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MMS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소프트웨어 정보
[[분류: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
|이름    = LMMS
[[파일:LMMS 04.12 ScreenShot.svg|200픽셀|섬네일|오른쪽|LMMS 0.4.12 버전의 스크린샷]]
|원어이름 =
'''LMMS''' (Linux MultiMedia Studio)는,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 소프트웨어이다.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이며, 적용되는 라이센스는 [[GPL]]. 현재 [[리눅스]], [[윈도우]], [[OS X]], [[OpenBSD]] 이 4종류의 플랫폼으로 빌드되고 있다.
|배경색  =
|글자색  =
|로고    = [[파일:LMMS logo v1.2.2.png|100px]]
|화면    = [[파일:LMMS 04.12 ScreenShot.svg]]
|화면설명 = LMMS 0.4.12 버전의 스크린샷
|원작자  =
|개발    =
|종류    =
|출시    =
|최신버전 =
|최신출시 =
|미리보기 =
|미리출시 =
|상태    =
|언어    =
|운영체제 =
|플랫폼  =
|엔진    =
|작성언어 =
|라이선스 =
|이전    =
|이후    =
|웹사이트 =
|비고    =
}}
'''LMMS''' (Linux MultiMedia Studio)는,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 소프트웨어이다.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이며, 적용되는 라이센스는 [[GPL]]. 현재 [[리눅스]], [[윈도우]], [[macOS]], [[OpenBSD]] 이 4종류의 플랫폼으로 빌드되고 있다.


== 특징 ==
=== 특징 ===
미디 키보드를 지원하고, [[VST]]를 부를 수 있고, [[사운드폰트]]를 부를 수 있고, 내부적으로도 각종 샘플러 및 신디사이저를 갖추고 있으며 64개의 출력 채널을 지원하는 등 작곡에 필요한 기능은 갖추고 있으나, [[VST]] 지원은 상용 DAW에 비해서는 많이 부족한 편이다.
미디 키보드를 지원하고, VST를 부를 수 있고, [[사운드폰트]]를 부를 수 있고, 내부적으로도 각종 샘플러 및 신디사이저(Triple-Oscillator - [[FL Studio]]의 3xOSC와 비슷한 간단한 신디사이저, ZynAddSubFX 등)를 갖추고 있으며 64개의 출력 채널을 지원하는 등 작곡에 필요한 기능은 갖추고 있으나, VST 지원은 상용 DAW에 비해서는 많이 부족한 편이다.


오픈 소스, 그것도 [[GPL]]을 따라가기 때문인지 오픈을 따르지 않는 기술([[MP3]], ASIO 등)은 지원하지 않는다. 윈도우 유저 입장에서는 ASIO 미지원이 상당히 큰 타격이다. 그 대신 백엔드를 Windows WASAPI 또는 Windows WDM-KS로 설정해놓을 수는 있다. 외부 사운드 파일도 MP3는 임포트할 수 없으며, 오디오 파일 출력도 WAV, Ogg Vorbis, FLAC로만 가능하다. MP3를 만들고 싶다면 먼저 WAV나 FLAC로 익스포트한 뒤 별도의 변환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한다.
오픈 소스, 그것도 [[GPL]]을 따라가기 때문인지 오픈을 따르지 않는 기술([[MP3]], ASIO 등)은 지원하지 않는다. 윈도우 유저 입장에서는 ASIO 미지원이 상당히 큰 타격이다. 외부 사운드 파일도 MP3는 부를 수 없으며, 출력도 WAV, Ogg Vorbis, FLAC로만 가능하다.


== 기본악기의 종류 ==
=== 한국에서의 인지도 ===
* AudioFileProcessor - WAV, FLAC 등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
2004년부터 개발중이었던 나름대로 오래된 소프트웨어지만, 상용으로 발매되는 [[큐베이스]], [[케이크워크 소나]], [[FL 스튜디오]] 등에 비하면 기능은 상당히 모자라다. 하지만 간단한 곡을 작곡하기에는 충분한 성능인데다 2010년대 초반부터 한글화가 되었고, 무료이기 때문에 프로 뮤지션이 아닌 간단히 작곡해보려는 사람들한테 어느정도 입소문을 탄 상태.
* BitInvader - 웨이브테이블 신디
* Carla - Versatile Audio 플러그인
* FreeBoy - [[게임보이]]의 사운드 칩을 에뮬레이션
* Kicker - 킥드럼 신디사이저
* LB302 - [[TB-303]] 베이스라인 신디사이저의 구현
* Mallets - 실로폰, 마림바 등의 말렛 악기 신디사이저
* Monstro - 3 오실레이터 오퍼레이터 신디사이저
* Nescaline - [[패미컴]]의 사운드 칩을 에뮬레이션
* Opulenz - [[애드립]] OPL2 FM칩 에뮬레이션
* Organic - [[오르간]] 신디사이저
* PatMan - [[그래비스 울트라사운드]] 악기 플레이어
* SF2 Player - [[사운드폰트]] 플레이어. FluidSynth 기반
* SFXR - 고전게임 효과음 구현 신디사이저
* SID - [[코모도어 64]] SID 사운드 칩 에뮬레이터
* TripleOscillator - 3 오실레이터 신디사이저. [[FL 스튜디오]]의 3xOSC와 비슷
* VeSTige - [[VSTi]] 로더
* Vibed - 스트링 신디사이저
* Watsyn - 4 오실레이터 웨이브테이블 신디사이저
* ZynAddSubFX - 강력한 하이브리드 신디사이저. 트랜스곡에서 많이 쓰는 SuperSaw 소리 만들 때 좋다.


== 한국에서의 인지도 ==
=== 바깥 링크 ===
[[2004년]]부터 개발중이었던 나름대로 오래된 소프트웨어지만, 상용으로 발매되는 [[큐베이스]], [[케이크워크 소나]], [[FL 스튜디오]] 등에 비하면 기능은 상당히 모자라기 때문에 그동안은 한국에서는 별로 알려지지 않았다. 하지만 간단한 곡을 작곡하기에는 충분한 성능인 데다 [[2009년#6월|2009년 6월]]부터 [[한글화]]가 되었고, 무료이기 때문에 프로 뮤지션이 아닌 간단히 작곡해보려는 사람들한테 어느 정도 입소문을 탄 상태. 또한 설치할 때 기본으로 깔려오는 음악을 보면 의외로 퀄리티가 장난이 아니다.
* [https://lmms.io/ 공식 홈페이지 (영어)]
 
* [http://lmms.sf.net/wiki LMMS 위키 (영어)]
한글화가 되었다는 것은 상당한 장점이지만, LMMS의 사용자들이 현업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에 현업에 종사하게 될 때 사용하는 용어와 한글판 LMMS에서 사용했던 용어의 차이에 적응이 필요하다는 것이 문제. 한국에는 관련 서적도 없고, 한국어 튜토리얼도 없지만, 프로그램 자체의 한글화로 어느 정도 커버가 된다.
 
== 관련 사이트 ==
* <small>'''(영어)'''</small> [https://lmms.io/ 공식 홈페이지]
* <small>'''(영어)'''</small> [http://lmms.sf.net/wiki LMMS 위키]
* <small>'''(영어)'''</small> [http://www.reddit.com/r/lmms/ 레딧 LMMS 스레드]
 
{{각주}}
[[분류: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
[[분류:자유 소프트웨어]]
[[분류:2004년 소프트웨어]]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