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S-01K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광학 기기]]
[[분류:광학장비]]
  [[파일:ROK-SWC PAS-01K 1.jpg]]<br />
  [[파일:PAS-01KTWS_1.jpg]]<br />
  <big>PAS-01K 열영상조준경을 조준중인 [[특수전사령부|특전사]] 대원.</big>
  <big>PAS-01K 열영상조준경을 조준중인 특전사 대원.</big>


= 개요 =
= 개요 =
PAS-01K는 이오시스템에서 1999년에 개발하였고 2001년에 생산한 열영상조준경이다. <ref>[http://www.eosystem.com/company/history2.html]</ref> 감시, 정찰무기 체계 내 전자광학장비계통의 열상감시장비에 속해있으며 <ref>2016년도 방산업계 실태조사표(체계업체 대상)</ref> 가격은 1800만원대에서<ref>국방과 기술 (2001.06) - 개인화기 조준경 개발방향 (2)</ref> 2000만원대 정도이다. <ref>[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44&num=82809]</ref> 이 열영상조준경은 K-2와 같은 개인화기에 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열영상조준경은 주간이든, 야간이든간에 원거리에 있는 적을 손쉽게 관측할 수 있게 만들어주며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군용 배터리, 6-8 Vdc 정도의 차량 전력 (Vehicle power) 등의 전원을 사용한다. 건전지 및 외부 전원으로 작동하는 opto-electronic 시스템의 TWS는 작은 소음과 적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게 만든다. <ref>[https://mulja.en.ec21.com/TWS_Thermal_Weapon_Sight--339668_340335.html]</ref>
PAS-01K는 이오시스템에서 1999년에 개발하였고 2001년에 생산한 열영상조준경이다. <ref>[http://www.eosystem.com/company/history2.html]</ref> 감시, 정찰무기 체계 내 전자광학장비계통의 열상감시장비에 속해있으며 <ref>2016년도 방산업계 실태조사표(체계업체 대상)</ref> 가격은 1800만원대에서<ref>국방과 기술 (2001.06) - 개인화기 조준경 개발방향 (2)</ref> 2000만원 정도이다. <ref>[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44&num=82809]</ref> 이 열영상조준경은 개인화기에 부착하여 운용한다. 주간이든, 야간이든간에 원거리에 있는 적을 손쉽게 관측할 수 있게 만들어주며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군용 배터리, 6-8 Vdc 정도의 차량 전력 (Vehicle power) 등의 전원을 사용한다. 건전지 및 외부 전원으로 작동하는 opto-electronic 시스템의 TWS는 작은 소음과 적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ref>[https://mulja.en.ec21.com/TWS_Thermal_Weapon_Sight--339668_340335.html]</ref>


PAS-01K와 같은 열영상장비로는 TAS-502, TAS-970K가 있으며 <ref>국방전력발전업무훈령, 개정 훈령 제 1896호 (2016.03.28)</ref> PAS-01K가 개인화기주야조준경() 이라고 한다.
PAS-01K와 같은 열영상장비로는 TAS-502, TAS-970K가 있으며 <ref>국방전력발전업무훈령, 개정 훈령 제 1896호 (2016.03.28)</ref> 확인되지 않은 정보에 따르면 PAS-01K가 개인화기주야조준경(|) 이라고 한다.


= 특징 =
= 특징 =
[[파일:PAS-01K 2.jpg]]<br />
[[파일:PAS-01K_2.jpg]]<br />


PAS-01K는 열영상조준경이기 때문에 야간이나 연막 뒤에 숨은 물체를 관측 및 식별 가능하다.<br />
PAS-01K는 열영상조준경이기 때문에 야간이나 연막 뒤에 숨은 물체를 관측 및 식별 가능하다.
 
어떻게 야간에도 열영상장비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려면 먼저 열영상장비의 원리를 간단하게 알아야한다. 열영상장비는 시계 내 표적의 온도차에서 발생하는 복사에너지의(적외선 에너지) 차이를 검출, 전기적 신호처리를 하여 영상화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탐지방식은 광량과는 거의 무관하므로 주, 야간 겸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빛이 없거나 무월광 상태와 같이 광원이 없거나 매우 적은 상황에서의 관측이 용이하다. <ref>국방과 기술 (1994.06) - 휴대용 열상장비의 발전추세</ref> <ref>국방과 기술 (2001.05) - 개인화기 조준경 개발방향 (1)</ref><br />
 
열영상장비는 먼지, 안개와 같은 주변환경에 대한 영향을 상증폭장비보다 덜 받는다는 장점이 있다.<br />
예를 들어 열영상조준경인 PAS-01K와 PAS-13은 2001년도 당시 운용시험능력평가중 주간 기상조건별 탐지능력 시험에서 연막(일반연막)에 가려진 인원에 대한 탐지능력은 육안탐지나 상증폭장비를 이용한 탐지보다 월등한 탐지능력을 기록되었다. 인원이 연막(일반연막)에 가려진 상황에서의 탐지방법 중에서 육안탐지를 포함하여 AN/PVS-4와 같은 상증폭 장비를 이용한 탐지 시도들은 연막에 가려진 50m 앞의 표적도 식별할 수가 없었으며 모든 관측 시도는 전부 다 탐지 불가를 기록하였다. 하지만 열영상조준경인 PAS-01K와 PAS-13은 해당 시험에서 유일하게 연막에 가려진 인원을 탐지하는데 성공하였으며 50~300m 거리에서 식별, 400m 거리에서 인지 그리고 500~1,200m 거리에서 탐지가 가능하였다고 기록되어있다. <ref>국방과 기술 (1994.06) - 휴대용 열상장비의 발전추세</ref> <ref>국방과 기술 (2001.06) - 개인화기 조준경 개발방향 (2)</ref>


[[파일:PAS-01K 3.jpg]]<br />
[[파일:PAS-01K 3.jpg]]<br />
[[파일:PAS-01K 4.jpg]]
[[파일:PAS-01K 4.jpg]]


또한 총에 부착된 PAS-01K의 조준장면을 전시경과의 조합을 이용해 몸을 내밀지 않아도 조준사격이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운용 방식은 한국군 내에선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총에 부착된 PAS-01K의 조준장면을 전시경과의 조합을 이용해 몸을 내밀지 않아도 조준사격이 가능하다.


[[파일:PAS-01K 5.jpg]]<br />
[[파일:PAS-01K_5.jpg]]<br />
배터리가 아닌 차량전원과 같은 다른 외부전원을 이용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으며 TV 모니터를 이용해서 유사시 고정 감시장비로도 활용할 수 있다.
배터리가 아닌 다른 외부전원을 이용해 전력을 공급받을 있으며 TV 모니터를 통해 고정 감시장비로도 활용할 수 있다.


= 카탈로그 스펙 =
= 카탈로그 스펙 =
[[파일:PAS-01K 1.jpg]]
[[파일:PAS-01K.jpg]]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79번째 줄: 74번째 줄:
| 팩 구성 || 2 시리즈 || 단위전지: SW-D02
| 팩 구성 || 2 시리즈 || 단위전지: SW-D02
|-
|-
| 온도별 방전시간 (Hr) || 16 (54℃) / 12 (21℃) / 3 (-20℃) || at 10Ω 연속방전,
| 온도별 방전시간 (Hr) || 16 (54℃) / 12 (21℃) / 3 (-20℃) || at 10Ω 연속방전,  
5.5V cut-off
5.5V cut-off
|-
|-
89번째 줄: 84번째 줄:
|-
|-
| NSN (국가 재고 번호 참조 부호) || 6135-37-507-8697 || National Stock
| NSN (국가 재고 번호 참조 부호) || 6135-37-507-8697 || National Stock
|-
| 군장비부호 || 00455201 || 해군과 육군 모두 다 같은 군장비 부호를 사용함. 공군의 경우에는 군장비 부호가 없음.
|-
|-
| 적용장비 || PAS-01K || 열영상 조준경
| 적용장비 || PAS-01K || 열영상 조준경
97번째 줄: 90번째 줄:
|}
|}


PAS-01K가 사용하는 배터리는 BA-6812K이다.
PAS-01K가 사용하는 배터리는 BA-6812K이다.  


PVS-01K의 배터리는 D형태의 2직렬 구성을 가졌다. 이 배터리는 국내생산이며 품명은 BA-6812K, 적용규격은 6135-3005이며 재고번호는 6135375078697이다.
PVS-01K의 배터리는 D형태의 2직렬 구성을 가졌다. 이 배터리는 국내생산이며 품명은 BA-6812K, 적용규격은 6135-3005이며 재고번호는 6135375078697이다.


<ref>[http://www.vitzrocell.co.kr/m/product_list.php?ca_id=30&id=54]</ref> <ref>전지 및 발전기 표준화 방안 연구, 국방기술품질원</ref> <ref>국방규격 공개시스템</ref>
<ref>[http://www.vitzrocell.co.kr/m/product_list.php?ca_id=30&id=54]</ref> <ref>전지 및 발전기 표준화 방안 연구, 국방기술품질원</ref>


= 장착 방식 =
= 장착 방식 =
[[파일:PAS-01K adapter.jpg]]<br />
[[파일:PAS-01K adapter 2.jpg]]<br />
<big>PAS-01K 어댑터의 모습.</big>


PAS-01K의 장착 방식은 피카티니 레일이 아니라 어댑터 위에 부착하는 것이다. 정식 명칭은 영점유지 장치대로 보이며 어댑터를 부착해도 가늠자, 가늠쇠 사격이 가능하다. NSN은 1005375078693 으로 2001년 6월에 발급되었다.
= 문제점 =
[[파일:ROK-SWC PAS-01K_2.jpg]]
 
사용자들의 평가는 그리 좋지 못하다. 먼저 사진에서도 보다시피 부피가 매우 크며 중량이 2kg으로 K2 소총 무게(3.64kg)<ref>[http://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8967595&memberNo=37344293&navigationType=push]</ref>의 절반이 넘는다. 물론 이 조준경은 1999년에 개발된지라 시대적인 한계도 고려해야하며 이 조준경은 [[PVS-11K]]와 같은 무배율 도트사이트도 아닌 무려 열영상조준경인것도 감안해야한다.
 
물론 현재 기준으로 볼때 다른 열영상조준경에 비해 무거운 중량인것은 확실하다. 타국의 열영상조준경으로는 레이시온 사에서 제작한 AN/PAS-13이 있다. <ref>[https://www.raytheon.com/capabilities/products/tws]</ref> 한국이 지금의 PAS-01K를 2001년도 당시 시험장비라는 이름으로 (이때는 PAS-01K라는 제식명칭을 받기도 전이다.) 운용시험능력평가를 하던 시절의 PAS-13은 건전지 포함 2.041kg 으로 한국의 PAS-01K의 2.1114kg와 비교해볼때 가볍긴 하지만 크게 가볍지도 않은 무게였다. <ref>국방과 기술 (2001.06) - 개인화기 조준경 개발방향 (2)</ref><br />
하지만 개량을 한 PAS-13E(V)2 MTWS(Medium Weapon Thermal Sight. M4나 M16과 같은 개인화기, M240이나 M249과 같은 분대지원화기에 장착하는 사양이며 한국의 PAS-01K와 가장 비슷한 장비라고 판단하였기에 선택하였다.)는 1.134kg 이라는 기적적인 중량 감소를 달성하였다. 이는 2배에 거의 근접한 중량 감소이다. 이와 달리 PAS-01K는 지속적인 개량이 없었으며 장비의 성능은 2001년도 당시 시험평가 하던 시절에 정체되어 있는 상태이다. <ref>[http://www.nitevis.com/ANPAS-13E.htm]</ref>
 
거기다가 부피 또한 현재의 다른 열영상조준경보다 큰 편이다. PAS-13은 2001년도 당시에는


기타 사항으로 해당 어댑터는 PVS-02K에도 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들의 평가에 따르면 충격과 습기에 약하며 배터리 수명은 그다지 길지 못하다고 주장한다. <ref>[https://www.facebook.com/koreaswc/photos/a.560792737333675.1073741830.104514792961474/1606892962723642/?type=3&theater]</ref> <ref>[http://koreadefence.net/detail.php?number=1502&;thread=22r01&reply_order=time]</ref>


= 문제점 =
= 관련 문서 =
[[파일:ROK-SWC PAS-01K 2.jpg]]
[[PVS-05K]] 기관총조준경<br />
 
[[PVS-11K]] 주야간조준경


사용자들인 특전사 대원들(화기 주특기)의 평가는 매우 좋지 못하다. 먼저 사진에서도 보다시피 부피가 매우 크며 중량이 2kg으로 K2 소총 무게(3.64kg)<ref>[http://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8967595&memberNo=37344293&navigationType=push]</ref>의 절반이 넘는다. 물론 1999년에 개발된 조준경인지라 시대적인 한계도 고려해야하며 또 이 조준경은 [[PVS-11K]]와 같은 무배율 도트사이트도 아닌 무려 열영상조준경인것도 감안해야한다.


하지만 현재 기준으로 볼때 다른 열영상조준경에 비해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겁다는 건 확실하다. 당시 타국의 열영상조준경으로는 레이시온 사에서 제작한 AN/PAS-13이 있다. <ref>[https://www.raytheon.com/capabilities/products/tws]</ref> 한국이 지금의 PAS-01K를 2001년도 당시 시험장비라는 이름으로 (이때는 PAS-01K라는 제식명칭을 받기도 전이다.) 운용시험능력평가를 하던 시절의 PAS-13은 건전지 포함 2.041kg 으로 한국의 PAS-01K의 2.1114kg와 비교해볼때 가볍긴 하지만 크게 가볍지도 않은 무게였다. <ref>국방과 기술 (2001.06) - 개인화기 조준경 개발방향 (2)</ref><br />
하지만 개량을 한 PAS-13E(V)2 MTWS는 1.134kg 이라는 기적적인 중량 감소를 달성하였다. 이는 2배에 거의 근접한 중량 감소이다. 이와 달리 PAS-01K는 지속적인 개량이 없었으며 장비의 성능은 2001년도 당시 시험평가 하던 시절에 정체되어 있는 상태이다. <ref>[http://www.nitevis.com/ANPAS-13E.htm]</ref> 이는 도보로 장기간 게릴라전을 수행해야하는 일이 많은 특전사 대원들 한테는 꽤나 큰 문제이다.


또한 사용자들의 평가에 따르면 충격과 습기에 약하며 배터리 수명은 그다지 길지 못하다고 주장한다. <ref>[https://www.facebook.com/koreaswc/photos/a.560792737333675.1073741830.104514792961474/1606892962723642/?type=3&theater]</ref> <ref>[http://koreadefence.net/detail.php?number=1502&;thread=22r01&reply_order=time]</ref> 실제로도 배터리가 군용 배터리(BA-6001K / 2개) 기준으로 사용 시간이 단 11시간밖에 되지 않는다. <ref>국방과 기술 (2001.05) - 개인화기 조준경 개발방향 (1)</ref>다만 PAS-01K는 [[PVS-11K]]같은 도트사이트가 아니라 열영상 조준경임을 감안해야한다.


= 갤러리 =
= 갤러리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파일:ROK-SWC PAS-01K 3.jpg]]<br />
| [[파일:ROK-SWC_PAS-01K_1.jpg]]<br />
<br />
test <br />
| [[파일:ROK-SWC PAS-01K 4.jpg]]<br />
|| [[파일:ROK-SWC PAS-01K_2.jpg]]<br />
<br />
test
|}
|}
Test




= 관련 문서 =
계속 작성중...
[[PVS-05K]] 기관총조준경<br />


[[PVS-11K]] 주야간조준경


{{각주}}
<ref>[]</ref>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