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인: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나무위키:(.*)\]\] +{{나무위키|\1}}))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조건 제한 도달
1번째 줄: 1번째 줄:
* 고려인은 [[고려]]시대의 인물 혹은 [[고구려]] 시대의 인물을 뜻하기도 합니다.
'''고려인'''(高麗人) 또는 '''고려 사람'''(러시아어 : Корё сарам(코료 사람))또는 '''한국계 러시아인'''은 [[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의 [[독립 국가 연합]] 전체에 거주하는 소수민족을 이르는 말이다. [[한반도]] 일대를 지배했던 옛 나라인 [[고려]]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 흔히 까레이스키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것은 형용사형이며 러시아에서는 '고려 사람'(Корё-сарам/코료사람)이라는 명칭을 쓴다.  
 
자신들을 고려인이라고 공식적으로 부르기 시작한 것은 서울올림픽을 전후하여 1988년 6월 전소고려인협회가 결성되면서부터였다. <ref> 출처 : [[위키백과:고려인]]</ref>
'''고려인'''(高麗人) 또는 '''고려 사람'''(러시아어 : Корё сарам(코료 사람))또는 '''한국계 러시아인'''은 [[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의 [[독립 국가 연합]] 전체에 거주하는 [[한민족]]을 이르는 말이다. [[한반도]] 일대를 지배했던 옛 나라인 [[고려]]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 흔히 까레이스키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것은 형용사형이며 러시아에서는 '고려 사람'(Корё-сарам/코료사람)이라는 명칭을 쓴다.  
 
한때는 한인, 고려인, 고려사람, 조선인, 조선사람, 유라시아 고려인, 소비에트 고려사람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가 러시아 혁명 세력들과의 접촉이 잦아지면서 한인을 일컫는 러시아어인 까레이츠(Кореец)와 연계되어 '고려 사람'이 널리 쓰이게 되었다. 자신들을 고려인이라고 공식적으로 부르기 시작한 것은 서울올림픽을 전후하여 1988년 6월 전소고려인협회가 결성되면서부터였다. <ref> 출처 : [[위키백과:고려인]]</ref>


== 유명한 고려인 ==
== 유명한 고려인 ==
15번째 줄: 12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한민족]]
 
[[분류:고려인| ]]
[[분류:고려인| ]]
[[분류:소수민족]]
[[분류:소수민족]]

2021년 5월 18일 (화) 07:38 판

고려인(高麗人) 또는 고려 사람(러시아어 : Корё сарам(코료 사람))또는 한국계 러시아인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의 독립 국가 연합 전체에 거주하는 소수민족을 이르는 말이다. 한반도 일대를 지배했던 옛 나라인 고려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 흔히 까레이스키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것은 형용사형이며 러시아에서는 '고려 사람'(Корё-сарам/코료사람)이라는 명칭을 쓴다. 자신들을 고려인이라고 공식적으로 부르기 시작한 것은 서울올림픽을 전후하여 1988년 6월 전소고려인협회가 결성되면서부터였다. [1]

유명한 고려인

  • 빅토르 초이(Виктор Цой, 1962~1990) - 가수, 싱어송라이터. 참조

참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