹잇감 감소로 인해 생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역사적으로 줄무늬하이에나는 여러 민간 설화에서 부정적인 존재로 묘사되었으며, 사람들에게 유해동물 취급을 받았습니다. 밀렵꾼들은 털이나 전통 약재의 재료를 구하기 위해 줄무늬하이에나를 사냥합니다.

사회성 요구 상황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번식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상세 정보
사회성 요구 상황{{{사회성 요구 상황}}}
번식{{{번식}}}
사회성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1~2
(수컷 최대 1마리, 암컷 최대 1마리)
수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1~7
암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1~7
지배력없음
짝짓기 체계일부일처
성체 대응 규칙{{{성체 대응 규칙}}}
인간과의 관계보통
관람객 상호 작용{{{관람객 상호 작용}}}
평균
크기수컷: 어깨높이에서 키 73cm
암컷: 어깨높이에서 키 68cm
기대 수명16살
몸무게수컷: 33.5kg
암컷: 30kg
수명 주기
성적 성숙 나이2살
불임 나이12살
짝짓기 1회당 출산 수2~4
임신/부화 기간3개월
출산 간격15개월
포획된 상태의 번식 난이도쉬움
연구 상태
식단가공육(1등급), 온전한 사체(2등급), 온전한 사체와 뼈(3등급)
서식지 풍부화피 냄새 마커, 비눗방울 기계, 종이 상자, 무는 장난감, 대형 공, 대형 눈덩이, 풍부화용 선물 상자, 사냥감 냄새 나는 자루, 스프링클러
먹이 풍부화피나타 얼룩말, 개 공, 대나무 급식기, 회전형 급식기, 피나타 가지뿔영양
토막 지식
#1. 줄무늬하이에나는 레바논을 상징하는 동물입니다.
#2. 북부 인도 설화에서는 밤이 되면 마녀와 마법사가 줄무늬하이에나를 타고 다닌다고 합니다.
#3. 줄무늬하이에나는 쓰레기 처리에 능하기 때문에 도시 지역에 유익할 수 있습니다. 아프리카의 일부 마을에서는 마을 사람들이 하이에나가 먹을 수 있도록 쓰레기를 꺼내 놓기도 합니다.
#4. 줄무늬하이에나는 무덤을 파고 시체를 먹는 것으로 유명하며, 이로 인해 사람들에게 유해동물 취급을 받았습니다.
#5. 줄무늬하이에나는 길들이고 훈련시킬 수 있으며, 고대 이집트인들은 줄무늬하이에나를 사냥에 데려가기도 했다고 합니다.
다른 종 간의 풍부화
줄무늬하이에나는 다른 동물 종과 공생하더라도 혜택이 없습니다.

카라칼

[[{{{동물}}}|카라칼
Caracal caracal
]]
PlanetZoo Zoopedia Caracal.jpg
관심대상
야생 개체 수: 알 수 없음
출신지 최소 서식지 요구 상황
대륙 아프리카, 아시아 울타리 강도 3등급, 3m 이상, 등반 불가능
지역 모로코, 알제리, 이집트, 마일, 차드, 수단, 남수단, 에티오피아, 세네갈, 감비아, 잠비아, 파키스탄, 인도 육지 면적 534 ㎡
물가 면적 0 ㎡
등반 높이 81 ㎡
생물군계 사막, 초원, 온대 수심 0 ㎡
온도 0~43 ℃
포유강 - 식육목 - 고양이과 - 카라칼속

기초 정보
카라칼(Caracal caracal)은 아프리카와 중동의 사바나와 습지, 반사막, 숲, 관목 지대에서 서식하는 소형 살쾡이입니다. 전체적인 털은 황갈색이지만 배 부분은 연한 색을 띠고 있으며, 다부진 몸과 커다란 발, 그리고 비교적 짧은 꼬리가 특징입니다. 카라칼의 귀는 크고 뾰족하며, 귀 끝에는 검은색의 긴 털이 자라납니다. 또한 눈 위와 입술 옆에는 어두운 무늬가 그려져 있습니다. 수컷 카라칼은 암컷에 비해 덩치가 조금 크지만, 그 밖의 특징은 거의 동일합니다. 수컷의 어깨높이는 41~53cm이며, 머리부터 몸통까지의 길이는 75~108cm, 몸무게는 7.2~19kg입니다. 반면, 암컷은 어깨높이가 39~51cm이며, 몸길이는 75~103cm에 달하며, 몸무게는 7~15.9kg입니다. 짧은 꼬리의 길이는 18~34cm입니다.

카라칼은 최소 관심종으로 분류되며 멸종 위기종이 아닙니다. 과거의 일부 문화권에서는 카라칼을 길들여 사냥에 데려가기도 했습니다.

사회성 요구 상황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번식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상세 정보
사회성 요구 상황{{{사회성 요구 상황}}}
번식{{{번식}}}
사회성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1~2
(수컷 최대 1마리, 암컷 최대 1마리)
수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1
암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1
지배력없음
짝짓기 체계일부다처
성체 대응 규칙{{{성체 대응 규칙}}}
인간과의 관계수줍음
관람객 상호 작용{{{관람객 상호 작용}}}
평균
크기수컷: 어깨높이에서 키 47cm
암컷: 어깨높이에서 키 45cm
기대 수명18살
몸무게수컷: 11.8kg
암컷: 8.9kg
수명 주기
성적 성숙 나이1.5살
불임 나이15살
짝짓기 1회당 출산 수1~4
임신/부화 기간2개월
출산 간격24개월
포획된 상태의 번식 난이도보통
연구 상태
식단가공육(1등급), 온전한 사체(2등급), 비타민과 미네랄 보충제(3등급)
서식지 풍부화얼음 블록, 피 냄새 마커, 종이 상자, 풍부화용 선물 상자, 사냥감 냄새 나는 자루, 문지르기 패드, 나무껍질 문지르기 패드, 스크래처 기둥, 스크래치 트리 구주소나무, 스크래치 트리 타마린드, 스프링클러
먹이 풍부화얼음 피 호박, 피나타 가지뿔영양, 피나타 얼룩말
토막 지식
#1. 카라칼이라는 단어는 '검은 귀'를 의미하는 터키어 '카라쿨락'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2. 카라칼은 3m 높이까지 뛰어오를 수 있으며, 이러한 점프력을 활용해 하늘에 있는 새를 사냥하곤 합니다.
#3. 카라칼은 자기 체구의 3배나 되는 먹잇감을 제압할 수 있습니다.
#4. 카라칼은 스라소니처럼 깃이 있는 귀와 스라소니의 특징을 연상시키는 짧은 꼬리를 가져 '사막스라소니'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스라소니와 카라칼은 각기 다른 속에 속하는 동물입니다.
#5. 카라칼은 인간의 사냥을 돕도록 훈련받은 적이 있으며, 구경꾼들이 돈을 걸고 카라칼이 정해진 시간 안에 얼마나 많은 먹잇감을 잡을 수 있는지 내기하는 스포츠 사냥에 쓰이기도 했습니다.
다른 종 간의 풍부화
카라칼은 다른 동물 종과 공생하더라도 혜택이 없습니다.

검은꼬리누

[[{{{동물}}}|검은꼬리누
Connochaetes taurinus
]]
PlanetZoo Zoopedia Blue wildebeest.jpg
관심필요
야생 개체 수: 1,550,000
출신지 최소 서식지 요구 상황
대륙 아프리카 울타리 강도 2등급, 1.25m 이상
지역 케냐, 탄자니아, 앙골라, 잠비아, 나미비아, 보츠나와,
짐바브웨, 모잠비크, 남아프리카 공화국, 에스피타니
육지 면적 410 ㎡
물가 면적 0 ㎡
등반 높이 0 ㎡
생물군계 초원 수심 0 ㎡
온도 8~40 ℃
포유강 - 우제목 - 소과 - 누속

기초 정보
검은꼬리누(Connochaetes taurinus)는 남아프리카에 서식하는 대형 영양으로, 흰수염누 또는 호랑이무늬꼬리누라고도 불립니다. 검은꼬리누의 털은 연한 회색이나 갈색으로, 목과 어깨, 가슴에는 어두운 줄무늬가 있습니다. 또한 이들은 검고 긴 꼬리와 갈기를 가지고 있으며, 아종에 따라 갈기가 서 있거나 목 주변에 축 처져있기도 합니다. 목 아래에는 흰색 수염이 늘어져 있습니다. 검은꼬리누는 암컷과 수컷이 다르게 생겼습니다. 암수 모두 독특한 L자 모양의 뿔이 있지만, 수컷이 암컷보다 덩치가 큽니다. 수컷의 어깨높이는 1.23~1.64m이며, 길이는 1.7~2.4m, 몸무게는 165~290kg입니다. 반면, 암컷은 어깨높이가 1.14~1.42m, 길이는 1.75~2.15m, 몸무게는 140~260kg입니다.

검은꼬리누는 멸종 위기종이 아닌 최소 관심종으로 분류됩니다. 하지만 인간의 영역 확장으로 이주 경로에 영향을 받았고, 삼림 파괴 및 수원 상실로 인해 서식지를 위협받고 있습니다.

사회성 요구 상황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번식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상세 정보
사회성 요구 상황{{{사회성 요구 상황}}}
번식{{{번식}}}
사회성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4~20
(수컷 최대 1마리, 암컷 최대 19마리)
수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4~9
암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4~20
지배력영역을 확보하는 수컷, 무리 안에서 계급이 나뉘는 암컷
짝짓기 체계일부다처
성체 대응 규칙{{{성체 대응 규칙}}}
인간과의 관계보통
관람객 상호 작용{{{관람객 상호 작용}}}
평균
크기수컷: 어깨높이에서 키 1.30mm
암컷: 어깨높이에서 키 1.25m
기대 수명18살
몸무게수컷: 227.5kg
암컷: 200kg
수명 주기
성적 성숙 나이4살
불임 나이사망 시
짝짓기 1회당 출산 수1
임신/부화 기간8개월
출산 간격12개월
포획된 상태의 번식 난이도아주 쉬움
연구 상태
식단건초(1등급), 초식동물 사료(2등급), 과일과 채소(3등급)
서식지 풍부화손잡이 공, 허브 냄새 마커, 대형 공, 대형 눈덩이, 문지르기 기둥, 스크래치 트리 구주소나무, 스크래치 트리 타마린드
먹이 풍부화그레이징 공 급식기, 소형 통 급식기, 수박 급식기, 허수아비 급식기, 매달린 그레이저 급식기
토막 지식
#1.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2.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3.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4.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5.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다른 종 간의 풍부화
검은꼬리누는 이 동물들과 서식지를 공유하면 풍부화 혜택을 받습니다.
검은영양(Hippotragus niger) 그물무늬기린(Giraffa camelopardalis reticulata) 사바나얼룩말(Equus quagga) 스프링복(Antidorcas marsupialis) 아프리카물소(Syncerus caffer caffer) 타조(Struthio camelus) 혹멧돼지(Phacochoerus africanus) 흰꼬리누(Connochaetes gnou) 톰슨가젤(Eudorcas thomsonii) 남부흰코뿔소(Ceratotherium simum simum)

붉은목왈라비

[[{{{동물}}}|붉은목왈라비
Macropus rufogriseuss
]]
파일:PlanetZoo Zoopedia Wallaby.jpg
관심필요
야생 개체 수: 알 수 없음
출신지 최소 서식지 요구 상황
대륙 오세아니아 울타리 강도 2등급, 3m 이상
지역 호주, 태즈메이니아 육지 면적 250 ㎡
물가 면적 0 ㎡
등반 높이 0 ㎡
생물군계 초원, 온대 수심 0 ㎡
온도 -4~43 ℃
포유강 - 캥거루목 - 캥거루과 - 왈라비속

기초 정보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사회성 요구 상황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번식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상세 정보
사회성 요구 상황{{{사회성 요구 상황}}}
번식{{{번식}}}
사회성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1~30
(수컷 최대 29마리, 암컷 최대 29마리)
수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1~30
암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1~30
지배력
짝짓기 체계일부다처
성체 대응 규칙{{{성체 대응 규칙}}}
인간과의 관계자신 있음
관람객 상호 작용{{{관람객 상호 작용}}}
평균
크기수컷: 꼬리까지 84cm
암컷: 꼬리까지 73cm
기대 수명17살
몸무게수컷: 21.5kg
암컷: 13kg
수명 주기
성적 성숙 나이1.5살
불임 나이사망 시
짝짓기 1회당 출산 수1
임신/부화 기간8개월
출산 간격12개월
포획된 상태의 번식 난이도쉬움
연구 상태
식단건초(1등급), 초식동물 사료(2등급), 과일과 채소(3등급)
서식지 풍부화소형 호박 공, 허브 냄새 마커, 러버 덕, 소형 공, 풍부화용 소형 얼음 공, 화려한 소형 공, 스프링클러
먹이 풍부화그레이징 공 급식기, 먹이 걸이, 매달린 그레이저 급식기
토막 지식
#1.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2.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3.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4.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5.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다른 종 간의 풍부화
붉은목왈라비는 다른 동물 종과 공생하더라도 혜택이 없습니다.

에뮤

[[{{{동물}}}|에뮤
Dromaius novaehollandiae
]]
PlanetZoo Zoopedia Emu.jpg
관심대상
야생 개체 수: 630,000 ~ 725,000
출신지 최소 서식지 요구 상황
대륙 오세아니아 울타리 강도 2등급, 1.25m 이상
지역 호주 육지 면적 450 ㎡
물가 면적 0 ㎡
등반 높이 0 ㎡
생물군계 사막, 열대, 초원 수심 0 ㎡
온도 3~43 ℃
조강 - 화식조목 - 에뮤과 - 에뮤속

기초 정보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사회성 요구 상황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번식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상세 정보
사회성 요구 상황{{{사회성 요구 상황}}}
번식{{{번식}}}
사회성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1~6
(수컷 최대 5마리, 암컷 최대 5마리)
수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1~6
암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1~6
지배력
짝짓기 체계일부다처
성체 대응 규칙{{{성체 대응 규칙}}}
인간과의 관계자신 있음
관람객 상호 작용{{{관람객 상호 작용}}}
평균
크기수컷: 키 1.65m
암컷: 키 1.75m
기대 수명15살
몸무게수컷: 42.5kg
암컷: 47.5kg
수명 주기
성적 성숙 나이1.5살
불임 나이사망 시
짝짓기 1회당 출산 수1~5
임신/부화 기간3개월
출산 간격12개월
포획된 상태의 번식 난이도쉬움
연구 상태
식단과일과 채소(1등급), 씨앗(2등급), 메뚜기와 귀뚜라미(3등급)
서식지 풍부화소형 호박 공, 골동품 공, 허브 냄새 마커, 거울 모빌, 러버 덕, 소형 공, 풍부화용 소형 얼음 공, 화려한 소형 공, 스프링클러, 폭포와 금속 프레임
먹이 풍부화저속 급식기, 먹이 상자 풍부화
토막 지식
#1.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2.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3.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4.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5.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다른 종 간의 풍부화
에뮤는 다른 동물 종과 공생하더라도 혜택이 없습니다.

산호랑나비

[[{{{동물}}}|산호랑나비
Papilio machaon
]]
파일:PlanetZoo Zoopedia Swallowtail.jpg
관심대상
야생 개체 수: 알 수 없음
출신지 최소 서식지 요구 상황
대륙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전시장
지역 온도 18~24 ℃
생물군계 온대, 초원, 타이가, 툰드라 습도 40~60 %
곤충강 - 나비목 - 호랑나비과 - 호랑나비속

구름유황나비

[[{{{동물}}}|구름유황나비
Phoebis sennae
]]
파일:PlanetZoo Zoopedia Butterfly.jpg
관심대상
야생 개체 수: 알 수 없음
출신지 최소 서식지 요구 상황
대륙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전시장
지역 온도 21~28 ℃
생물군계 온대, 초원, 타이가 습도 50~84 %
곤충강 - 나비목 - 흰나비과 - 구름유황나비속

제왕나비

[[{{{동물}}}|제왕나비
Danaus plexippus
]]
PlanetZoo Zoopedia Monarch.jpg
위기
야생 개체 수: 알 수 없음
출신지 최소 서식지 요구 상황
대륙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오세아니아 전시장
지역 온도 21~30 ℃
생물군계 온대, 초원, 열대 습도 40~60 %
곤충강 - 나비목 - 네발나비과 - 끝검은왕나비속

공작나비

[[{{{동물}}}|공작나비
Aglais io
]]
파일:PlanetZoo Zoopedia Peacock butterfly.jpg
관심대상
야생 개체 수: 알 수 없음
출신지 최소 서식지 요구 상황
대륙 유럽, 아시아 전시장
지역 온도 18~25 ℃
생물군계 온대, 초원 습도 60~80 %
곤충강 - 나비목 - 네발나비과 - 공작나비속

메넬라우스모르포나비

[[{{{동물}}}|메넬라우스모르포나비
Morpho menelaus
]]
파일:PlanetZoo Zoopedia Morpho.jpg
정보부족
야생 개체 수: 알 수 없음
출신지 최소 서식지 요구 상황
대륙 남아메리카 전시장
지역 온도 21~25 ℃
생물군계 초원, 열대 습도 60~80 %
곤충강 - 나비목 - 네발나비과 - 모르포나비속

각주

[Planet Zoo Wiki] [DR.GBS의 각종 여러가지 취미생활] [Abyss 세제곱 / 플래닛 주 프랜차이즈 모드 공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