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NER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9번째 줄: 19번째 줄:
}}
}}
== 개요 ==
== 개요 ==
'''WINNER'''(위너)는 [[2013년#8월|2013년 8월]] 방영한 Mnet의 WIN : WHO IS NEXT라는 YG 신인 남자 아이돌 그룹 데뷔 서바이벌에서 우승하여  [[2014년]] [[8월 17일]] [[SBS 인기가요]]에서 데뷔한 [[YG 엔터테인먼트]] 소속의 아이돌이다. 소개 구호는 강승윤의 "Guess who's back?" 선창에  "We're WINNER! 안녕하세요 위너입니다!"라고 대답한다.
'''WINNER'''(위너)는 [[2013년#8월|2013년 8월]] 방영한 Mnet의 WIN : WHO IS NEXT라는 YG 신인 남자 아이돌 그룹 데뷔 서바이벌에서 우승하여  [[2014년]] [[8월 17일]] [[SBS 인기가요]]에서 데뷔한 [[YG 엔터테인먼트]] 소속의 아이돌이다. 소개 구호는 강승윤의 "Guess who's back?" 선창에  "We're WINNER! 안녕하세요 위너입니다!"라고 대답한다.  


=== WIN : WHO IS NEXT ===
=== WIN : WHO IS NEXT ===
[[2013년]] [[8월 23일]]부터 [[10월 25일]]까지 총 10부작으로 Mnet에서 방영된 [[YG 엔터테인먼트]] 신인 남자 아이돌 데뷔 서바이벌 WIN : WHO IS NEXT에서 Team A로 첫선을 보였다. WIN은 이전 빅뱅의 데뷔 리얼리티와는 달리 Team A와 Team B로 나누어져 패배한 팀은 해체하는 형식<ref>그러나 Team B도 [[YG 엔터테인먼트]]에서 [[iKON]]으로 [[2015년]] 데뷔하였다.</ref>의 서바이벌로 상당한 관심을 끌어모았다.
[[2013년]] [[8월 23일]]부터 [[10월 25일]]까지 총 10부작으로 Mnet에서 방영된 [[YG 엔터테인먼트]] 신인 남자 아이돌 데뷔 서바이벌 WIN : WHO IS NEXT에서 Team A로 첫선을 보였다. WIN은 이전 빅뱅의 데뷔 리얼리티와는 달리 Team A와 Team B로 나누어져 패배한 팀은 해체하는 형식<ref>그러나 Team B도 [[YG 엔터테인먼트]]에서 [[iKON]]으로 [[2015년]] 데뷔하였다.</ref>의 서바이벌로 상당한 관심을 끌어모았다.  
 
방영 당시 Team A는 [[슈퍼스타K2]]의 [[강승윤]]과 [[K팝스타]]의 [[이승훈 (WINNER)|이승훈]]으로 어느 정도 인지도와 주목을 받고 있는 상황이었으나, 패배하는 팀은 해체였고 Team B에 비해 평균 연령이 높았기 때문에 이번에 데뷔하지 못하면 마지막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처음 리더는 [[송민호]]였으나 방송 중간 다리 부상으로 인하여 [[강승윤]]으로 교체되었고, 파이널 매치에서 [[강승윤]]의 자작곡인 Go up으로 우승하게 되며 WINNER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방영 당시 Team A는 [[슈퍼스타K2]]의 [[강승윤]]과 [[K팝스타]]의 [[이승훈 (WINNER)|이승훈]]으로 어느 정도 인지도와 주목을 받고 있는 상황이었으나, 패배하는 팀은 해체였고 Team B에 비해 평균 연령이 높았기 때문에 이번에 데뷔하지 못하면 마지막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처음 리더는 [[송민호]]였으나 방송 중간 다리 부상으로 인하여 [[강승윤]]으로 교체되었고, 파이널 매치에서 [[강승윤]]의 자작곡인 Go up으로 우승하게 되며 WINNER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 데뷔기 ===
=== 데뷔기 ===
원래 예정대로라면 프로그램이 끝남과 동시에 우승자는 WINNER라는 이름으로 데뷔하였어야 하나 2개월 후인 [[2013년]] [[12월 13일]]부터 [[2014년]] [[2월 14일]]까지 WINNER TV로 데뷔와 앨범 준비 과정을 보여주었다. 사실 준비 과정보다는 위너가 [[빅뱅 (아이돌)|빅뱅]]의 일본 돔 투어 게스트로 섰기 때문에 일본을 배경으로 호텔에서 지내는 모습 등이 더 많이 나왔다. WINNER TV가 끝나자마자 데뷔한다는 계획은 역시나 또 미뤄지게 되고 데뷔도 하기 전에 NII, 환타, 아디다스의 광고 모델을 하게 되었다.
원래 예정대로라면 프로그램이 끝남과 동시에 우승자는 WINNER라는 이름으로 데뷔하였어야 하나 2개월 후인 [[2013년]] [[12월 13일]]부터 [[2014년]] [[2월 14일]]까지 WINNER TV로 데뷔와 앨범 준비 과정을 보여주었다. 사실 준비 과정보다는 위너가 [[빅뱅 (아이돌)|빅뱅]]의 일본 돔 투어 게스트로 섰기 때문에 일본을 배경으로 호텔에서 지내는 모습 등이 더 많이 나왔다. WINNER TV가 끝나자마자 데뷔한다는 계획은 역시나 또 미뤄지게 되고 데뷔도 하기 전에 NII, 환타, 아디다스의 광고 모델을 하게 되었다.  


[[2014년]] [[6월 11일]] 공개된 1st TEASER 'THE VISIOR'를 시작으로 한참 동안이나 컨셉 사진과 티저 영상 등을 공개하였고 결국 [[8월 2일]]에서야 음원과 뮤직비디오가 공개, [[8월 14일]] 정규 1집 앨범인 2014 S/S가 발매되었다.
[[2014년]] [[6월 11일]] 공개된 1st TEASER 'THE VISIOR'를 시작으로 한참 동안이나 컨셉 사진과 티저 영상 등을 공개하였고 결국 [[8월 2일]]에서야 음원과 뮤직비디오가 공개, [[8월 14일]] 정규 1집 앨범인 2014 S/S가 발매되었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