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래닛 주/동물/호주 팩: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이 문서는 플래닛 주의 호주 팩에 나오는 서식지 동물들과 전시장 동물의 정보를 모아놓은 문서입니다. == 코알라 == == 붉은캥거루 == == 딩...)
 
1번째 줄: 1번째 줄:
이 문서는 플래닛 주의 호주 팩에 나오는 서식지 동물들과 전시장 동물의 정보를 모아놓은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플래닛 주의 호주 팩에 나오는 서식지 동물들과 전시장 동물의 정보를 모아놓은 문서입니다.
== 코알라 ==
== 코알라 ==
{| class="wikitable"  style="float: center;"
|-
! colspan="3" style="text-align: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C8852C; color:#ffffff;" | 코알라<br />''(Phascolarctos cinereus)''
|-
| rowspan="13" style="text-align:center;" | [[파일:PlanetZoo_Zoopedia Koala.jpg]]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C8852C; color:#ffffff;" | 취약<br />야생 개체 수: 80,000(2019년 산불 이전)
|- style="font-weight:bold; text-align:center;"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C8852C; color:#ffffff;" | 출신지
|-
| style="text-align: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C8852C; color:#ffffff;" | 대륙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오세아니아
|-
| style="text-align: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C8852C; color:#ffffff;" | 지역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호주
|-
| style="text-align: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C8852C; color:#ffffff;" | 생물군계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열대, 온대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C8852C; color:#ffffff;" | 최소 서식지 요구 상황
|-
| style="text-align: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C8852C; color:#ffffff;" | 울타리 강도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1등급, 1m 이상, 등반 불가능
|-
| style="text-align: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C8852C; color:#ffffff;" | 육지 면적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180 ㎡
|-
| style="text-align: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C8852C; color:#ffffff;" | 물가 면적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0 ㎡
|-
| style="text-align: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C8852C; color:#ffffff;" | 수심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0 ㎡
|-
| style="text-align: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C8852C; color:#ffffff;" | 등반 높이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20 ㎡
|-
| style="text-align: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C8852C; color:#ffffff;" | 온도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8~42 ℃
|-
| colspan="6" style="text-align:center;" | 포유강 - 캥거루목 - 코알라과 - 코알라속
|-
|}
'''기초 정보'''<br />퀸즐랜드코알라''(Phascolarctos cinereus)''는 호주 동부의 유칼립투스 산맥에 서식하는 수목 유대목 생물입니다. 회색 또는 갈색 털과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쓰이는 팔과 다리, 털이 복슬복슬한 귀, 검은색의 동글납작한 코를 지니고 있습니다. 퀸즐랜드코알라는 성적 동종이형 종으로 수컷의 크기가 암컷보다 훨씬 더 큽니다. 몸길이 60~75cm로 수컷의 몸무게는 4.2~9.1kg이며 암컷은 4.1~7.3kg입니다. 암수 구분 없이 대부분의 코알라가 유칼립투스 나뭇잎을 먹으며 생활합니다.<br /><br />퀸즐랜드코알라는 가뭄, 포식 활동, 산불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해 현재 취약종이지만 사람의 간섭으로 인해 상황은 더 복잡해졌습니다. 삶의 터전인 유칼립투스 삼림의 벌목으로 개체 수가 감소했고, 서식지 또한 토지 용도 변경을 목적으로 파괴되었습니다. 그리고 종종 도로에서 차에 치여 사망하기도 하며, 개체 수의 40%~52%가 실명과 불임을 유발하는 성병인 클라미디아에 감염되어 목숨을 잃기도 하는 심각한 질병 문제도 앓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개체 수를 조사하고 병에 걸린 코알라를 치료할 수 있는 공간을 마런하여 관리 중이며, 유칼립투스 나무를 심고 코알라들이 잘 먹을 수 있도록 이를 전담하는 단체가 활동 중입니다.
'''사회성 요구 상황'''<br />코알라는 홀로 생활하는 동물이지만 서로의 서식지가 겹치는 경우가 많아 근처에 다른 코알라가 있어도 크게 신경 쓰지 않습니다.
'''번식'''<br />수컷과 암컷 코알라는 각자의 행동 범위를 가지며, 보통 수컷의 행동 범위가 암컷보다 더 넓은 경우가 많습니다. 암수의 행동 범위가 겹칠 수도 있기에 이는 서로 소통하며 지낼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수컷은 근처에 있는 가임기 암컷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소리를 지르기 전 먼저 오줌 냄새로 암컷을 파악하고, 가슴샘에서 분비되는 체취와 소변으로 나무에 영역 표시를 합니다. 모든 연령대의 수컷이 암컷을 찾아 나서지만, 젊은 수컷은 나이가 많고 덩치가 큰 수컷의 경계로 인해 암컷에게 접근조차 못 할 가능성이 큽니다.<br /><br />수컷이 암컷과 짝짓기를 원하면, 다소 거칠게 접근합니다. 보통 암컷의 몸 위로 올라가기 위해 강한 힘과 덩치를 이용합니다. 이러한 행동은 종종 암컷의 부정적인 반응을 초래합니다. 암컷은 큰 소리로 울며 불편함을 호소하지만 코알라의 성적 동종이형으로 인한 덩치 차이로 인해 크고 무거운 수컷으 당해내지 못합니다. 하지만 더 어리고 크기가 작은 수컷은 얼마든지 밀어낼 수 있으므로 크기가 더 큰 수컷의 짝짓기 성공률이 더 높은 것입니다.<br /><br />임신한 암컷은 짝짓기가 끝나면 33~35일 사이에 1마리의 새끼를 출산하지만 미숙한 배아 상태로 태어납니다. 태어난 새끼는 5~6개월 동안 어미의 육아낭 안에 있는 두 개의 젖꼭지를 통해 영양분을 섭취합니다. 생후 6개월에 접아들면서 11~12개월 정도가 되면 완전히 젖을 떼며 1살 경에 어미에게 다른 새끼가 태어나면 독립합니다. 새끼 코알라는 2살 정도가 될 때까지는 어미 근처에서 머물다가 더 먼 곳으로 떠나게 됩니다.
== 붉은캥거루 ==
== 붉은캥거루 ==
== 딩고 ==
== 딩고 ==

2022년 9월 25일 (일) 20:16 판

이 문서는 플래닛 주의 호주 팩에 나오는 서식지 동물들과 전시장 동물의 정보를 모아놓은 문서입니다.

코알라

코알라
(Phascolarctos cinereus)
PlanetZoo Zoopedia Koala.jpg
취약
야생 개체 수: 80,000(2019년 산불 이전)
출신지
대륙 오세아니아
지역 호주
생물군계 열대, 온대
최소 서식지 요구 상황
울타리 강도 1등급, 1m 이상, 등반 불가능
육지 면적 180 ㎡
물가 면적 0 ㎡
수심 0 ㎡
등반 높이 20 ㎡
온도 8~42 ℃
포유강 - 캥거루목 - 코알라과 - 코알라속

기초 정보
퀸즐랜드코알라(Phascolarctos cinereus)는 호주 동부의 유칼립투스 산맥에 서식하는 수목 유대목 생물입니다. 회색 또는 갈색 털과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쓰이는 팔과 다리, 털이 복슬복슬한 귀, 검은색의 동글납작한 코를 지니고 있습니다. 퀸즐랜드코알라는 성적 동종이형 종으로 수컷의 크기가 암컷보다 훨씬 더 큽니다. 몸길이 60~75cm로 수컷의 몸무게는 4.2~9.1kg이며 암컷은 4.1~7.3kg입니다. 암수 구분 없이 대부분의 코알라가 유칼립투스 나뭇잎을 먹으며 생활합니다.

퀸즐랜드코알라는 가뭄, 포식 활동, 산불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해 현재 취약종이지만 사람의 간섭으로 인해 상황은 더 복잡해졌습니다. 삶의 터전인 유칼립투스 삼림의 벌목으로 개체 수가 감소했고, 서식지 또한 토지 용도 변경을 목적으로 파괴되었습니다. 그리고 종종 도로에서 차에 치여 사망하기도 하며, 개체 수의 40%~52%가 실명과 불임을 유발하는 성병인 클라미디아에 감염되어 목숨을 잃기도 하는 심각한 질병 문제도 앓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개체 수를 조사하고 병에 걸린 코알라를 치료할 수 있는 공간을 마런하여 관리 중이며, 유칼립투스 나무를 심고 코알라들이 잘 먹을 수 있도록 이를 전담하는 단체가 활동 중입니다.

사회성 요구 상황
코알라는 홀로 생활하는 동물이지만 서로의 서식지가 겹치는 경우가 많아 근처에 다른 코알라가 있어도 크게 신경 쓰지 않습니다.

번식
수컷과 암컷 코알라는 각자의 행동 범위를 가지며, 보통 수컷의 행동 범위가 암컷보다 더 넓은 경우가 많습니다. 암수의 행동 범위가 겹칠 수도 있기에 이는 서로 소통하며 지낼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수컷은 근처에 있는 가임기 암컷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소리를 지르기 전 먼저 오줌 냄새로 암컷을 파악하고, 가슴샘에서 분비되는 체취와 소변으로 나무에 영역 표시를 합니다. 모든 연령대의 수컷이 암컷을 찾아 나서지만, 젊은 수컷은 나이가 많고 덩치가 큰 수컷의 경계로 인해 암컷에게 접근조차 못 할 가능성이 큽니다.

수컷이 암컷과 짝짓기를 원하면, 다소 거칠게 접근합니다. 보통 암컷의 몸 위로 올라가기 위해 강한 힘과 덩치를 이용합니다. 이러한 행동은 종종 암컷의 부정적인 반응을 초래합니다. 암컷은 큰 소리로 울며 불편함을 호소하지만 코알라의 성적 동종이형으로 인한 덩치 차이로 인해 크고 무거운 수컷으 당해내지 못합니다. 하지만 더 어리고 크기가 작은 수컷은 얼마든지 밀어낼 수 있으므로 크기가 더 큰 수컷의 짝짓기 성공률이 더 높은 것입니다.

임신한 암컷은 짝짓기가 끝나면 33~35일 사이에 1마리의 새끼를 출산하지만 미숙한 배아 상태로 태어납니다. 태어난 새끼는 5~6개월 동안 어미의 육아낭 안에 있는 두 개의 젖꼭지를 통해 영양분을 섭취합니다. 생후 6개월에 접아들면서 11~12개월 정도가 되면 완전히 젖을 떼며 1살 경에 어미에게 다른 새끼가 태어나면 독립합니다. 새끼 코알라는 2살 정도가 될 때까지는 어미 근처에서 머물다가 더 먼 곳으로 떠나게 됩니다.

붉은캥거루

딩고

화식조

푸른혀도마뱀

각주

[Planet Zoo Wiki] [DR.GBS의 각종 여러가지 취미생활] [Abyss 세제곱 / 플래닛 주 프랜차이즈 모드 공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