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co-8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소프트웨어 정보
{{소프트웨어 정보
|이름    = 피코-8
|이름    = 피코-8
|원어이름 = PICO-8
|원어이름 = pico-8
|배경색  =  
|배경색  =  
|글자색  =  
|글자색  =  
11번째 줄: 11번째 줄:
|종류    = [[게임 엔진]], [[에뮬레이터|가상 머신]]<br/>fantasy console
|종류    = [[게임 엔진]], [[에뮬레이터|가상 머신]]<br/>fantasy console
|출시    = [[2015년]]
|출시    = [[2015년]]
|최신버전 = 0.2.6</br>[https://www.lexaloffle.com/bbs/?tid=140421 2024.02.28]
|최신버전 = 0.2.5g</br>[https://www.lexaloffle.com/bbs/?tid=51465 2023.02.06]
|최신출시 =  
|최신출시 =  
|미리보기 =  
|미리보기 =  
27번째 줄: 27번째 줄:
|비고    =  
|비고    =  
}}
}}
PICO8는 1980년대 8비트 시스템을 모방한 가상의 [[콘솔]]이며 동시에 [[게임 엔진]]이다. 음악, 음향 제작, [[스프라이트]]와 맵 에디터, [[lua]]기반의 코드를 작성할 수 있는 코드 에디터가 포함되어 있다. 게임 개발에 특화되어 있지만 게임 엔진보다 컴퓨터에 가깝다.
pico-8는 1980년대 8비트 시스템을 모방한 가상의 [[콘솔]]이며 동시에 [[게임 엔진]]이다. 음악, 음향 제작, [[스프라이트]]와 맵 에디터, [[lua]]기반의 코드를 작성할 수 있는 코드 에디터가 포함되어 있다. 게임 개발에 특화되어 있지만 게임 엔진보다 컴퓨터에 가깝다.


본인이 만든 게임을 [[윈도우]], [[macOS]], [[리눅스]] 실행파일로 내보내거나 [[HTML5]] 웹 게임용으로 추출해 자신의 홈페이지, 인디게임 플랫폼, [https://www.lexaloffle.com/bbs/ 공식 BBS]에 올릴 수 있다. 공식 [[Bulletin Board System|BBS]]에 업로드할 경우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다면 PICO8을 통해서나 BBS페이지를 통해서 본인이 업로드한 게임 포함, 전 세계의 PICO8 개발자들이 올려놓은 게임을 무료로 어디서든지 즐길 수가 있다.
본인이 만든 게임을 [[윈도우]], [[macOS]], [[리눅스]] 실행파일로 내보내거나 [[HTML5]] 웹 게임용으로 추출해 자신의 홈페이지, 인디게임 플랫폼, [https://www.lexaloffle.com/bbs/ 공식 BBS]에 올릴 수 있다. 공식 [[Bulletin Board System|BBS]]에 업로드할 경우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다면 pico-8을 통해서나 BBS페이지를 통해서 본인이 업로드한 게임 포함, 전 세계의 pico-8 개발자들이 올려놓은 게임을 무료로 어디서든지 즐길 수가 있다.


무료로 개발할 수 있는 [https://www.pico-8-edu.com/ 교육용 에디션]이 존재한다.<ref>웹 환경에서만 가능하며, 모바일 환경에선 이용이 불가능하다. 일부기능이 제한되어있다.</ref>
무료로 개발할 수 있는 [https://www.pico-8-edu.com/ 교육용 에디션]이 존재한다.<ref>웹 환경에서만 가능하며, 모바일 환경에선 이용이 불가능하다. 일부기능이 제한되어있다.</ref>
146번째 줄: 146번째 줄:
=== CONSOLE ===
=== CONSOLE ===
[[파일:Pico-8_console.gif]]</br>
[[파일:Pico-8_console.gif]]</br>
PICO8을 실행하면 무조건 보게 되는 부팅업화면<ref>PICO8 특유의 [[칩튠]]사운드가 재생되는데 음소거로 실행시 소리대신 화면에 음표를 띄우는 [[이스터에그]]가 있다</ref> 뒤에 나오는 콘솔화면이다.</br>'''HELP''' 명령어로 기본적인 명령어와 조작법들을 볼 수 있다. 파일을 저장하거나 불러오기, 불러온 파일을 실행하거나 편집하기 위해 에디터로 넘어갈 수 있다. 실행하자마자 '''SAVE''' 부터 입력하면 <code>UNTITLED.P8</code>라는 파일이 생성되는데 이 '''.p8'''파일이 PICO8의 카트리지 형식중 하나이며 게임데이터를 담고 있는 텍스트 파일이다.</br>PICO8에는 소문자가 존재하지 않아<ref>정확히는 존재는 한다. 대소문자 구분이 있는 파일을 불러올때나 외부도구로 편집된 파일을 불러올때 소문자 출력하는걸 볼수있다. 다만 소문자가 존재하는 코드는 작동이 안되며 PICO8로 통해서도 정상적인 방법으로 소문자를 입력하는게 불가능하다.</ref> 모든 문자를 대문자로 표현한다. 만약 평범하게 대문자를 입력할시 특수문자가 입력된다.<ref>예) L,D,U,R => ←,↓,↑,→</ref></br>
pico-8을 실행하면 무조건 보게 되는 부팅업화면<ref>pico8 특유의 [[칩튠]]사운드가 재생되는데 음소거로 실행시 소리대신 화면에 음표를 띄우는 [[이스터에그]]가 있다</ref> 뒤에 나오는 콘솔화면이다.</br>'''HELP''' 명령어로 기본적인 명령어와 조작법들을 볼 수 있다. 파일을 저장하거나 불러오기, 불러온 파일을 실행하거나 편집하기 위해 에디터로 넘어갈 수 있다.</br>pico8에는 소문자가 존재하지 않아<ref>정확히는 존재는 한다. 대소문자 구분이 있는 파일을 불러올때나 외부도구로 편집된 파일을 불러올때 소문자 출력하는걸 볼수있다. 다만 소문자가 존재하는 코드는 작동이 안되며 pico-8로 통해서도 정상적인 방법으로 소문자를 입력하는게 불가능하다.</ref> 모든 문자를 대문자로 표현한다. 만약 평범하게 대문자를 입력할시 특수문자가 입력된다.<ref>예) L,D,U,R => ←,↓,↑,→</ref></br>


만들어낸 게임을 실행파일로 추출하거나 그래픽, 음향 리소스를 추출할수있다.
만들어낸 게임을 실행파일로 추출하거나 그래픽, 음향 리소스를 추출할수있다.
161번째 줄: 161번째 줄:


*; <code>IMPORT -L [파일 이름].PNG</code>
*; <code>IMPORT -L [파일 이름].PNG</code>
*: .png파일 카트리지의 라벨 데이터를 덮어씌운다. 해당 명령어로 생성된 라벨 데이터는 .p8에선 <code>__label__</code>로 구분한다.</br>자세한 내용은 <code>SAVE [파일 이름].P8.PNG</code>에서 서술한다.
*: .png파일 카트리지의 데이터를 덮어씌운다. 해당 명령어로 생성된 라벨 데이터는 .p8에선 <code>__label__</code>로 구분한다.</br>자세한 내용은 <code>SAVE [파일 이름].P8.PNG</code>에서 서술한다.


*; <code>EXPORT [파일 이름].WAV</code>
*; <code>EXPORT [파일 이름].WAV</code>
170번째 줄: 170번째 줄:


*; <code>SAVE [파일 이름].P8.PNG</code>
*; <code>SAVE [파일 이름].P8.PNG</code>
*:pico-8의 카트리지 형식중 하나인 .png파일로 인코딩된 32kb크기의 데이터파일로 추출한다.</br>아무것도 안하고 명령어을 입력시 [[Pico-8#갤러리|갤러리]]의 예제파일과 다르게 라벨 이미지나 나오지 않는다. <code>IMPORT -L [파일 이름].PNG</code>로 라벨 이미지를 넣는게 가능하며 128 * 128픽셀 크기의 이미지 파일만 받아들인다.</br>보통은 인게임 스크린샷을 사용하는데 현재화면을 라벨이미지로 만들어주는 {{키|F7}}단축키로 아주 간단하게 할수있다. 아니면 외부 픽셀아트툴을 사용해 처음부터 그리는 방법도 있다.</br>이렇게 추출된 .png파일은 .p8파일처럼 사용이 가능하다.
*:pico-8의 카트리지 형식중 하나인 .png파일로 인코딩된 32kb크기의 데이터파일로 추출한다.</br>아무것도 안하고 명령어을 입력시 이후 후술할 예제파일처럼 라벨 이미지나 나오지 않는다. <code>IMPORT -L [파일 이름].PNG</code>로 라벨 이미지를 넣는게 가능하며 128 * 128픽셀 크기의 이미지 파일만 받아들인다.</br>보통은 인게임 스크린샷을 사용하는데 스샷 단축키인 {{키|F7}}으로 인게임 화면을 찍어낸다음 외부 프로그램으로 해상도를 줄여놓거나 아에 스크린샷 찍기전에 설정파일<ref>.../pico-8/config.txt</ref>에서 스샷 해상도를 128*128크기로 맞춰놓는 방법도 있다. 아니면 외부 픽셀아트툴을 사용해 처음부터 그리는 방법도 있다.</br>이렇게 추출된 .png파일은 .p8파일처럼 사용이 가능하다.


*; <code>EXPORT [게임 이름].HTML</code>
*; <code>EXPORT [게임 이름].HTML</code>
187번째 줄: 187번째 줄:
[[OSX]] /Users/Yourname/Library/Application Support/pico-8/carts</br>
[[OSX]] /Users/Yourname/Library/Application Support/pico-8/carts</br>
[[리눅스]] ~/.lexaloffle/pico-8/carts</br>
[[리눅스]] ~/.lexaloffle/pico-8/carts</br>


=== CODE ===
=== CODE ===
242번째 줄: 243번째 줄:
[[파일:Pico-8_spr_example_result.png]]</br>
[[파일:Pico-8_spr_example_result.png]]</br>
짜잔! 16*16크기의 [[리디버그]]와 8*8크기의 [[리브라]]의 [[도트|픽셀아트]]가 나왔다!</br>
짜잔! 16*16크기의 [[리디버그]]와 8*8크기의 [[리브라]]의 [[도트|픽셀아트]]가 나왔다!</br>
[[Pico-8#갤러리|갤러리]]에서 해당 예제파일을 받아 실행하거나 코드를 수정할 수 있다. 만약 PICO8가 없다면 위에서 언급한 [https://www.pico-8-edu.com/ 교육용 에디션]으로 통해서도 가능하다.<ref>실행하고자 하는 파일을 웹페이지에 그래그해서 넣으면 해당 파일을 불러온다</ref>
[[Pico-8#갤러리|갤러리]]에서 해당 예제파일을 받아 실행하거나 코드를 수정할 수 있다. 만약 pico-8가 없다면 위에서 언급한 [https://www.pico-8-edu.com/ 교육용 에디션]으로 통해서도 가능하다.<ref>실행하고자 하는 파일을 웹페이지에 그래그해서 넣으면 해당 파일을 불러온다</ref>




해당화면에서 작성된 데이터는 .p8파일에서 <code>__gfx__</code>로 구분한다.
해당화면에서 작성된 데이터는 .p8파일에서 <code>__gfx__</code>로 구분한다.




295번째 줄: 295번째 줄:
|}
|}


PICO8의 제한된 사양에 따른 단순함이 [https://mattmakesgames.itch.io/celesteclassic celeste classic]을 시작으로 사람들에게 알려져 오히려 다양한 기능들이 없어 생긴 단순함, 제한된 사양이 불러오는 개발자<del>변태</del>들의 도전욕구 자극, 외의 기타 요인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있다.
pico-8의 제한된 사양에 따른 단순함이 [https://mattmakesgames.itch.io/celesteclassic celeste classic]을 시작으로 사람들에게 알려져 오히려 다양한 기능들이 없어 생긴 단순함, 제한된 사양이 불러오는 개발자<del>변태</del>들의 도전욕구 자극, 외의 기타 요인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있다.


PICO8의 개발자인 zep의 제안으로 Fantasy Video Game Console이라는 용어가 생겨났으며<ref>줄여서 Fantasy Console라고도 부른다</ref> 이는 실존하는 구식 기기의 에뮬레이터 없이 고전 게임, 개발 경험을 제공하는 가상의 컴퓨터를 칭하는 단어가 되었다.</br>
pico-8의 개발자인 zep의 제안으로 fantasy video game console이라는 용어가 생겨났으며<ref>줄여서 fantasy console라고도 부른다</ref> 이는 실존하는 구식 기기의 에뮬레이터 없이 고전 게임, 개발 경험을 제공하는 가상의 컴퓨터를 칭하는 단어가 되었다.</br>
상위 개념으로 개발자 zep이 출시한 3번째이자 마지막 가상컴퓨터가 될 [https://www.lexaloffle.com/picotron.php?page=faq picotorn]에서 언급된 Fantasy Workstation 이 있다.
상위 개념으로 현재 zep이 개발중인 3번째이자 마지막 가상컴퓨터가 될 [https://www.lexaloffle.com/picotron.php?page=faq picotorn]에서 언급된 Fantasy workstation 이 있다.


PICO8 외의 판타지 콘솔로는 대표적으로 [[tic-80]]와 [[Pixel Vision 8]]이 있다.
pico-8 외의 판타지 콘솔로는 대표적으로 [[tic-80]]와 [[Pixel Vision 8]]이 있다.


게임개발에 특화되어있지 사실상 컴퓨터라서 게임뿐만 아닌 [https://johanpeitz.itch.io/picocad 3D CAD]나 [https://luchak.itch.io/rp8 뮤직 시퀀서], [https://christopherdrum.itch.io/picocalc 스프레드시트]같은 걸 만드는 사람들이 있다. 그래서 그런지 게임개발할때 필요한 외부도구들을 PICO8로 직접 구현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이걸로 게임뿐만이 아닌 [https://johanpeitz.itch.io/picocad 3D CAD]나 [https://luchak.itch.io/rp8 뮤직 시퀀서], [https://christopherdrum.itch.io/picocalc 스프레드시트]같은 걸 만드는 사람들이 있다.


실존하지 않는 기기의 가상머신이라는 컨셉이다 보니 각종 게임콘솔에 이식해 보는 시도가 많은 편이다. [[닌텐도]]와 같은 대기업의 콘솔기기에다 이식해보거나 리눅스 기반 휴대용 게임기<ref>특히 [[라즈베리 파이]]기반 기기가 자주 사용된다.</ref>, 아에 PICO8만을 위해 홈브루 게임콘솔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br>[https://github.com/jtothebell/fake-08 fake-08], [https://github.com/Jakz/retro8 retro8]이라는 PICO8의 에뮬레이터가 존재한다.<ref>pico8의 카트리지 형식인 .p8, .png 파일 재생외의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다.</ref><ref>이 둘은 [[RetroArch]]의 코어로도 쓸수있다.</ref><del>하지만 에뮬레이션 정확도가 그리 좋은편이 아니다.</del>
실존하지 않는 기기의 가상머신이라는 컨셉이다 보니 각종 게임콘솔에 이식해 보는 시도가 많은 편이다. [[닌텐도]]와 같은 대기업의 콘솔기기에다 이식해보거나 리눅스 기반 휴대용 게임기<ref>특히 [[라즈베리 파이]]기반 기기가 자주 사용된다.</ref>, 아에 pico-8만을 위해 홈브루 게임콘솔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br>[https://github.com/jtothebell/fake-08 fake-08], [https://github.com/Jakz/retro8 retro8]이라는 pico-8의 에뮬레이터가 존재한다.<ref>pico8의 카트리지 형식인 .p8, .png 파일 재생외의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다.</ref><ref>이 둘은 [[RetroArch]]의 코어로도 쓸수있다.</ref><del>하지만 에뮬레이션 정확도가 그리 좋은편이 아니다.</del>


PICO8의 기본 컬러팔레트와 글꼴의 [[라이선스]]는 [[CC0]][https://www.lexaloffle.com/pico-8.php?page=faq 이다.]
pico-8의 기본 컬러팔레트와 글꼴의 [[라이선스]]는 [[CC0]][https://www.lexaloffle.com/pico-8.php?page=faq 이다.]


[[인디 게임]] 플랫폼 [[itch.io]]에서 많이 사용된 [[게임 엔진]] TOP 10안에 [https://itch.io/game-development/engines/most-projects 들어간다.]
[[인디 게임]] 플랫폼 [[itch.io]]에서 많이 사용된 [[게임 엔진]] TOP 10안에 [https://itch.io/game-development/engines/most-projects 들어간다.]


== 관련 사이트 ==
== 관련 사이트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