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프레서 (음향기기):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추적용 분류 강제 갱신 겸 이름 변경 반영)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Drawmer 1973 Three Band Stereo FET Compressor.png|섬네일]]
'''다이나믹 레인지 컴프레서'''(Dynamic range compressor)는 [[음향기기]]의 일종이다.
'''다이나믹 레인지 컴프레서'''(Dynamic range compressor)는 [[음향기기]]의 일종이다.


4번째 줄: 5번째 줄:


==작동방식==
==작동방식==
컴프레서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작동한다. 작은 소리를 키우거나(상향압축) 큰 소리를 줄이는 방식(하향압축)인데, 사용 용도에 따라 방식을 선택한다. 두 방식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상향 압축은 압축이 시작되는 임의의 지점(threshold)을 기준으로 낮은 값을 증폭시키고 기준점보다 높은 값은 그대로 둔다. 결과적으로 작은 소리가 커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하향압축은 압축이 시작되는 임의의 지점(threshold)을 기준으로 낮은 값은 그대로 두고 높은 값을 줄여서 큰 소리를 줄이는 방식이다. 두 방식 모두 결과적으로 다이나믹 레인지가 줄어든다.  
컴프레서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작동한다. 작은 소리를 키우거나(상향압축) 큰 소리를 줄이는 방식(하향압축)인데, 사용 용도에 따라 방식을 선택한다. 두 방식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상향 압축은 압축이 시작되는 임의의 지점(threshold)을 기준으로 낮은 값을 증폭시키고 기준점보다 높은 값은 그대로 둔다. 결과적으로 작은 소리가 커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하향압축은 압축이 시작되는 임의의 지점(threshold)을 기준으로 낮은 값은 그대로 두고 높은 값을 줄여서 큰 소리를 줄이는 방식이다. 두 방식 모두 결과적으로 다이나믹 레인지가 줄어든다.


===용도===
===용도===
상향압축은 주로 [[연설]]이나 [[강의]] 등에서 사용되는데 발성자의 큰 목소리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조용한 목소리를 증폭시켜 전달력을 높이는 목적으로 주로 사용된다.  
상향압축은 주로 [[연설]]이나 [[강의]] 등에서 사용되는데 발성자의 큰 목소리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조용한 목소리를 증폭시켜 전달력을 높이는 목적으로 주로 사용된다.


하향압축은 주로 음악의 연주/녹음/믹싱/마스터링 과정에서  소리를 강화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하향압축은 주로 음악의 연주/녹음/믹싱/마스터링 과정에서  소리를 강화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연주자의 입장에서 하향 압축은 장비의 입력 한계를 넘지 않도록 정해진 다이나믹 레인지 안에서 연주하게 해주고, 악기의 잔향을 길게 늘이거나 [[드럼]] 등의 리듬 악기의 소리를 단단하게 만들기 위해 사용하며. 믹싱/마스터링 과정에서는 큰소리의 변화폭을 줄여서 작은 소리를 또렷하게 들리게 하거나, 음량을 올리는 과정에서 최대 음량을 넘지 않기 위해 사용한다. 사실 음악에서 컴프레서의 사용방법은 다양해서 한두 가지로 정의할 수 없다.
연주자의 입장에서 하향 압축은 장비의 입력 한계를 넘지 않도록 정해진 다이나믹 레인지 안에서 연주하게 해주고, 악기의 잔향을 길게 늘이거나 [[드럼]] 등의 리듬 악기의 소리를 단단하게 만들기 위해 사용하며. 믹싱/마스터링 과정에서는 큰소리의 변화폭을 줄여서 작은 소리를 또렷하게 들리게 하거나, 음량을 올리는 과정에서 최대 음량을 넘지 않기 위해 사용한다. 사실 음악에서 컴프레서의 사용방법은 다양해서 한두 가지로 정의할 수 없다.
== 주요 파라미터 ==
;스레숄드(threshold)
: 압축이 발생하는 레벨. 입력 신호 레벨이 스레숄드 아래 인 경우, 압축은 일어나지 않는다. 신호가 스레숄드 레벨에 도달하면, 압축비(ratio)와  어택의 설정에 따라 입력 신호의 게인을 감소시킨 후, 릴리즈 설정에 따라 복구된다. 장비에 따라 따로 조절하지 못하고 고정 값을 가지는 경우도 있다. <br />
;어택(Attack 또는 Attack time)
: 스레숄드 레벨에 도달 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압축이 걸리는 시간을 조정한다. 빠른 어택 설정은 결과적으로 신호가 더 많이 압축되며 변화폭이 적고. 파형의 트렌지언트를 일정부분 감소시키는 결과가 나온다.  느린 어택설정은 빠른 설정보다 신호를 더 많이 변화시킨다.  어택 설정은 오디오신호의 특성에 따라 조절해야한다.<br />
;릴리즈(Release 또는 Release time)
: 입력 레벨이 스레숄드 이하로 떨어진 후 컴프레서가 비활성 상태로 되돌아가는 데 걸리는 시간을 조정한다. 짧은 릴리즈 시간은 압축이 더 ​​유연하고, 입력 신호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지만, 귀에 불쾌하게 들릴 수 있다. 긴 릴리즈 타임이 보다 균일 한 레벨 이하 왜곡 신호를 생성 방출하지만, 본래의 입력레벨로 빠르게 돌아오지 못하므로, 압축효율(또는 효과)을 최대로 활용 할 수 없게 만든다.<br />
;메이크업(make up 또는 make up gain)
: 메이크업은 압축처리된 소리의 큰 부분과 작은 부분의 레벨 차이를 감소시킨다.<br />
;압축비(ratio)
:  입력 오디오 레벨이 스레숄드 레벨을 초과 한 신호에 적용되는 압축 량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4 : 1의 비율이라면 스레숄드 레벨을 4dB 초과하는 신호에 대해 출력 레벨이 1dB 증가 하는 것을 의미한다. 10:1 이상은 리미터에 해당하는 압축비이다.<br />
== 사용 방법 ==
{{참고|믹싱#다이나믹 레인지 압축|l1=믹싱 - 다이나믹 레인지 압축}}


==리미터==
==리미터==
17번째 줄: 33번째 줄:


{{각주}}
{{각주}}
{{문서 가져옴|믹싱|537737}}
[[분류:음향기기]]
[[분류:음향기기]]

2022년 5월 25일 (수) 19:28 기준 최신판

Drawmer 1973 Three Band Stereo FET Compressor.png

다이나믹 레인지 컴프레서(Dynamic range compressor)는 음향기기의 일종이다.

음악방송 관련 종사자들이 말하는 소위 컴프레서는 작은 소리를 키우거나, 큰 소리를 줄여서 소리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압축하는 이펙터다. 소리를 압축하는 게 절대로 아니다.

작동방식[편집 | 원본 편집]

컴프레서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작동한다. 작은 소리를 키우거나(상향압축) 큰 소리를 줄이는 방식(하향압축)인데, 사용 용도에 따라 방식을 선택한다. 두 방식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상향 압축은 압축이 시작되는 임의의 지점(threshold)을 기준으로 낮은 값을 증폭시키고 기준점보다 높은 값은 그대로 둔다. 결과적으로 작은 소리가 커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하향압축은 압축이 시작되는 임의의 지점(threshold)을 기준으로 낮은 값은 그대로 두고 높은 값을 줄여서 큰 소리를 줄이는 방식이다. 두 방식 모두 결과적으로 다이나믹 레인지가 줄어든다.

용도[편집 | 원본 편집]

상향압축은 주로 연설이나 강의 등에서 사용되는데 발성자의 큰 목소리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조용한 목소리를 증폭시켜 전달력을 높이는 목적으로 주로 사용된다.

하향압축은 주로 음악의 연주/녹음/믹싱/마스터링 과정에서 소리를 강화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연주자의 입장에서 하향 압축은 장비의 입력 한계를 넘지 않도록 정해진 다이나믹 레인지 안에서 연주하게 해주고, 악기의 잔향을 길게 늘이거나 드럼 등의 리듬 악기의 소리를 단단하게 만들기 위해 사용하며. 믹싱/마스터링 과정에서는 큰소리의 변화폭을 줄여서 작은 소리를 또렷하게 들리게 하거나, 음량을 올리는 과정에서 최대 음량을 넘지 않기 위해 사용한다. 사실 음악에서 컴프레서의 사용방법은 다양해서 한두 가지로 정의할 수 없다.

주요 파라미터[편집 | 원본 편집]

스레숄드(threshold)
압축이 발생하는 레벨. 입력 신호 레벨이 스레숄드 아래 인 경우, 압축은 일어나지 않는다. 신호가 스레숄드 레벨에 도달하면, 압축비(ratio)와 어택의 설정에 따라 입력 신호의 게인을 감소시킨 후, 릴리즈 설정에 따라 복구된다. 장비에 따라 따로 조절하지 못하고 고정 값을 가지는 경우도 있다.
어택(Attack 또는 Attack time)
스레숄드 레벨에 도달 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압축이 걸리는 시간을 조정한다. 빠른 어택 설정은 결과적으로 신호가 더 많이 압축되며 변화폭이 적고. 파형의 트렌지언트를 일정부분 감소시키는 결과가 나온다. 느린 어택설정은 빠른 설정보다 신호를 더 많이 변화시킨다. 어택 설정은 오디오신호의 특성에 따라 조절해야한다.
릴리즈(Release 또는 Release time)
입력 레벨이 스레숄드 이하로 떨어진 후 컴프레서가 비활성 상태로 되돌아가는 데 걸리는 시간을 조정한다. 짧은 릴리즈 시간은 압축이 더 ​​유연하고, 입력 신호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지만, 귀에 불쾌하게 들릴 수 있다. 긴 릴리즈 타임이 보다 균일 한 레벨 이하 왜곡 신호를 생성 방출하지만, 본래의 입력레벨로 빠르게 돌아오지 못하므로, 압축효율(또는 효과)을 최대로 활용 할 수 없게 만든다.
메이크업(make up 또는 make up gain)
메이크업은 압축처리된 소리의 큰 부분과 작은 부분의 레벨 차이를 감소시킨다.
압축비(ratio)
입력 오디오 레벨이 스레숄드 레벨을 초과 한 신호에 적용되는 압축 량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4 : 1의 비율이라면 스레숄드 레벨을 4dB 초과하는 신호에 대해 출력 레벨이 1dB 증가 하는 것을 의미한다. 10:1 이상은 리미터에 해당하는 압축비이다.

사용 방법[편집 | 원본 편집]

리미터[편집 | 원본 편집]

리미터 또한 컴프레서와 작동방식이 같다. 다른 점은 임의의 지점(threshold)를 넘지 않도록 음량을 줄인다는 점이다. 파형이 줄어들지만, 파형이 깎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파형을 잘라버리는 클리퍼와 구별된다. 주로 마스터링 과정에서 클리핑을 막기 위해서 사용된다.

각주

이 문서의 전체 혹은 일부는 믹싱 문서의 537737판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