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K 개러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UK Garage'''(UK 개러지), 줄여서 '''UKG'''는 1990년대 초중반 [[영국]]에서 시작된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의 한 장르이다. UK라는 수식어 답게 영국 음악이다. 이 장르는 [[개러지 하우스]]에서 뚜렷한 영감을 받았고 R&B나 [[정글 음악|정글]]이나 댄스팝의 요소도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드럼 패턴은 4/4 브레이크비트<ref>당김음. 정박자 비트의 정렬을 깬다. </ref>로 만들고 당김음 하이햇이나 심벌즈, 스네어를 넣는 것이 특징이며 때때로 불규칙한 킥 드럼 패턴이 포함된다. UK 개러지는 스피드 개러지나 투스텝 같은 하위 장르들을 낳았고 2000년대 중반에는 베이스라인, '''그라임''', '''덥스텝'''을 포함한 여러 장르를 탄생시킨다. 2000년대 중반 UK 개러지가 쇠퇴하면서 UK 펑키가 등장한다.
'''UK Garage'''(UK 개러지), 줄여서 '''UKG'''는 1990년대 초중반 [[영국]]에서 시작된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의 한 장르이다. UK라는 수식어 답게 영국의 대중 음악이다. 이 장르는 [[하우스|개러지 하우스]]<ref>당시 하우스 음악 중에서 가장 디스코와 비슷했던 장르. US 개러지라고도 한다. 미국, 뉴저지, 뉴욕의 나이트 클럽 Paradise Garage가 기원이다.</ref>에서 뚜렷한 영감을 받았고 [[R&B]]나 [[정글 음악|정글]]이나 댄스팝의 요소도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드럼 패턴은 4/4 [[브레이크비트]]<ref>당김음. 정박자 비트의 정렬을 깬다. </ref>로 만들고 당김음 [[하이햇]]이나 [[심벌즈]], [[스네어 드럼|스네어]]를 넣는 것이 특징이며 때때로 불규칙한 킥 드럼<ref>드럼으로 치면 베이스 드럼</ref> 패턴이 포함된다. UK 개러지는 스피드 개러지나 투스텝 같은 하위 장르들을 낳았고 2000년대 중반에는 베이스라인, '''그라임''', '''덥스텝'''을 포함한 여러 장르를 탄생시킨다. 2000년대 중반 UK 개러지가 쇠퇴하면서 UK 펑키가 등장한다.


== 하위/파생 장르 ==
== 하위/파생 장르 ==
41번째 줄: 41번째 줄:
=== 퓨처 개러지 ===
=== 퓨처 개러지 ===
최근 덥스텝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나온 UK 개러지. 퓨처 개러지는 퓨처 소울 등을 포함한 [[퓨처 베이스]] 음악의 근간이 되었다. 이 분야에서는 Burial이 유명하다.
최근 덥스텝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나온 UK 개러지. 퓨처 개러지는 퓨처 소울 등을 포함한 [[퓨처 베이스]] 음악의 근간이 되었다. 이 분야에서는 Burial이 유명하다.
자세한 내용은 [[퓨처 베이스]] 참고.


== K-pop에서의 활용 ==
== K-pop에서의 활용 ==
49번째 줄: 51번째 줄:


{{각주}}
{{각주}}
{{번역된 문서|en|UK garage|1007304259|}}
{{번역된 문서|en|UK garage|1007304259|일부}}


[[분류:일렉트로니카]]
[[분류:일렉트로니카]]

2021년 9월 6일 (월) 00:57 판

UK Garage(UK 개러지), 줄여서 UKG는 1990년대 초중반 영국에서 시작된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의 한 장르이다. UK라는 수식어 답게 영국의 대중 음악이다. 이 장르는 개러지 하우스[1]에서 뚜렷한 영감을 받았고 R&B정글이나 댄스팝의 요소도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드럼 패턴은 4/4 브레이크비트[2]로 만들고 당김음 하이햇이나 심벌즈, 스네어를 넣는 것이 특징이며 때때로 불규칙한 킥 드럼[3] 패턴이 포함된다. UK 개러지는 스피드 개러지나 투스텝 같은 하위 장르들을 낳았고 2000년대 중반에는 베이스라인, 그라임, 덥스텝을 포함한 여러 장르를 탄생시킨다. 2000년대 중반 UK 개러지가 쇠퇴하면서 UK 펑키가 등장한다.

하위/파생 장르

UK 개러지

24 Hour Experience - Allnighter

Daniel J. Lewis - work it

M-Dubs - Over You (Vocal Mix)

스피드 개러지

Donna D - I Want Your Love

Sammy Virji - Shapes

Sneaker Pimps - Spin Spin Sugar
( Armands Dark Garage Mix )

4x4

4x4는 구식의 베이스라인만을 가리킨다. 2000년대 중반에 부흥한 새로운 스타일의 뉴스쿨(Nu school) 스피드 개러지이다.

DJ Influence - Shaker

T2 - Heartbroken

Sticky - I'm In Love (Wittyboy Remix)

베이스라인

4x4보다 더 넓은 범위를 가리킨다. 베이스라인은 현재 다른 장르와 짬뽕이 되면서 한 장르에 병합되고 있는데 바로 UK 베이스. 그냥 UK 베이스 들을 서술해도 상관없을 듯 하다.

투스텝

M-Dubs - Destiny

3 of 3 of kind - baby cakes

Shanks & Bigfoot - Sweet Like Chocolate

덥스텝

이 문서에서는 UK 덥스텝만을 서술합니다.

Ghost - Dance Hall EP[4]

Benny ill vs dj Hatcha - crazy intro

위의 곡들이 보여주듯 덥스텝의 뿌리는 투스텝이다.

Wookie, Zed Bias, Shy Cookie, El-B and Artwork와 같은 프로듀서들이 90년대 말에 만들어오던 다크 개러지는 그라임과 덥스텝의 기반이 되었다. 덥스텝은 그라임과 동시에 발전하면서 대부분 어두운 개러지의 형태로 변형되고 덥 레게(dub reggae)의 영향을 받는다.

그라임

미국의 힙합 문화와 영국의 UK 개러지, 덥스텝, 드럼 앤 베이스 등이 결합되면서 탄생한 영국식 힙합(?)이지만 힙합이 아니다. 영국 힙합은 따로 있고 실제 힙합과는 구조가 매우 다르다. 힙합이 아니라면 더 큰 범위의 랩 음악이라고 볼 수 있겠다. 하위 장르로는 8-bar, 다크사이드(Darkside), 에스키비트(Eskibeat), 리듬 앤 그라임, 시노 그라임(Sinogrime), 서블로우(Sublow) 등이 있다.

Champion - Turn Up Di Bass

Dizzee Rascal - Stop Dat

Damndef - Do It

UK 펑키

몇몇 UK 개러지/덥스텝/그라임/베이스라인 프로듀서는 UK 펑키로 주 장르를 바꿔왔는데 UK 펑키는 소울풀 하우스의 요소들과 UK 개러지의 요소들을 아프로 비트에서 나타나는 트라이벌 스타일 퍼커션을 사용하는 소카 음악과 섞어 하우스 음악의 템포에 맞추어 작곡한다. 일렉트로 하우스, 그라임의 영향도 받았다.

Wookie - The Hype (feat. Eliza Doolittle)

Katy B — Lights On feat. Ms. Dynamite

champion - tribal affair

퓨처 개러지

최근 덥스텝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나온 UK 개러지. 퓨처 개러지는 퓨처 소울 등을 포함한 퓨처 베이스 음악의 근간이 되었다. 이 분야에서는 Burial이 유명하다.

자세한 내용은 퓨처 베이스 참고.

K-pop에서의 활용

K-pop에서도 다양한 활용례가 있다.

외부링크

각주

  1. 당시 하우스 음악 중에서 가장 디스코와 비슷했던 장르. US 개러지라고도 한다. 미국, 뉴저지, 뉴욕의 나이트 클럽 Paradise Garage가 기원이다.
  2. 당김음. 정박자 비트의 정렬을 깬다.
  3. 드럼으로 치면 베이스 드럼
  4. 초창기 덥스텝/투스텝, 덥스텝의 시작점
Wikipedia-ico-48px.png이 문서에는 영어판 위키백과의 UK garage 문서 1007304259 판을 번역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