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A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 역사 ==
== 역사 ==
암호는 크게 대칭 암호화 방식과 비대칭 암호화 방식의 두 가지로 분류된다. 대칭 암호화 방식은 암호화와 복호화의 난이도가 동일한 것을 의미하며, 비대칭 암호화 방식은 복호화의 난이도가 암호화의 난이도보다 어려운 것을 의미한다. 좀 더 자세히 말하면, 대칭 암호화 방식은 암호화를 할 수 있으면 쉽게 복호화를 할 수 있고, 반대로 복호화를 할 수 있으면 쉽게 암호화를 할 수 있는 암호 체계를 말한다. 비대칭 암호화 방식은 암호화는 쉽게 해도 복호화는 어려운 암호 체계.
암호는 크게 대칭 암호화 방식과 비대칭 암호화 방식의 2가지로 분류된다. 대칭 암호화 방식은 암호화와 복호화의 난이도가 동일한 것을 의미하며, 비대칭 암호화 방식은 복호화의 난이도가 암호화의 난이도보다 어려운 것을 의미한다. 좀 더 자세히 말하면, 대칭 암호화 방식은 암호화를 할 수 있으면 쉽게 복호화를 할 수 있고, 반대로 복호화를 할 수 있으면 쉽게 암호화를 할 수 있는 암호 체계를 말한다. 비대칭 암호화 방식은 암호화는 쉽게 해도 복호화는 어려운 암호 체계.


RSA 이전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ref>정확히 말하면 1973년부터 존재는 했다. 자세한 건 후술.</ref> 대칭 암호화 방식이 대중적으로 사용되었는데, 이 대칭 암호화 방식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로 급속도로 성장한 암호학의 기준에서 보면 뚫기가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당장 독일군이 절대 뚫지 못할거라 자부했던 [[에니그마]]도 과정이 조금 복잡했을 뿐 대칭 암호화 체계였으며, 결국 연합군 측의 [[수학자]]들에게 뚫려 독일군이 전쟁에서 신나게 털리게 되는 원인이 된다.<ref>사실 에니그마는 처음에 언어학자들을 갈아서 뚫으려고 했으나, {{ㅊ|문과}} 그들의 암호학 지식의 한계 때문에 수학자를 고용하게 되었다는 일화가 있다. 하지만 해독에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은 연합군이 독일군 잠수함에서 발견한 에니그마 기계(...).</ref> 2차 대전에서 에니그마보다도 훨씬 더 원시적인 암호표를 사용했던 일본군 역시 연합군이 자신들의 암호를 뚫지 못할 것이라 자부했으나, 에니그마보다도 훨씬 더 전에 뚫려 일본군 또한 신나게 털리게 되는 원인이 된다(...).
RSA 이전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ref>정확히 말하면 1973년부터 존재는 했다. 자세한건 후술.</ref> 대칭 암호화 방식이 대중적으로 사용되었는데, 이 대칭 암호화 방식은 [[제 2차 세계대전]] 이후로 급속도로 성장한 암호학의 기준에서 보면 뚫기가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당장 독일군이 절대 뚫지 못할거라 자부했던 [[에니그마]]도 과정이 조금 복잡했을 뿐 대칭 암호화 체계였으며, 결국 연합군 측의 [[수학자]]들에게 뚫려 독일군이 전쟁에서 신나게 털리게 되는 원인이 된다.<ref>사실 에니그마는 처음에 언어학자들을 갈아서 뚫으려고 했으나, {{ㅊ|문과}} 그들의 암호학 지식의 한계 때문에 수학자를 고용하게 되었다는 일화가 있다. 하지만 해독에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은 연합군이 독일군 잠수함에서 발견한 에니그마 기계(...).</ref> 2차 대전에서 에니그마보다도 훨씬 더 원시적인 암호표를 사용했던 일본군 역시 연합군이 자신들의 암호를 뚫지 못할 것이라 자부했으나, 에니그마보다도 훨씬 더 전에 뚫려 일본군 또한 신나게 털리게 되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시대는 지나 기술은 발전하여 전자 기기의 시대가 눈 앞에 비치고 있었고, 그 시대에 맞춰 안전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었다. 그 동안 많은 수학자들은 추상적인 방법으로 비대칭 암호화 방식에 관한 논문을 제시하고 있었으며, 그 중 하나는 1976년에 Whitfield Diffie와 Martin Hellman이 쓴 논문이었다. 이 논문은 비대칭 암호화의 구체적인 방식을 제시하진 않았지만, [[정수론]]을 기반으로 [[모듈러 산술]]과 [[소수]]를 응용한 공개키-비밀키 방식을 구상하였다.<ref>궁금한 사람은 [https://www-ee.stanford.edu/~hellman/publications/24.pdf 여기서] 논문을 볼 수 있다 (영어).</ref> 한편, [[MIT]]의 컴퓨터 과학자 Ron Rivest와 Adi Shamir, 그리고 수학자 Leonard Adleman은 수년간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연구하고 있었다. Rivest와 Shamir가 암호화 방식을 제시하면 Adleman이 수학적으로 취약점을 찾는 방식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그 노력의 결과는 '''수를 곱하는 것은 간단하지만 그걸 다시 [[소인수 분해|분해]]하는 것은 어렵다'''는 아주 간단한 수학적 사실을 기반으로한 암호 체계를 완성시키는 걸로 나타났다. 그들은 이 암호 체계의 이름을 자신들의 성을 딴 '''RSA'''로 지었고, 특허를 출원하게 된다.<ref>특허는 [https://www.google.com/patents/US4405829 여기서] 볼 수 있다 (영어).</ref>
그리고 시대는 지나 기술은 발전하여 전자 기기의 시대가 눈 앞에 비치고 있었고, 그 시대에 맞춰 안전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었다. 그동한 많은 수학자들은 추상적인 방법으로 비대칭 암호화 방식에 관한 논문을 제시하고 있었으며, 그 중 하나는 1976년에 Whitfield Diffie와 Martin Hellman이 쓴 논문이었다. 이 논문은 비대칭 암호화의 구체적인 방식을 제시하진 않았지만, [[정수론]]을 기반으로 [[모듈러 산술]]과 [[소수]]를 응용한 공개키-비밀키 방식을 구상하였다.<ref>궁금한 사람은 [https://www-ee.stanford.edu/~hellman/publications/24.pdf 여기서] 논문을 볼 수 있다 (영어).</ref> 한편, [[MIT]]의 컴퓨터 과학자 Ron Rivest와 Adi Shamir, 그리고 수학자 Leonard Adleman은 수년간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연구하고 있었다. Rivest와 Shamir가 암호화 방식을 제시하면 Adleman이 수학적으로 취약점을 찾는 방식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그 노력의 결과는 '''수를 곱하는 것은 간단하지만 그걸 다시 [[소인수 분해|분해]]하는 것은 어렵다'''는 아주 간단한 수학적 사실을 기반으로한 암호 체계를 완성시키는 걸로 나타났다. 그들은 이 암호 체계의 이름을 자신들의 성을 딴 '''RSA'''로 지었고, 특허를 출원하게 된다.<ref>특허는 [https://www.google.com/patents/US4405829 여기서] 볼 수 있다 (영어).</ref>


그런데 1997년에 새로운 사실이 발표되는데, 1973년에 이미 영국의 수학자 클리포드 콕스(Clifford Cocks)가 RSA와 동일한 암호 체계를 만들었다는 것. 기밀 유지 때문에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것일뿐(...). 다만 당시에는 그 연산을 감당할만한 연산 능력을 지닌 컴퓨터가 너무 비쌌기 때문에 그냥 수학적인 사실로만 남았다. {{ㅊ|적어도 공개적으로는...}}
그런데 1997년에 새로운 사실이 발표되는데, 1973년에 이미 영국의 수학자 Clifford Cocks가 RSA와 동일한 암호 체계를 만들었다는 것. 기밀 유지 때문에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것일 뿐(...). 다만 당시에는 그 연산을 감당할만한 연산 능력을 지닌 컴퓨터가 너무 비쌌기 때문에 그냥 수학적인 사실로만 남았다. {{ㅊ|적어도 공개적으로는...}}


어쨌든 이 RSA는 그 안전성이 인정받아 지금 이 순간에도 수많은 웹 사이트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양자 컴퓨터]]의 개발이 완료된다든가 소인수 분해의 새로운 알고리즘이 발견된다든가 하는 이변이 없으면 계속해서 쓰일 것이다.
어쨌든 이 RSA는 그 안전성이 인정받아 지금 이순간에도 수많은 웹사이트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양자 컴퓨터]]의 개발이 완료된다든가 소인수 분해의 새로운 알고리즘이 발견된다든가 하는 이변이 없으면 계속해서 쓰일 것이다.


== 과정 ==
== 과정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