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feret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곡 정보
|노래이름 = Tiferet
|원어이름 =
|배경색  =
|글자색  =
|그림    = [[파일:xi world fragments.png|256px]]
|그림설명 =
|음악가  = xi
|음반    = [[World Fragments (음반)|World Fragments]]
|장르    =
|길이    =
|발매일  =
|레이블  = [[Diverse System]]
|작사가  =
|작곡가  = xi
|편곡  =
|프로듀서 =
}}
{{youtube|NioQ6Yl6hUE|||center|'''공식 음원 영상'''}}
{{youtube|NioQ6Yl6hUE|||center|'''공식 음원 영상'''}}
'''Tiferet'''는 xi의 음악 앨범 《World Fragments》의 3번 트랙으로, Sta와의 합작곡이다.<br />
'''Tiferet'''는 xi의 음악 앨범 《World Fragments》의 3번 트랙으로, Sta와의 합작곡이다.<br />
이름의 유래는 [[세피로트]]의 여섯 번째 세피라(Sefira) "티페레트(Tiferet)".
이름의 유래는 [[세피로트]]의 여섯 번째 세피라(Sefira) "티페레트(Tiferet)".
{{음악 서비스 연결 | 연결 = 음반
 
| Apple Music = 1121709519
| Spotify = 4ifnSopBZ45Lr1rSx1DqhY
| YouTube Music = OLAK5uy_nFR3LZ-QF_XHrXkRR-sPB1uYJzh1O4ie0
}}
== 리듬게임 수록 ==
== 리듬게임 수록 ==
=== Tone Sphere ===
=== Tone Sphere ===
34번째 줄: 14번째 줄:
|곡 제목=Tiferet
|곡 제목=Tiferet
|작곡가=xi + Sta
|작곡가=xi + Sta
|이미지=
  {{탭
  |버튼여백좁게 = y
  |제목너비고정=33.3%
  |여백 사용자지정=0rem
  |제목1=NORMAL/HARD/EXPERT
  |내용1=[[파일:tonesphere tiferet.png|x256px]]
  |제목2=SPHERICAL
  |내용2=[[파일:tonesphere tomatet.png|x256px]]
}}
|난이도 수=4
|난이도 수=4
|추가 정보=
|추가 정보=
50번째 줄: 20번째 줄:
|레벨=7.5
|레벨=7.5
|팩=Darksphere
|팩=Darksphere
|이미지=Arcaea_tiferet.jpg
|노트 수=590
|노트 수=590
|콤보 수=944
|콤보 수=944
57번째 줄: 28번째 줄:
|레벨=9.5
|레벨=9.5
|팩=Darksphere<sup>XXXL</sup>
|팩=Darksphere<sup>XXXL</sup>
|이미지=Arcaea_tiferet.jpg
|노트 수=701
|노트 수=701
|콤보 수=1232
|콤보 수=1232
64번째 줄: 36번째 줄:
|레벨=12
|레벨=12
|팩=Darksphere<sup>XXXL</sup>
|팩=Darksphere<sup>XXXL</sup>
|이미지=Arcaea_tiferet.jpg
|노트 수=1044
|노트 수=1044
|콤보 수=1322
|콤보 수=1322
71번째 줄: 44번째 줄:
|레벨=20
|레벨=20
|팩=Darksphere<sup>XXXL</sup>
|팩=Darksphere<sup>XXXL</sup>
|이미지=tonesphere tomanet.png
|노트 수=1436
|노트 수=1436
|콤보 수=2302
|콤보 수=2302
}}}}
}}}}
{{인용문2|난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고 첫 날 밤에 꽃을 심었어. 정말 낭만적이었지. |[http://bit192.info/labs/e/darksphere.html Tone Sphere 배경화면 페이지 中]||center}}
{{인용문2|난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고 첫 날 밤에 꽃을 심었어. 정말 낭만적이었지. |[http://bit192.info/labs/e/darksphere.html Tone Sphere 배경화면 페이지 中]||center}}
[[Linear Accelerator]], [[Conway's Child]], [[Supersymmetry]]와 함께 12레벨 패턴을 지닌 몇 안 되는 곡이다.<br />
[[Linear Accelerator]], [[Conway's Child]], [[Supersymmetry]]와 함께 12레벨 채보를 지닌 몇 안 되는 곡이다.<br />
매년 [[만우절|4월 1일]]에 "[[토마토|Tomat]]et"이라는 이름의 SPHERICAL 패턴이 등장한다.
매년 [[만우절|4월 1일]]에 "[[토마토|Tomat]]et"이라는 이름의 SPHERICAL 채보가 등장한다.
{{탭
{{탭
|제목1=EXPERT
|제목1=EXPERT
89번째 줄: 63번째 줄:


=== Arcaea ===
=== Arcaea ===
{{Arcaea/곡 정보
{{Arcaea 곡 정보
|이미지=Arcaea tiferet.png
|이미지=Arcaea tiferet.jpg
|배경 테마=Conflict
|테마(빛/대립)=대립
|작곡=xi + Sta
|작곡=xi + Sta
|BPM = 140?<ref>78 - 142</ref>
|BPM = 140?<ref>78 - 142</ref>
|PST 레벨=4
|PST 레벨=4
|PRS 레벨=7<sup>+</sup>
|PRS 레벨=7
|FTR 레벨=10
|FTR 레벨=10
|PST CC=4.5
|PST CC=4.5
|PRS CC=7.8
|PRS CC=7.5
|FTR CC=10.4
|FTR CC=10.4
|PST 노트 수=450
|PST 노트 수=450
104번째 줄: 78번째 줄:
|FTR 노트 수=1086
|FTR 노트 수=1086
|배경=Tiferet
|배경=Tiferet
|버전 = 1.8.0
|추가날짜 = 2018-10-07
|일러스트레이션 = -
|노트 디자인 = {{일본어=|夜浪}}[Spherical]
}}
}}
{{Arcaea/Tone Sphere}}
{{Arcaea/Tone Sphere}}<br />


[[Arcaea]] 1.8.0 업데이트에서 Tone Sphere 팩의 보스곡으로 수록되었다.
*보면 정수 변경 내역은 다음과 같다.
{{Arcaea/보면 정수 변경 내역
|PST 2=4.5
|PRS 2=7.7
|FTR 2=10.5
|BYD 2=
|PST 3=4.5
|PRS 3=7.5
|FTR 3=10.6
|BYD 3=
|PST 4=4.5
|PRS 4=7.5
|FTR 4=10.4
|BYD 4=
}}
{{-}}
{{-}}
----
{{탭
{{탭
|제목1=FTR
|제목1=FTR
|내용1=
|내용1=
{{youtube|MbYfpIpHYEc|||center|'''이론치 영상'''<br />[https://www.youtube.com/watch?v{{=}}5akFYiuWmho 박자 분석 영상 (악보 포함)]}}
{{youtube|MbYfpIpHYEc|||center|'''이론치 영상'''<br />[https://www.youtube.com/watch?v{{=}}5akFYiuWmho 박자 분석 영상 (악보 포함)]}}
초반과 후반 도입부에 등장하는 BPM 140 - 78 감속 트릴 구간, ±2 내외의 미세 BPM 변화, 16비트-24비트 혼합 트릴 등 전체적으로 클리어 난이도보다는 판정 난이도를 높이는 패턴이 주로 등장한다. 때문에 최후반부 24비트 트릴을 제외하면 Full Recall 난이도는 전체적으로 애매한 배치하고 약간의 고속 패턴으로 인해서 개인차가 갈리나, Pure Memory 이상의 판정작은 10레벨 중에서도 어려운 축에 속한다.
 
 
초반과 후반 도입부에 등장하는 BPM 140 - 78 감속 트릴 구간, ±2 내외의 미세 BPM 변화, 16비트-24비트 혼합 트릴 등 전체적으로 클리어 난이도보다는 판정 난이도를 높이는 패턴이 주로 등장한다. 때문에 최후반부 24비트 트릴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할 만한 10레벨 채보로 여겨지나, PURE MEMORY 이상의 판정작은 10레벨 중에서도 상당히 어려운 축에 속한다.
}}
}}
{{각주}}
{{각주}}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