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청룡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차량]][[분류:전동차]]
{{대한민국의 고속철도 차량}}
{{철도차량 정보
{{철도차량 정보
|차량이름 = KTX-청룡
|차량명 = EMU-320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그림     = [[파일:emu320.jpg|파일:emu320.jpg]]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운영    = [[한국철도공사]], [[SR]]<ref>SRT 증차분으로 도입 예정</ref>
|량수 = 8
|설계    = [[현대로템]]
|편성구조 =
|제작    = [[현대로템]]
|동력방식 =
|제작연도 = 2020~
|전기방식 = [[교류]] 25 kV 60Hz
|생산량  = 2편성
|제어방식 = [[VVVF]]-[[IGBT]]
|정원    = 515 명
|기관형식 =
|편성구조 = 8량 1편성
|전동기형식 =
|편성길이 = 198,000 mm
|기어비 =
|전장     =  
|차륜배열 =
|전폭     = 3,150 mm
|차륜직경 =
|전고     =  
|기동가속도 =
|중량    =  
|영업최고속도 = 320
|궤간    = 1,435 mm
|설계최고속도 = 350+
|최고속도 = 320 km/h
|감속도 =
|엔진    = 농형 3상 유도전동기
|기관출력 =
|출력    = 303 kN
|전동기출력 =
|견인력  =  
|편성출력 =
|가속도  =  
|출력 =  
|감속도  =  
|견인력 =  
|제동    = [[회생제동]], [[공기제동]]
|용도 = 고속 여객
|전기    = [[교류]] 25 kV, 60 Hz, [[팬터그래프]]
|차량정원 =  
|제어    = [[VVVF]]-[[IGBT]]
|편성정원 = 515~549
|보안    = [[TVM-430]]([[ATC]]), [[ATS]], [[ATP]]
|편성길이 =  
|비고     =  
|전장 =  
|전폭 = 3,150
|전고 =  
|차량중량 =  
|편성중량 =  
|대차 =  
|대차간거리 =  
|축중 =  
|궤간 = 1,435
|구동장치 = 농형 3상 유도전동기
|MT비 = 6M 2T
|보안장치 = [[TVM-430]]([[ATC]]), [[ATS]], [[ATP]]
|구동방식 =
|제동방식 = [[회생제동]], [[공기제동]]
|설계사 = [[현대로템]]
|제작사 = [[현대로템]]
|제작연도 = [[2020년]]~
|운영회사 = 한국철도공사
|생산량 = 2편성 16량
|사용량 =
|도입단가 =
|비고 =  
}}
}}


{{유튜브|zOhZvGhEfKE&t||가운데}}
== 개요 ==
 
'''EMU-320'''은 [[한국철도공사]]가 발주한 차세대 고속열차이다. [[EMU-250]]과 거의 같은 시기에 발주하여 사실상 형제 차량이나, 250과는 다르게 최고속도 320 km/h급으로 고속선에 대응한 고속열차로 볼 수 있다.
'''KTX-청룡'''은 [[한국철도공사]]가 발주한 차세대 고속열차이다. [[KTX-이음|EMU-250]]과 거의 같은 시기에 발주하여 사실상 형제 차량이나, 250과는 다르게 최고속도 320 km/h로 설정되어 고속선 대응 열차로 볼 수 있다.


==특징==
==특징==
기존 [[KTX (차량)|KTX]], [[KTX-산천]]과는 다르게 [[동력분산식]]으로 개발하여 가감속도 향상을 추구하였다. 전체적인 기술적 사양은 [[HEMU-430X]]에서 비롯되었으며 HEMU-430X의 상용화 버전으로 볼 수 있다. 프로젝트명칭인 EMU-320은 동력분산식 전동차를 뜻하는 '''E'''lectronic '''M'''ultiple '''U'''nit의 앞글자에서 EMU를 따왔고, 최고속도 320 km/h를 의미하는 숫자 '''320'''을 결합한 명칭이다. 프로젝트 초기에는 영업최고속도 300 km/h를 목표로 하여 EMU-300이라 불렸으나 스펙을 높여서 영업최고속도를 상향시켰다.<ref>제작사인 현대로템이 제작했던 KTX-산천의 설계최고속도가 330 km/h임을 감안하면 발전된 최신 기술을 접목하여 개발하는 EMU-320의 영업 최고속도 320 km/h는 충분히 달성 가능한 수치이다.</ref> 제작은 [[현대로템]]이 담당한다.
기존 [[KTX-I]], [[KTX-산천]]과는 다르게 [[동력분산식]]으로 개발하여 가감속도 향상을 추구하였다. 전체적인 기술적 사양은 [[HEMU-430X]]에서 비롯되었으며 사실상 HEMU-430X의 상용화 버전으로 볼 수 있다. 프로젝트명칭인 EMU-320은 동력분산식 전동차를 뜻하는 '''E'''lectronic '''M'''ultiple '''U'''nit의 앞글자에서 EMU를 따왔고, 최고속도 320 km/h를 의미하는 숫자 '''320'''을 결합한 명칭이다. 프로젝트 초기에는 영업최고속도 300 km/h를 목표로 하여 EMU-300이라 불렸으나 스펙을 높여서 영업최고속도를 상향시켰다.<ref>제작사인 현대로템이 제작했던 KTX-산천의 설계최고속도가 330 km/h임을 감안하면 발전된 최신 기술을 접목하여 개발하는 EMU-320의 영업 최고속도 320 km/h는 충분히 달성 가능한 수치이다.</ref> 제작은 [[현대로템]]이 담당한다.


명칭은 국민 공모를 받은 것 중에서 네이밍 개발 및 브랜드 전문가 자문을 거쳐서 2024년 [[갑진]]년을 맞이해서 KTX-청룡으로 정해졌다. {{ㅊ|[[어린이대공원 (서울)#청룡열차|뭔가 익숙한 이름]]인 거 같은데...}}
2020년 11월 기준으로 이 열차에 코레일이 부여한 정식 명칭은 존재하지 않으나, 동생격인 EMU-250에 '''KTX-이음'''이라는 명칭을 내정했으므로, EMU-320 또한 KTX로 시작하는 이름을 부여받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코레일이 최근 각종 용어를 우리말로 순화하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으므로 순우리말에 가까운 명칭이 부여될 것이 확실시된다.


도입 계획에 의하면 EMU-320의 실제 영업투입 시기는 [[2025년]]~[[2030년]] 사이로 예측되었고, 이 시기는 [[KTX-I]]의 내구연한 만료와 맞물리는 시기였으므로KTX-I을 대체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 열차를 발주한 것으로 여겨졌으나, 실제 영업투입이 [[2024년]] [[5월]]로 결정되면서 대차용 목적이 아닌 순수 영업용 증차 목적으로 변경되었다. 열번은 160000호대를 부여받았다.
도입 계획에 의하면 EMU-320의 실제 영업투입 시기는 [[2025년]]~[[2030년]] 사이로 예측되는데, 이 시기는 [[KTX-I]]의 내구연한 만료와 맞물리는 시기이다. 따라서 코레일은 KTX-I을 대체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 열차를 발주한 것으로 여겨진다.


== 연혁 ==
== 연혁 ==
; [[2016년]]
; [[2016년]]
: [[9월 28일]], 코레일은 차세대 고속열차 EMU-300 기종의 구입을 공고하였다.<ref>[http://www.itrailnews.co.kr/news/article.html?no=25244 코레일, 한 번에 1,000명 이상 수송하는 '차세대 고속열차(EMU-300)'도입 추진한다!], 레일뉴스, [[2016년]] [[9월 28일]]</ref>
: [[9월 28일]], 코레일은 차세대 고속열차 EMU-300 기종의 구입을 공고하였다.<ref>[http://www.itrailnews.co.kr/news/article.html?no=25244 코레일, 한 번에 1,000명 이상 수송하는 '차세대 고속열차(EMU-300)'도입 추진한다!], 레일뉴스, [[2016년]] [[9월 28일]]</ref>
; [[2024년]]
: [[4월 1일]], 명칭이 KTX-청룡으로 정해졌다.<ref>[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1711961580&code=11131100&cp=nv 최고시속 320㎞ 신형 KTX ‘청룡’ 5월부터 경부·호남선 투입한다],  국민일보, 2024년 [[4월 2일]]</ref>
: [[5월 1일]], 영업운전 개시.<ref>[https://www.letskorail.com/ebizcom/event/total/EbizcomEventTotallw_cus06101_detail.do?searchKeyword2=2604 코레일 공지사항]</ref>


== 변경점 ==
== 변경점 ==
기존 KTX-I, KTX-산천이 동력집중식 구조를 취한것과 다르게, KTX-청룡은 KTX-이음처럼 동력분산식을 채택하였다. 이는 동력집중식에 비해 가감속 성능 향상에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다분히 국내 고속철도 환경상 역간 거리가 짧고, 고속선과 기존선을 넘나드는 운행환경을 고려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기존 KTX-I, KTX-산천이 동력집중식 구조를 취한것과 다르게, EMU-320은 이름처럼 동력분산식을 채택하였다. 이는 동력집중식에 비해 가감속 성능 향상에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다분히 국내 고속철도 환경상 역간 거리가 짧고, 고속선과 기존선을 번갈아 다니는 운행환경을 고려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연접대차]]가 아닌 일반대차를 사용하면서 차량한계도 증가하여 차체의 전폭 3,150 mm를 확보하였고, 객차의 길이 증대되어 좌석간 간격이 넓어지고, 전체적으로 편성당 좌석 수도 늘어났다. 코레일이 제시한 EMU-320의 편성 정원 목표는 약 510~550석 내외인데, 이는 단편성을 비교할 경우 KTX-산천 2세대의 410석보다 늘어난 수치이며, 2대의 열차를 결합한 [[복합열차]]를 구성할 경우 1,000명 이상을 수송할 수 있어서 KTX-I의 931석보다 많은 좌석을 공급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1편성당 좌석 공급이 515석으로 결정되면서 복합열차 편성시 한번에 1,030명이라는 대규모 수송이 가능해졌다.
또한 [[연접대차]]가 아닌 일반대차를 사용하면서 차량한계도 증가하여 차체의 전폭이 3,100 mm 이상을 확보할 예정이고, 객차의 길이도 늘어날 전망이어서 좌석간 간격이 넓어지고, 전체적으로 객차 당 좌석 수도 늘어날 전망이다. 코레일이 제시한 EMU-320의 편성 정원 목표는 약 510~550석 내외인데, 이는 단편성을 비교할 경우 KTX-산천 2세대의 410석보다 늘어난 수치이며, 2대의 열차를 결합한 [[복합열차]]를 구성할 경우 1,000명 이상을 수송할 수 있어서 KTX-I의 931석보다 많은 좌석을 공급할 수 있다.


8량 1편성이지만 별도의 동력차가 없으므로 운전실이 설치된 1호차와 8호차에도 객실이 설치되어 공간 효율성은 오히려 산천보다 더욱 증대되었다. 또한 우등실도 기존 열차들의 특실 구조의 2+1이 아닌 2+2 배열이 적용되어 우등실 수용량도 산천에 비해 증대되었다.
8량 1편성이지만 별도의 동력차가 없으므로 운전실 뒤쪽으로 객실이 곧바로 설치되어 공간 효율성은 오히려 산천보다 더 좋은 편이다. 또한 특실도 기존 2+1이 아닌 2+2 배열이 적용된다.


또한 운전실이 설치된 1호차와 8호차를 제외한 나머지 6량 객차 하부에 전동기가 모두 설치된 동력분산식 구조상 가감속 능력이 우월하여 최고속도인 320 km/h까지 도달 시간이 212초로 산천 2세대(최고속도 305 km/h) 대비 약 85초 가량 단축되었다.
또한 운전실이 설치된 선두차와 후미차를 제외한 나머지 6량의 하부에 전동기가 모두 설치된 동력분산식 구조상 가감속 능력이 우월하여 대략 230초 정도면 최고속도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반적인 외형(단독창 등)이나 객실 내부 구성은 KTX-이음과 큰 차별점이 없다.
== 투입노선 ==
 
[[KTX-I]]을 대체하는 성격상 현재 [[KTX]]가 운행하는 모든 노선에 투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준고속 간선노선은 최고속도가 낮은 [[KTX-이음]](EMU-250)이 주로 투입되고, 고속선 위주의 노선에 EMU-320이 투입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 운행 ==
2024년 5월 1일부터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에서 영업운행을 시작한다. 당장은 2편성만 도입된 상태여서 운행횟수는 상당히 제한적일 수 밖에 없으며 증대된 최고속도를 강조하기 위하여 최속달 열차로만 투입되며, '''급행 고속열차'''로 차별화 되었다.
 
* 경부선
*: [[서울역|서울]] - [[대전역|대전]] - [[동대구역|동대구]] - [[부산역|부산]], 일명 서대동부 최소 정차 열차로 운행하며 월요일~목요일은 1일 1왕복, 금요일 1일 2왕복, 토요일~일요일 및 공휴일은 1일 3왕복으로 운행한다. 일부 열차는 입출고지인 [[행신역|행신]]에 선택정차하며, [[천안아산역|천안아산]]에도 소수 편성이 선택정차한다.
 
* 호남선
*: [[용산역|용산]] - [[익산역|익산]] - [[광주송정역|광주송정]] 정차 열차로 월요일~목요일 1일 1왕복이며, 금요일 및 주말, 공휴일은 KTX-청룡 열차는 경부선으로 돌려지고, 기존 KTX-I 차량이 대신 투입되어 운행한다. 상행은 [[서울역|서울]]에 선택정차한다.
 
수원발, 인천발 KTX 및 SR 분기~오송역간 경부고속선 2복선화에 대응하여 SR에서도 동일한 160000호대 차량을 증차용으로 발주할 계획이므로 추후 운행계통은 늘어날 전망이다.
 
== 편성구조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0%;"
|-
! 방향
| colspan="8" | <div style="float: left;">← 상행</div><div style="float: right;">하행 →</div>
|- style="text-align: center;"
! 호차
| 1호차
| 2호차
| 3호차
| 4호차
| 5호차
| 6호차
| 7호차
| 8호차
|- style="text-align: center;"
! 차량
| 16__01<br />'''Tc'''
| 16__52<br />'''M''''
| 16__53<br />'''M'''
| 16__54<br />'''M'''
| 16__55<br />'''M''''
| 16__56<br />'''M'''
| 16__57<br />'''M'''
| 16__08<br />'''Tc'''
|-
! 좌석
| 우등실<br />46석
| 일반실<br />76석
| 일반실<br />55석
| 일반실<br />68석
| 일반실<br />74석
| 일반실<br />68석
| 일반실<br />76석
| 일반실<br />52석
|-
|}
* 여행용 캐리어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수하물 보관대가 모든 객실 내부에 설치되었다.
* 장애인 대응 객차는 KTX-이음과 동일하게 3호차로 설정되었다.
* 기존 KTX-I이나 산천과 다르게 상위 좌석 등급은 특실이 아닌 우등실이며, 이는 KTX-이음과 동일하다.
 
==여담==
* 열차 도색은 출고 당시 KTX-이음과 똑같았고 열차 이름 마킹도 KTX-이음으로 박혀있었지만, 정식 명명식을 앞두고 도색이 일부 변경되었다. 바탕색은 KTX-이음과 동일한 하늘색 계통이며, 열차 창문 외벽을 감싸는 검은색 도장도 동일하지만 금색 띄도색이 보다 굵어졌고, 창문 하부로 이동되었다. 또한 KTX-이음 마킹도 KTX-청룡으로 변경되었다.
* KTX-청룡의 영문 마킹은 한글을 그대로 음차한 '''CHEONGRYONG'''으로 표기되었다.


{{각주}}
{{각주}}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차량}}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차량}}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차량]][[분류:전동차]]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