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헬로비전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법인 정보
{{회사 정보
|법인이름 = LG헬로비전
|이름= 씨제이헬로
|원어이름 = LG Hellovision
|영문= CJ Hello
|로고     =  
|로고=  
|그림    =  
|크기= 200px
|그림설명 =  
|형태= 주식회사
|법인종류 = [[주식회사]]
|창립=
|주식코드 =  
|창립자= [[한국통신]]
|분야    = 케이블 방송
|이전 회사=
|창립자  = [[한국통신]]
|이후 회사=  
|창립일  =  
|해체=
|해산일  =  
|시장 정보=  
|이전회사 =  
|상장일=  
|이후회사 =  
|국가=  
|본사    =  
|장소=  
|지사수  =  
|사업 지역= {{국기|대한민국}}
|인물    =  
|인물=  
|자본금   = 193,617,162,500원<ref name="fss_dart">[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150515002215 금감원 분기보고서] 참조, [[2015년]] 1분기 일반재무제표 기준, 손익은 누적액 기준</ref>
|산업= 케이블 방송
|매출액   =  
|서비스= 종합유선방송 프로그램 유통<br>별정통신(알뜰폰) 사업
|영업이익 = 26,356,217,824원<ref name="fss_dart"/>
|대표 제품=  
|순이익   = 15,805,634,524원<ref name="fss_dart"/>
|자본금= 193,617,162,500원<ref name="fss_dart">[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150515002215 금감원 분기보고서] 참조, [[2015년]] 1분기 일반재무제표 기준, 손익은 누적액 기준</ref>
|자산총액 = 2,072,225,764,950원<ref name="fss_dart"/>
|매출액=  
|주주     =  
|영업 이익= 26,356,217,824원<ref name="fss_dart"/>
|모회사  = [[LG유플러스]]
|순이익= 15,805,634,524원<ref name="fss_dart"/>
|자회사   =  
|자산 총액= 2,072,225,764,950원<ref name="fss_dart"/>
|종업원   =  
|주주= [[CJ ENM]] 외
|웹사이트 = http://www.lghellovision.net/
|모기업= [[CJ ENM]]
|비고    =
|자회사=
|종업원=  
|웹사이트= http://www.cjhello.com/
}}
}}


[[LG그룹]] 산하의 복수 종합 케이블 방송 사업자(MSO)이다.
[[CJ그룹]] 산하의 복수 종합 케이블 방송 사업자(MSO)이다.


국내에서 최초로 디지털 케이블 방송을 런칭 하였으며, 현재는 유료방송시장 中 케이블방송 점유율 1위 업계이다. 디지털 방송, 초고속 인터넷, 인터넷 전화, 알뜰폰(헬로모바일), N스크린{{ㅊ|(tving}}{{ㅈ|SKT 인수 직전에 [[CJ E&M]]으로 이관하였다.}}, 뷰잉), 지역방송 및 방송광고, 가전 및 생활용품 렌탈 등의 서비스를 하고 있는 종합 멀티미디어 플랫폼 회사이다.
국내에서 최초로 디지털 케이블 방송을 런칭 하였으며, 현재는 유료방송시장 中 케이블방송 점유율 1위 업계이다. 디지털 방송, 초고속 인터넷, 인터넷 전화, 알뜰폰(헬로모바일), N스크린{{ㅊ|(tving}}{{ㅈ|SKT 인수 직전에 [[CJ E&M]]으로 이관하였다.}}, 뷰잉), 지역방송 및 방송광고, 가전 및 생활용품 렌탈 등의 서비스를 하고 있는 종합 멀티미디어 플랫폼 회사이다.
== 개요 ==
CJ헬로의 역사는 조그마한 유선방송사와 개별SO 케이블TV방송사를 인수&합병하며 덩치를 키운 회사이다. 한국통신에서 민영화된 한국통신케이블텔레비전주식회사를 인수하여 CJ 산하에 편입한 후, 중소 지역SO를 인수하여 지금에 이르게 되었으며 회사의 특성상 조그마한 방송사들을 사들여서 하나의 규모가 큰 대기업이 된 회사이다. 타 케이블방송사와 마찬가지로 역사는 중소기업으로부터 시작해서 현재의 대기업이 되었다고 보면 되겠다.


== 역사 ==
== 역사 ==
* [[1995년]] : 한국통신 출자 100%의 한국통신케이블텔레비전주식회사 설립
* [[1995년]] : 한국통신 출자 100%의 한국통신케이블텔레비전주식회사 설립
* [[1999년]] : [[공기업]] [[민영화]]로 [[CJ오쇼핑|CJ39쇼핑]]이 인수
* [[1999년]] : [[공기업]] [[민영화]]로 [[CJ오쇼핑]]이 인수
* [[2000년]] : 상호를 '양천넷(주)'로 변경
* [[2000년]] : 상호를 '양천넷(주)'로 변경
* [[2008년]] : 상호를 '씨제이헬로비전'으로 변경
* [[2008년]] : 상호를 '씨제이헬로비전'으로 변경
* 2015년 11월 2일 : [[SK텔레콤]] 인수계약 체결<ref>[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5110216301874953 SKT, CJ헬로비전 인수…승인조건두고 치열한 접전 예고], 머니투데이, 2015.11.02.</ref>
* 2015년 11월 02일 : [[SK텔레콤]]이 인수, [[SK브로드밴드]]와의 합병 추진<ref>[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5110216301874953 SKT, CJ헬로비전 인수…승인조건두고 치열한 접전 예고], 머니투데이, 2015.11.02.</ref>
* 2015년 12월 : 공정위 불허로 인수합병 무산, 원위치
* 2015년 12월 : 공정위 불허로 인수합병 무산, 원위치.
* 2017년 3/4분기 : 상호를 'CJ헬로'로 변경
* 2017년 3/4분기 : 상호를 'CJ헬로'로 변경
* 2019년 2월 14일 : [[LG유플러스]] 인수계약 체결
* 2019년 12월 24일: 상호를 'LG헬로비전'으로 변경


== 서비스 ==
== 서비스 ==
=== 종합유선(헬로 TV) ===
=== 헬로 TV ===
[[파일:CJ헬로 HD셋탑.jpg|thumb|HD셋탑]]
지역별로 디지털 신호 전환 작업을 하고 있으며, 작업이 완료된 지역은 셋톱박스 없이도 8VSB 방식으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케이블SO 중에서는 힘 깨나 쓰는 회사로 케이블SO 중에서는 점유율 1위, IPTV와 위성방송을 포함한 [[유료방송]] 중에서는 3위(1~2위는 IPTV)를 차지하고 있다. CJ헬로의 역사는 개별SO를 인수&합병하며 덩치를 키운 역사로, 한국통신에서 민영화된 한국통신케이블텔레비전주식회사를 인수하여 CJ 산하에 편입한 후, 중소 지역SO를 인수하여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셋탑박스의 종류는 현재는 단종이 되어 더이상 보기 어려운 SD, PVR 셋탑박스 및 단종된 헬로TV Smart의 셋탑박스와 UHD H/W 셋탑박스가 있으며, 흔히 보편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HD셋탑박스<s>로 이 셋톱박스의 성능이 매우 별로이며, 암이 발병하는 원인 중 하나라고도 한다.</s>와 최근 주력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UHD Red 셋톱박스와 HD PVR 셋탑박스가 있다.
 
셋탑박스가 필요없이 TV자체에 내장이 된 UHD S/W셋탑이 있었는데, 셋탑박스가 전혀 필요없이 VOD까지 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s>물론 리브레 위키를 보는 대다수의 서민들은 구경조차 해본적이 없다. </s>


아날로그방송 일몰계획에 따라 지역별로 디지털 신호 전환 작업을 했으며, 작업이 완료된 지역은 셋톱박스 없이 8VSB 방식으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광선로 인터넷을 구축함에 따라 IPTV처럼 인터넷을 통해 방송을 공급받는 형태도 도입했다.
현재는 아날로그방송 일몰과 동시에 디지털 고화질 추진으로, 아날로그방송 가입자는 받지 않으며, SD방송은 이미 종료했다. 이 방송사의 특징으로는 셋탑박스가 있는 디지털 케이블(QAM)방식을 추진하며, 그외 영세한 중소기업 케이블방송국은 <s>매미없는</s>비싼 투자비로 지상파에서 사용하는 8VSB 디지털방식으로 전환하여 서비스 하고 있다는 점이 차이가 있다.


셋탑박스의 종류는 현재는 단종이 되어 더이상 보기 어려운 SD, PVR 셋탑박스 및 단종된 헬로TV Smart의 셋탑박스와 UHD H/W 셋탑박스가 있으며, 흔히 보편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s>암덩어리</s> HD셋탑박스와 최근 주력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UHD Red 셋톱박스와 HD PVR 셋탑박스가 있다. 셋탑박스가 필요없이 TV자체에 내장이 된 UHD S/W셋탑이 있었는데, 셋탑박스가 전혀 필요없이 VOD까지 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s>물론 리브레 위키를 보는 대다수의 서민들은 구경조차 해본적이 없다. </s>
=== 헬로 인터넷 ===
어느 케이블회사처럼 [[광동축 혼합망]]을 이용하는 부분이 주력이지만, 일부 지역의 경우에는 통신 3사와 동일하게 UTP 방식의 LAN, [[xDSL]]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한 FTTH 방식으로 서비스 되기도 한다!


지역채널을 25번에서 운영한다. 각 지역별 유튜브 채널도 운영한다.
SKT, KT 휴대폰 이용시 인터넷과 동등결합 할인이 가능하다.


모바일 양방향서비스 앱으로 "헬로TV([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cjhellovision.companion&hl=ko 구글] [https://apps.apple.com/kr/app/%ED%97%AC%EB%A1%9Ctv%EC%95%B1/id807371414 애플])"를 운영한다. 셋톱박스 리모컨<ref>DOCSIS를 이용한 양방향서비스를 통한 것이므로 원거리에서도 원격조정이 가능하다.</ref>, VOD 구매·시청 등을 할 수 있다. 휴대폰 번호로 연동되며 1셋톱박스당 4회선까지 연결할 수 있다.
=== 헬로폰 ===
말 그대로 VoIP 서비스.


=== HFC 활용서비스 ===
=== 헬로모바일 (알뜰폰) ===
* 헬로 인터넷
SKT와 KT의 망을 빌려 서비스하고 있다. 중소 MVNO와는 다르게 독자 요금제와 독자 멤버쉽([[CJ ONE]])채택하고 있다.
*: 어느 케이블회사처럼 [[광동축 혼합망]]을 이용하는 부분이 주력이지만, LG 합병 이후에는 유플러스 망을 임대하여 통신 3사와 동일하게 [[FTTx|FTTC]] 방식으로 서비스 되기도 한다. SKT, KT 휴대폰 이용시 인터넷과 동등결합 할인이 가능하다.
*: 헬로TV 와이파이의 경우 최대 40Mbps의 속도로 서비스하는 저가 요금제로 셋톱박스가 모뎀 역할을 한다. 셋톱박스 후면의 LAN포트에 공유기를 연결해 사용하는 방식.
* 헬로폰
*: VoIP 서비스. 사이트에서는 “집전화”라고 말하는 데 실제로는 KT/SKB같은 유선전화가 아닌 070 인터넷 전화다.
* 헬로캠
*: 가정용CCTV 및 상업용CCTV 상품으로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감시 및 한화손해보험과 제휴한 손해보험을 제공한다.


=== 기타 사업 ===
=== 헬로렌탈 ===
* 헬로모바일 ([[알뜰폰]])
가전제품을 렌탈(할부판매)하는 사업. 일부 상품을 제외하고는 CJ헬로의 개별 사업구역이 아닌 경우(예컨대 CJ헬로 사업구역이 아닌 충북지역 혹은 제주도 등)에도 이용 가능하다.  
*: 처음엔 KT망으로 시작했는 데, 어쩌다 보니 SKT, KT, LGU+망을 모두 대여하게 되었다. 로밍 그딴거 없고 통신망별로 요금제가 다 따로이므로 참고. 중소 MVNO와는 다르게 독자 요금제를 채택하고 있고, 자사 케이블/인터넷 상품과 결합도 가능하다.
* 헬로렌탈
*: 가전제품을 렌탈(임대·할부판매)하는 사업. 일부 상품을 제외하고는 CJ헬로의 개별 사업구역이 아닌 경우(예컨대 CJ헬로 사업구역이 아닌 충북지역 혹은 제주도 등)에도 이용 가능하다.


== 사업 구역 ==
== 사업 구역 ==
{|class=wikitable style=margin:auto;text-align:center;
* 서울특별시  
! 광역단위 || 사명 || 방송권역 || 경합
** 양천방송 (양천구)
|-
** 은평방송 (은평구)
| rowspan=2 | 서울특별시  
 
| 양천방송 || style=text-align:left; | 양천구 ||
* 경기도, 인천광역시
|-
** 부천방송 (부천시)
| 은평방송 || style=text-align:left; | 은평구 ||
** 김포방송 (김포시)
|-
** 북인천방송 (부평구, 계양구)
| rowspan=4 | 경기도<br />인천광역시
** 나라방송 (의정부시, 양주시, 포천시, 동두천시, 연천군)<ref>딜라이브 우리케이블TV와 경합지역이다.</ref>
| 부천방송 || style=text-align:left; | 부천시 ||
 
|-
* 충청남도
| 김포방송 || style=text-align:left; | 김포시 ||
** 충남방송 (당진시, 서산시, 태안군, 홍성군, 예산군, 청양군)<ref>홍성, 서산, 예산, 태안지역의 모두방송과 합병되었다.</ref>
|-
 
| 북인천방송 || style=text-align:left; | 부평구, 계양구 ||
* 강원도
|-
** 강원방송 (춘천시, 홍천군, 철원군, 화천군, 인제군, 양구군)
| 나라방송 || style=text-align:left; | 의정부시, 양주시, 포천시, 동두천시, 연천군 || 딜라이브 우리케이블 TV
** 영동방송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 속초시, 양양군, 고성군, 태백시)
|-
** 영서방송 (원주시, 횡성군, 평창군, 정선군, 영월군)
| 충청남도
 
| 충남방송<ref>홍성, 서산, 예산, 태안지역의 모두방송을 합병했다.</ref> || style=text-align:left; | 당진시, 서산시, 태안군, 홍성군, 예산군, 청양군 ||
* 경상북도
|-
** 영남방송 (안동시, 영주시, 문경시, 예천군, 의성군, 봉화군, 청송군, 영양군)
| rowspan=3 | 강원도
** 신라방송 (경주시, 영천시, 경산시, 청도군)
| 강원방송 || style=text-align:left; | 춘천시, 홍천군, 철원군, 화천군, 인제군, 양구군 ||
 
|-
* 대구광역시<ref> CMB 대구방송(티브로드 대구방송과 별개)과 경합지역이다.</ref>
| 영동방송 || style=text-align:left; |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 속초시, 양양군, 고성군, 태백시 ||
** 동구방송 (동구)
|-
** 수성방송 (수성구)
| 영서방송 || style=text-align:left; | 원주시, 횡성군, 평창군, 정선군, 영월군 ||
 
|-
* 부산광역시
| rowspan=2 | 경상북도
** 중부산방송 (중구, 동구, 영도구)
| 영남방송 || style=text-align:left; | 안동시, 영주시, 문경시, 예천군, 의성군, 봉화군, 청송군, 영양군 ||
** 중앙방송 (부산진구)
|-
** 해운대기장방송 (해운대구, 기장군)
| 신라방송 || style=text-align:left; | 경주시, 영천시, 경산시, 청도군 ||
** 금정방송 (금정구)
|-
 
| rowspan=2 | 대구광역시
* 경상남도
| 동구방송 || style=text-align:left; | 동구 || rowspan=2 | CMB 대구방송<ref>SK브로드밴드 대구방송과 다른 SO임.</ref>
** 경남방송 (창원시 구 창원지역 및 진해지역, 함안군, 의령군)
|-
** 마산방송, 하나방송<ref> CJ헬로에서 인수한 개별 SO로, CJ헬로 고객행복센터와 분리되어 운영중.</ref> (창원시 구 마산지역, 통영시, 거제시, 고성군)
| 수성방송 || style=text-align:left; | 수성구
 
|-
* 전라북도
| rowspan=4 | 부산광역시
** 전북방송 (정읍시, 김제시, 남원시, 부안군, 고창군, 순창군, 임실군)
| 중부산방송 || style=text-align:left; | 중구, 동구, 영도구 ||
 
|-
* 전라남도
| 중앙방송 || style=text-align:left; | 부산진구 ||
** 호남방송 (목포시, 신안군, 무안군, 강진군, 완도군, 해남군, 영암군, 진도군, 장흥군)
|-
** 아라방송 (순천시, 여수시, 광양시, 고흥군 )
| 해운대기장방송 || style=text-align:left; | 해운대구, 기장군 ||
|-
| 금정방송 || style=text-align:left; | 금정구 ||
|-
| rowspan=2 | 경상남도
| 경남방송 || style=text-align:left; | 창원시(의창·성산·진해), 함안군, 의령군 ||
|-
| 마산방송<br />하나방송<ref>비교적 최근에 인수한 개별 SO로, 방송송출시설을 [[티브로드]]에서 빌려쓰고 있었기 때문에 당분간 CJ헬로 고객행복센터에서 A/S를 받지 않고 별도 운영중.</ref> || style=text-align:left; | 창원시(마산), 통영시, 거제시, 고성군 ||
|-
| 전라북도
| 전북방송 || style=text-align:left; | 정읍시, 김제시, 남원시, 부안군, 고창군, 순창군, 임실군 ||
|-
| rowspan=2 | 전라남도
| 호남방송 || style=text-align:left; | 목포시, 신안군, 무안군, 강진군, 완도군, 해남군, 영암군, 진도군, 장흥군 ||
|-
| 아라방송 || style=text-align:left; | 순천시, 여수시, 광양시, 고흥군 ||
|-
|}


{{각주}}
{{각주}}
{{한국의 방송}}
{{한국의 방송}}
{{대한민국의 통신 사업자}}
{{대한민국의 통신 사업자}}
[[분류:종합유선방송사업자]]
[[분류:케이블 방송]]
[[분류:LG그룹|헬로]]
[[분류:대한민국의 방송사]]
[[분류:CJ그룹]]
[[분류:1995년 설립]]
[[분류:1995년 설립]]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