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dy or Not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Ready or Not'''(레디 오어 낫)은 Vod Interactive(이하 보이드 인터렉티브)에서 개발한 택티컬 [[FPS 게임|FPS]]다.
'''Ready or Not'''(레디 오어 낫)은 Vod Interactive(이하 보이드 인터렉티브)에서 개발한 텍티컬 [[FPS 게임|FPS]]다.


== 개요 ==
== 개요 ==
14번째 줄: 14번째 줄:


== 에디션 ==
== 에디션 ==
스팀에서 레디 오어 낫 기본 게임(이하 스탠다드 에디션) 뿐 아니라 서포터 에디션도 구매 가능하다. 서포터 에디션은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개발진을 금전적으로 지원해주는 대신 약간의 보상을 얻을 수 있다.
스팀에서 레디 오어 낫 게임 뿐 아니라 서포터 에디션도 구매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FBI HRT의 멀티캠 스킨을 쓸 수 있고, 테스트 서버(일명 베타 버전)에서 앞으로 업데이트 될 컨텐츠를 미리 체험해볼 수 있다는 혜택이 있다.
 
스팀 기준으로 스탠다드 에디션과 서포터 에디션은 단품으로 구매할 경우 각각 43,000 원, 86,000 원(둘 다 합쳐서 129,000 원)이다. 서포터 에디션을 게임과 한꺼번에 구매할 경우 5% 할인된 가격인 122,550 원으로 구매할 수 있다.
 
== 도전과제(스팀) ==
2022년 1월 7일 기준으로 도전과제는 한 개 밖에 없다.
 
첫 체포 (First Arrest)<br />
 
시민이나 용의자를 체포하시오 (Arrest your first suspect or civilian)


== 장비 ==
== 장비 ==
45번째 줄: 34번째 줄:
|}
|}


최루 구슬을 발사하는 페인트볼 건이다. 물체에 맞으면 황색의 최루 가스가 터지면서 적을 무력화 할 수 있다. 근접한 공간에서 사용할 경우 아군에게도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 방독면을 착용하는 게 좋다.
최루 구슬을 발사하는 페인트볼 건이다. 물체에 맞으면 황색의 최루 가스가 터지면서 적을 무력화 할 수 있다. 여기서 아군이 방독면을 착용할 경우 아군을 쏴도 아무런 피해가 없다.


실탄이 아니라 페인트볼을 발사하기 때문에 탄속이 존재하고, 거리가 멀어지면 탄의 궤적이 아래로 내려가기 때문에 목표물과 거리가 있는 경우 약간 더 높여서 조준을 해야 한다. 장착 가능한 부착물로는 조명밖에 없다.
장착 가능한 부착물로는 조명밖에 없다.


사람들이 생각하는 돌격소총이 아닌 비살상 페인트볼 건이지만, 게임에선 돌격소총(Assault Rifle)으로 분류돼 있다.
사람들이 생각하는 돌격소총이 아닌 비살상 페인트볼 건이지만, 게임에선 돌격소총(Assault Rifle)으로 분류돼 있다.
63번째 줄: 52번째 줄:
|}
|}


DSArms에서 제작한 FN FAL 소총이다. 모든 살상 무기 중에서 반동이 가장 강하지만, 위력이 5.56 NATO탄에 비해 그닥 높지 않아서 인기가 별로다.
DSArms에서 제작한 FN FAL 소총이다. 모든 살상 무기 중에서 단발 위력이 가장 강하지만, 반동 또한 강하다.


====== M4A1 ======
====== M4A1 ======
77번째 줄: 66번째 줄:
|}
|}


게임을 시작했을 때 기본으로 설정되는 무기다. 모든 무기 중에서 5발이 더 들어가는 확장 탄알집을 유일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인기가 높다.
게임을 시작했을 때 기본으로 설정되는 무기다. 모든 무기 중에서 5발이 더 들어가는 확장 탄알집을 유일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인기가 높다. 가늠쇠가 조준경 레티클을 가린다는 점이 단점이다.
 
완벽무결한 총은 아니고, 가늠쇠가 조준경 레티클을 가린다는 점이 단점이 존재하는데, 사용하다 보면 계속 거슬린다.


====== SBR 300 ======
====== SBR 300 ======
93번째 줄: 80번째 줄:
|}
|}


5.56 NATO보다 약간 더 큰 .300 BLK탄을 쓰기 때문에 반동이 약간 더 강하다.
5.56 NATO보다 약간 더 큰 .300 BLK탄을 쓰기 때문에 반동과 위력이 약간 더 강하다.


.300 BLK 탄이라는 점 때문에 위력이 5.56 NATO탄보다 더 강하고, 소음기를 장착하면 엄청 조용할 것 같지만, 위력은 5.56 NATO 총기들보다 딱히 강하지도 않고, 총성이 그닥 조용하지도 않다. 장점이 딱히 없다.
.300 BLK 탄이라는 점 때문에 소음기를 장착하면 엄청 조용할 것 같지만, 시끄러운 건 똑같다. 그래도 집중해서 들으면 약간 더 조용하긴 하다.


====== SR-16 ======
====== SR-16 ======
156번째 줄: 143번째 줄:
|}
|}


.45 ACP 탄을 쓰기 때문에 위력이 강하고, 문을 관통할 수 있지만, 이에 비례하여 반동도 강하다.
.45 ACP 탄을 쓰기 때문에 위력이 강하지만, 이에 비례하여 반동도 강하다.


특이하게도 총기를 설정할 때 개머리판을 접거나 펼 수 있는데, 개머리판을 접으면 반동이 커지지만, 벽에 어느 정도 근접해도 사격이 가능하다.
특이하게도 총기를 설정할 때 개머리판을 접거나 펼 수 있는데, 개머리판을 접으면 반동이 커지지만, 벽에 어느 정도 근접해도 사격이 가능하다.
172번째 줄: 159번째 줄:
|}
|}


MP5A2보다 약간 더 연사력이 빠르고, IR 레이저를 장착할 수 있다.
MP5A2와 성능이 비슷하지만, IR 레이저를 장착할 수 있다.


===== 산탄총 =====
===== 산탄총 =====
179번째 줄: 166번째 줄:


====== M4 Super 90 ======
====== M4 Super 90 ======
반자동 방식이라서 연사속도가 빠르다


====== 870 CQB ======
====== 870 CQB ======
펌프액션 방식이라서 연사력이 느리지만, 한 방의 위력이 강하다.


==== 보조무기 ====
==== 보조무기 ====
===== 권총 =====
===== 권총 =====
크기가 작아서 좁은 곳에서 편하게 쓸 수 있고, 방패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총이지만, 위력이 소총보다 약하다.
====== G19 ======
오스트리아의 글락(Glock)에서 만든 권총이다. 기본으로 선택되는 권총인데, 권총 중에서 부착물이 많이 달리고, 장탄수도 큰 편이다.
====== M45A1 ======
.45 ACP 탄을 쓰기 때문에 9 mm 권총보다 위력이 약간 더 강하지만, 장탄수 또한 적다.
====== .357 Magnum ======
권총 중에 단발 위력이 가장 강하지만, 보유 탄약이 적고, 장착 가능한 부착물의 가짓수가 적다.
====== P92X ======
장점이 딱히 없다. G19을 쓰자.
====== Taser ======
보조무기 중에서 유일한 비살상 장비다. 사람에게 명중할 때 푸른색의 전기 이펙트가 발생하면서 무력화 된다.
====== 57 USG ======
장탄수가 권총 중에 가장 많고, 문을 관통할 수 있어서 인기가 높다.
====== USP45 ======
위의 M45A1 권총보다 장탄수와 지원되는 부착물의 가짓수가 더 많다.


{{각주}}
{{각주}}
[[분류:FPS]]
[[분류:FPS]]
[[분류:윈도우 게임]]
[[분류:윈도우 게임]]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