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냥: 두 판 사이의 차이

(분류를 다음과 같이 추가했습니다.)
15번째 줄: 15번째 줄:
'''지금 보편적으로 쓰이는 성냥.''' 성냥갑 외에 그 어떤곳에 긁어도 발화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의도치 않은 마찰로 인해 사고가 날 일이 없다.
'''지금 보편적으로 쓰이는 성냥.''' 성냥갑 외에 그 어떤곳에 긁어도 발화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의도치 않은 마찰로 인해 사고가 날 일이 없다.


[[분류:휴대용 도구]]
[[분류:불]]
{{각주}}
{{각주}}

2021년 8월 3일 (화) 14:59 판

길다란 나무막대 끝부분에 을 바르고 마찰로 점화하는 도구.

기원

성냥의 조상격 물건에 대한 기록은 1366년경 저술된 중국의 초경루라는 책에 묘사되어 있는데, 나무막대 끝에 인을 발라 점화하는 물건이라고 한다.

오늘날까지 쓰이는 성냥은 1826년, 존 워커라는 영국인에 의해 완성된 형태라고 한다. 차이점이라고는, 당대에는 백린을 사용했으나, 백린 성냥의 위험성과 불안정성을 이유로 현재는 적린 성냥으로 대체되었다.

종류

딱성냥(마찰성냥)

일반 성냥대가리 끝에 삼황화인(phosphorus sesquisulfide; P4S3)을 추가로 발라서 만들기 때문에 성냥대가리가 하얀 모자를 쓰고 있는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안전성냥과는 달리 아무 데나 긁으면 자동 점화가 되서 한때는 흔한 물건이었으나 지금은 거의 보기가 불가능해졌다.그러지 않아도 주머니에 넣어둔 성냥갑에 약간에 마찰이 일어나는 것으로도 불이 나 화상을 입는 사고가 빈번했었다.

안전성냥

지금 보편적으로 쓰이는 성냥. 성냥갑 외에 그 어떤곳에 긁어도 발화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의도치 않은 마찰로 인해 사고가 날 일이 없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